질문 빈곤 사회 - 나는 질문한다, 고로 존재한다
강남순 지음 / 행성B(행성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남순의 『질문 빈곤 사회(행성B,2021)』는 “나는 질문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말로 질문이 부재하는 우리 사회를 진단하고 경종을 울리며 나아갈 길을 제시한다. 책은 여전히 한국이 ‘질문 후진국’(p.10)임을 상기시키며 ‘나쁜 질문’의 위험성과 ‘좋은 질문’의 전제와 방법을 익히도록 독자를 이끈다. 현직 교수인 저자는 현대 철학적·종교적 담론들 뿐 아니라 “코즈모폴리턴 권리, 정의, 환대 등의 문제들”에 학문적, 실천적 관심을 두고 학생과 대중에게 지식 전달과 변화를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동시에 모색하고 있다. 저자는 페미니즘과 종교 3부작을 비롯해 다양한 저서와 컬럼으로 독자를 만나고 있는데 『질문 빈곤 사회』는 최근작으로 “지금” 더 부각되고 수정해야 할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책은 총 5부로 구성되어 꼭 필요한 다섯 가지 “물음 묻기”를 제안한다. 대상 별로 “권력과 언론에 물음 묻기”부터 “타자의 얼굴”, “관행과 대안”, “존재와 혐오”, “희망과 생명”에까지 “물음 묻기”는 긴급하고 기본이 되는 것부터 미래 지향적인 단계까지 확대된다. 아인슈타인이 가진 호기심과 창의성에서 재능이 열정적으로 궁금해하는 것에서 나온다고 봤을 때 “질문은 그 사람이 누구인가를 가장 잘 드러내는 정체성의 결정 중 하나”(p.61)다. 즉, “호기심이 없어 질문 자체를 구성하지 않는 이들은 자기 자신이나 사회의 새로운 변화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하는 무관심한 사람“이며 그람시의 명제에 의해 그런 무관심한 이들은 ”기생하는 존재“들로써 이미 진정으로 살아있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p.62)

2부 "타자의 얼굴에 물음 묻기"에서는 사람은 처해진 환경과 별도로 세 종류의 역할을 하며 살아간다고 지적한다. 매니퓰레이터, 매니저, 리더의 특징을 하나씩 살펴볼 때 저자가 보여주는 사례는 그들을 넘어 우리 주위의 누군가로 확대, 연상된다. 또한 저자는 일반화된 호칭 뒤에 숨은 폄하 의도, 한국의 나이 집착주의가 왜 위험한지를 근거를 들어 밝힌다. "정치적 행위로써의 말과 글"(p.108)에서의 지적도 논의를 부른다. "문학작품이라고 해서 차별과 혐오의 면책 특권 영역이 되는 것이 아님을, 또한 어떤 종류의 글이든 이러한 비판적 수정 작업의 대상임을 시인을 보여준다."(p.110)는 지점에서 저자의 의도는 알겠지만 범위를 한정하는데 있어 의문이 들기도 한다.

“긴즈버그의 유산”을 하나씩 짚어가며 숙고하는 장면들도, 배움과 불편함의 관계 등을 정리할 때도 밑줄에 괄호, 별표와 각종 체크가 지면 가득이다. 적절한 인용과 풍성한 사례는 이 책의 장점으로 가독성을 높이고 이해를 돕는다. “진정한 배움은 학생들에게 익숙한 인식 세계를 깨고, 새로운 관점으로 주변 세계의 문제들을 보게 함으로써 상투적이고 무비판적인 인식을 깨는 ‘불편함’의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는 배움이 가능하다.”(p.188) 날선 비판에 움츠러드는 부분, 내내 강력하게 주도하는 글로써 과하다 싶은 부분도 있지만 지평을 확장하는 배움을 위한 ‘불편함’의 감수는 반대할 수 없다. 주요 이슈를 빼곡이 담아 공부하며 읽어야 할 책 같다. 책 자체가 배움의 과정을 자연스레 경험케한다. 여러 부분에서 깊은 인상을 받았지만 그 중에서도 다시 펼치는 부분은 은밀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현대 세계의 “식민화”다. 이는 주체적으로 사유하는 ‘고독의 시간과 공간’ 가지기를 회피할 때 언제든 가능한 식민화로 “스스로 사유하고, 읽고, 고민하고, 대안을 찾으려고 씨름하는 과정에 들어서야 비로소, 자신의 정황과 연계된 대안의 실마리를 찾아갈 수 있게 된다.”(p.132)는 권고를 다시 새기게 한다. 희망적인 논의의 결말이 책을 덮는 독자의 마음에 선물처럼 남을 책이다.

책속에서>

현대 세계에서 식민화는 매우 은밀한 방식으로 진행되기에 스스로 인식하지 못한다. 주체적으로 사유하는 ‘고독의 시간과 공간’ 가지기를 회피한다면, 외부 세력이(그것이 사람이든, 대중 매체이든, 사회나 국가든) 나를 대신해 내 삶의 방향과 대안을 결정하게 하는 ‘식민화’의 문을 열 개 된다. 스스로 사유하고, 읽고, 고민하고, 대안을 찾으려고 씨름하는 과정에 들어서야 비로소, 자신의 정황과 연계된 대안의 실마리를 찾아갈 수 있게 된다.(p.132)


교육과정에서 '불편함'이 생략된다면, 현실 세계가 담고 있는 무수한 차별과 배제를 문제로 인식하고 새로운 변화를 만드는 '변화 주체'로서 이행하는 진정한 평등 교육은 불가능하다. 진정한 배움은 학생들에게 익숙한 인식 세계를 깨고, 새로운 관점으로 주변 세계의 문제들을 보게 함으로써 상투적이고 무비판적인 인식을 깨는 '불편함'의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는 배움이 가능하다.(p.188)

어찌 보면 인간의 삶이란 무수한 ‘작심 3일’들을 거치면서, 이 삶의 짐들을 견뎌 내면서 지금과 다른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생명 에너지를 공급받고 있는 것이 아닌가.(p.352)

인간의 삶은 무수한 ‘작심 3일’들이 만나서 유일하고 대체 불가능한 자신만의 여정을 이어가는 것이기도 하므로.(p.3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