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께 드리는 편지 위대한 생각 시리즈 13
프란츠 카프카 지음, 정초일 옮김 / 은행나무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란츠 카프카(1883~1924)의 『아버지께 드리는 편지(정초일 옮김/은행나무』 는 아버지 헤르만 카프카에게 보내는 편지를 묶은 서간체 작품으로 “가장 중요한 자전적 진술”로 평가받는다. 역자는 이 편지가 “고유한 용도를 갖는 사적인 서한인 동시에 자전적 에세이로서 그 자체로 훌륭한 문학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주제와 동기를 숱하게 담고 있다.”(p.151)고 전한다. 일면 보편성이 엿보이면서도 특별하게 다가오는 부자관계다. 이와 같은 편지가 가능했던 이유를 밀레나 예젠스카는 “무척 세심한 양심을 지닌 인간이자 예술가여서 다른 사람, 즉 귀머거리들이 안심하는 경우에도 마음을 놓지 않는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겉으로만 아버지를 사랑하는 체하면서 살아가는 쪽을 선택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p.159)라고 해석한다. 카프카는 고독 3부작으로 일컬어지는 『실종자』 『소송』 『성』을 비롯해 단편 소설, 일기와 편지 등을 통해 인간에게 엄습하는 부조리와 불안을 포착한다. ‘은행나무’출판사 번역본은 카프카와 가족들, 친필 원고 및 관련 사진을 곁들여 조금 더 가까이 작가가 지나온 시간을 가늠해 보도록 돕는다.

“최근에 아버지께서 제게 물어보신 적이 있지요. 제가 아버지를 무서워하고 있는 것 같다는 말을 하곤 하는데, 그런 말을 하는 이유가 무엇이냐고요.”(p.70) 라는 첫 문장은 글의 목적을 드러낸다. 카프카의 편지는 응하지 못했던 아버지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 자신의 마음을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 말이 아닌 글을 선택하고 있다. 카프카는 자기 안에 있으나 차마 꺼내지 못했던 말을 차분히 풀어놓는다. “아무튼 아버지와 저는 아주 달랐고, 이렇게 다르다는 점에서는 서로에게 몹시 위험한 존재였어요.”(p.14)라고 아버지와 아들의 “다름”을 하나의 벽, 나아가 견고한 성에 견주며 구체적인 사례를 열거한다. 말을 건네는 듯한 입말체 문장은 대상이 누구이든, 아버지를 넘어 독자에게 공감의 폭을 넓힌다. 독자는 카프카 부자의 이야기를 자기에게로 대입시켜 상황을 각색하게 된다. 때론 아버지나 아들의 목소리를 독자의 것으로 대체하거나 덧씌우며 그 입장을 발언케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개인적이지 않다. 사적인 편지를 넘어 관계를 질문하고 사유로 초대하는 교본처럼 읽힌다. 글쓰기로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는 치유적 글쓰기의 일면도 보인다.

카프카에게 글쓰기의 주제는 아버지였다. 아버지 때문에 고통 받았던 작가였기에 작품에 등장하는 아버지 또는 부정적 주인공들이 대부분 자신의 아버지의 은유하거나 표상한다. 그렇기에 그가 아버지를 고발할 때 예상할 수 있는 톤이 있음에도 편지의 어조는 조금씩 어긋난다. 실랄한 지적이 눈에 띄는 지점도 많지만 연민과 안타까움으로, 화해 또는 아끼는 마음으로 변조해간다. 민감하게 벼린 영혼 카프카에게는 눈감고 넘겨지는 아버지의 허물이 없었을 것이고 그 하나하나는 상처로 흔적을 남겼다. 감각과 반응이 모두 특출하기에 기억에 새겨진 다음 비유와 묘사로 크고 작은 기념비를 세우는 일도 자동반사 같다. “왜냐하면 제가 저에게만 잘못이 있다는 어린 시절의 죄책감에서 부분적으로 벗어나, 이제 우리 두 사람 다 도움이 필요하건만 어찌해야 좋을지 모르는 상태라는 점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p.37) 카프카의 통찰은 다름, 부당함, 상처를 회피하지 않고 직면함으로 가능했을 것이다. 마무리는 서두에서 했던 아버지의 질문에 “지금까지 제가 아버지 앞에서 두려움을 갖는 이유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p.129)라는 말로 갈무리한다. 이에 더해 아버지 입장을 가정한 “가상 반론과 해명”(p.161)으로 끝을 맺는다.

『아버지께 드리는 편지』에는 민감한 영혼의 고통이 잘 드러난다. 그에게는 “비뚤어지고 말테다”하며 자신을 던져버리는 자멸이 아닌 “글쓰기”라는 보물이 있었기에 스스로를 구원할 수 있었고, 훗날 관계에서 상처받는 영혼들, 미래의 독자들에게 위로와 휴식의 자리를 허락한다. 책은 또 한 가지, 아이의 심리를 들여다보고 경청케 하는 기능도 갖는다. 정신 들게 하는 문장으로 “자, 봐라!” 하고 경고하는듯하다.(p.145) 한때 자신도 연약한 어린아이였던 어른들은 그 사실을 빨리 잊는다. 자기 속에 있는 내면아이도 잊고 태연히 목소리를 내지르고 만다. 카프카의 날선 고발은 애정에 기반 하기에 실랄한 비유들이 통괘함과 때론 위트를 보인다. 곳곳에서 빼어난 비유를 통해 부모와 자식의 관계 역동을 쉽게 분석해서 풀어 쓴 가족 심리서를 연상시킨다. 꼼꼼한 역자해설은 “카프카 자신이 일기에서 ‘전설’이라고 불렀던 <법 앞에서>”(p.168)에 대한 관심을 높인다. 책을 덮으며 카프카 일가의 비극이 마음 아프게 다가온다. 자신처럼 아꼈던 세 여동생, 특히 셋째 오틀라의 죽음을 비롯해 아들의 죽음을 보고 아들보다 오래 산 아버지도 참혹한 시대의 희생양이다. 카프카 묘비에 적힌 글 중 “존경하는 헨노흐(헤르만) 카프카의 아들”이라는 문구가 시선을 끈다. 삶과 문학의 시작이자 끝점에 함께 착지하는 것만 같다. 『아버지께 드리는 편지』는 카프카의 주요 저작들과 함께 반드시 빠트리지 말아야 할 작품이다.

아버지께선 팔걸이 안락의자에 앉아 세상을 통치하셨죠. 아버지의 생각은 타당했고, 다른 사람들의 생각은 미쳤거나 엉뚱하거나 돌았거나 비정상적이었어요. 그럴 때 아버지의 자기 신뢰는 무척이나 굳건해서 굳이 일관된 입장을 유지할 필요가 전혀 없었고 일관성이 없어도 정당성을 잃지 않으실 정도였지요.(p.24)

이 점에 대해선 이렇게 비유할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은 각 단의 높이가 낮은 다섯 단의 계단을 올라가야 합니다. 다른 한 사람은 겨우 한 단에 불과하지만, 적어도 자기에게는 앞서의 다섯 계단을 다 합한 것만큼 높은 계단을 올라가야 합니다. 전자는 그 다섯 계단뿐만 아니라 그 후로도 수백 수천 계단을 능히 오를 것입니다. 그는 무척 힘겹지만 위대한 삶을 영위하다가 마감하겠죠. 하지만 그가 오른 계단의 그 어떤 한 단도 후자에게 최초의 높은 한 단이 갖는 의미를 지닐 수는 없습니다. 온 힘을 다해도 부족해서 디디고 올라서지 못한 한 계단, 그 계단을 넘어야 다다를 수 있는 곳에는 물론 가까이 가보지도 못한 사람의 첫 계단, 그 계단의 의미는 지닐 수 없다는 말입니다.(p.1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