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자국 소설의 첫 만남 10
김애란 지음, 정수지 그림 / 창비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애란의『칼자국(창비)』은 자전적 단편 소설로 자신이 성장했던 공간 ‘맛나당’을 중심으로 어머니 이야기를 들려준다. 원작은 2007년 발표된 단편집『침이 고인다(문학과 지성사)』이며 새롭게 이름을 올린 곳은 ‘소설의 첫 만남’(창비) 시리즈 중 ‘공감력’ 편이다. 김애란은 2002년 단편 소설「노크하지 않는 집」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한 이후 여러 문학상을 받으며 단편집과 장편, 산문집까지 활발한 행보를 보임으로 ‘"(이 작가를) 사랑하지 않는 것은 가능할까?" 라는 문학평론가 신형철의 표현을’ 증명하고 있다. 단독으로 새옷을 입은 『칼자국』은 정수지의 그림을 만나 책이라는 물성을 넘어 반짝이는 선물처럼 독자에 닿는다.

‘어머니의 칼끝에는 평생 누군가를 거둬 먹인 사람의 무심함이 서려 있다.‘(p.7) 소설의 첫 문장은 어머니와 칼, 무심함이라는 이질적인 낱말을 연결시킨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이 단어들은 화학작용을 일으켜 뜨거운 음식이 시원하듯 독자의 속을 얼얼케한다. 어머니의 장례를 치르며 어린시절의 기억을 돌아보는 과정은 그 자체로 애도의 시간이 된다. “어머니는 20여 년간 국수를 팔았다. 가게 이름은 ’맛나당‘이었다.”(p.12) 처녀때 인기가 좋았던 어머니는 아버지를 선택하고 ’어떤 위엄이랄까 단단함에 반해‘(p.27) 구입한 칼은 ’그류‘로 일관하는 남편을 대신해 가정을 꾸리고 자녀를 키우고 쓰러지는 순간까지 멈출 줄 모르는 유일한 삶의 수단이 된다. 씩씩하고 태연해 보인하다고 곤란이, 사무침이 없을 수 없다. 베인 손가락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고 남편이 동네 여자와 커플링을 하고 다닐 때도 어머니는 손안에 반지의 반짝임이 아닌 식칼의 번뜩임만을 쥔 채 ’칼박자‘를 놓치지 않는다. 그럼으로 감정의 굴곡은 시선을 흐트러트리지 못한다. 담담지만 뜨겁게 자식의 마음에 진심을 채우고 우주를 통과하고 세대를 넘는다. 이어져 끝내 사라지지 않으리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

이 소설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라면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그려지는 객관적 묘사를 만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생일이면 양지를 찢어 미역국을 끓이고, 구정에는 가래떡을 뽑고, 소풍날은 김밥을, 겨울에는 동치미를 만들어 주었다. 그사이 내 심장과 내 간, 창자와 콩팥은 무럭무럭 자라났다.”(p.54) 맛깔나는 음식의 향연은 소박하면서도 정겹다.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오감을 자극하는데 아름다운 삽화는 그 효과를 배가시킨다. 독자는 안다, 그것이 무엇인지를. 떠올린다, 내 어머니의 손맛을. 끝내 침이 고인다. 또한 경쾌해서 리듬감이 느껴지는 문체 역시 너무 빨리 읽어버렸다는 아쉬움을 남길 정도로 가독성을 높인다. 입에 붙는 문장은 소리 내어 읽고 간직하고 싶어진다.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기에 팩트의 힘까지 간직한 소설은 끈끈한 일화들로 고단했을 어머니의 시간을 기록한다. 칼을 빗댄 비유는 위트 있으면서도 풍성하다. ‘어머니가 칼같이 지키는 원칙 중 하나는 음식 나가는 순서였다.“(p.23), ”칼 잘쓰는 어머니가 지금까지도 못 자르는 게 있으니 그것은 단 하나 부부의 연이다.“(p.37), ”칼은 도마 위를 뚜벅뚜벅 걸어 나갔다. 어머니의 손은 빨랐고 칼 박자는 경쾌했다.“(p.42) 도마를 두드리던 어머니의 칼질은 시간이 흘러 칼날이 얇아지며 빛날수록 철학과 자부를 간직한 춤으로 승화된다. 작품의 주인공, 작가의 어머니는 모든 어머니의 자화상으로써 보편성을 획득한다.

딸이 쓰는 어머니의 이야기는 쉽게 감정으로 매몰될 수 있을 것이다. 정서가 눈물이나 한탄처럼 신체적으로 발산될 때 안도하고 타협하는 속도는 더 빨라진다. 무엇을 타협하나? 기억하고 기념하는 일을 ‘제대로’와 ‘미진하게’ 사이에서.『칼자국』은 누구에게나 이중으로 읽히는 책이다. 칼박자를 맞추며 행진하는 이야기의 여백에 나와 내 어머니의 시간 또한 알알이 박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품은 독자의 수만큼 무한 복제되고 ‘둥글게 자전하며 각자의 우주’로 여행을 시작한다. 결국 내 어머니를 향하는 헌사이자 시가 된다.

책 속에서>

-나는 어머니가 해 주는 음식과 함께 그 재료에 난 칼자국도 함께 삼켰다. 어두운 내 몸 속에는 실로 무수한 칼자국이 새겨져 있다. 그것은 혈관을 타고 다니며 나를 건드린다. 내게 어미가 아픈 것은 그 때문이다. 기관들이 다 아는 것이다. 나는 ‘가슴이 아프다’는 말을 물리적으로 이해한다.(p.8)

-“어머니는 좋은 어미다. 어머니는 좋은 여자다. 어머니는 좋은 칼이다. 어머니는 좋은 말(言)이다.”(p.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