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경험치를 쌓는 중입니다
김수정 지음 / 아트북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수정의 『미술 경험치를 쌓는 중입니다(아트북스)』는 “일상에서 예술을 만나는 ‘손쉬운’방법으로 여러분에게 미술의 위로를 전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9p)”라는 마음을 담은 따뜻한 초대장으로 시종일관 그 길을 안내한다. 오랜 기간 교육 현장에서 소통해온 시간은 대상자가 진정 필요로 하는 것에 관심을 두게 했고 본인이 검증한 가장 좋은 것들로 채워 선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시대가 어쩌면 형식과 타인의 시선이라는 포장을 걷어내고 본질을 선택하고 내면의 성장에 집중하게끔 강제했을 것이다. 익숙하지 않았지만 익숙해지도록 그래서 충만하고 자유로울 수 있도록 저자의 응원이 전해진다.

 

 

이 작지만 예쁜 책, 신기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로 가득한 책, 미술을 전공한 적이 없지만 늘 선망했던 나의 시간을 ‘잘했어’ 라며 지지해주는 책, 내가 아는 것 다 알려줄게 하며 아낌없이 내어주는 책, 나의 내일이 달라질 것 같다고 가슴 뛰게 하는 책, 줄과 체크로 가득 채워진 책 “미술 경험치를 쌓는 중입니다”를 다시 열어 본다. 첫 장은 강렬한 그녀, 프리다 칼로다. 화집은 물론이고 인물 이야기부터 여러 버전의 그림책까지 그녀의 이야기는 다양한 각도로 조명되는데 SNS 셀러브리티의 가능성은 공감되면서도 신선했다. 결국 해시태그와 검색과 좋아요에 소심 미적지근했던 나조차 긍정 게이지가 약간 상승한다.

 

 

“그림을 부르는 그림”에서는 앞선 그림의 영감을 받아 그린 오마주 작품들, 짝을 이루는 연작들 이야기가 호기심을 자극한다. 루이 베루가 나오는데 그는 20장 “미술관에서 그림 그리기를 허하라”에 재등장하고 이번에는 “모나리자 도난 사건”과 함께 기억에 남는 이름이 된다. “뭉크는 그림을 자식처럼 예뻐해서 그림을 팔았더라도 똑같은 그림을 다시 그려 모든 그림을 자신이 갖고 있기를 원했다(49P)”는 말에 뭉크가 새롭게 보이기도 한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세요. 취향은 수많은 실패와 낭비의 결과물이기도 합니다.(53P)”는 말과 함께 자신만의 “궁극의 넘버원”을 갱신하려는 노력, 열정은 배우고 싶다. “취향을 선물하는 사람”을 읽으며 동유럽 여행에서 클림트 우산을 선물해줬던 후배를 떠올렸다. ‘뭐 이런걸 다’ 머쓱해하면서도 정작 손떨려 비닐도 못빼고 먼지 속에 고이 간직하는 명화 우산, 이제 꺼내야 겠다 마음먹으며 선물 목록을 작성할 생각에 내 맘도 몽글몽글해진다. 엄지손가락보다 조금 큰, 그러나 강렬했다는 그웬 존의 “누드 소녀”이야기를 들으면서는 워싱턴 내셔널 갤러리의 그 정물화가 선명히 떠올랐다. 너무 작은데도 너무 강력했던 그림, “해골, 촛대와 책” 세잔이었다. 촬영 금지 표시 앞에 그림을 외워야 하나 생각하며 미치는 줄 알았다. 왜 검색을 하지 않았을까 그 또한 불가사의다.

 

 

“그러나 모든 감상법의 궁극적인 목표는 같습니다. 바로 미술을 ‘삶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76P)” 이 문장에 별표를 한다. 미술 일기 쓰는 법부터 트레이싱, 피가되고 살이 되는 사이트 목록, 꼬리에 꼬리를 무는 작품과의 인연, 부럽기 그지없는 마인드맵의 빼곡함, 영화 속 그림 찾기······그렇게 다시 페이지를 넘긴다. 마지막으로 “너와 함께라면, 미술관”에서 나의 인생의 미술관, 너무 오래 가보지 못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을 올해는 가보리라 내게 약속한다. 가장 좋아하는 곳 중 하나, 결혼 전에도 결혼 후에도 아이를 데리고 유모차를 밀고도 갔던 곳, 아기의 소중한 목각 버섯 딸랑이를 잃어버려 경사진 통로를 무한반복 수색했던 곳, 조각 공원의 “노래하는 사람”을 보고 “아저씨가 왜 저래?”끝없이 묻던 아이, 그 아이가 훌쩍 커 대학생인데 다시 손잡고 가볼 생각이다. “미술 경험치를 쌓는 중입니다”속 “미술로 행복해지는 방법”으로 따로 엮은 팁만 잘 활용해도 알차고 훌륭한 방법론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