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은 - 6집 공무도하가 [리마스터링 재발매]
이상은 노래 / 블루보이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혁명적인 앨범은 분명히 존재한다.
'혁명'의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서 어떤 앨범이 혁명적인지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혁명적 앨범'을 내 기준에서 판단해 본다면
나는 "음악을 듣는 재미를 깨닫게 해준 앨범"이라고 정의하고 싶다.

그러나 이런 지극히 개인적 기준을 뛰어넘어서
음악의 잣대에 대한 모든 가치판단을 리셋하게 해주는
그야말로 음악 인생의 모든 것을 송두리째 재정의하게 해주는
앨범들을 정말 드물게 (어쩌면 인생에 단 한 번)만날 때가 있는데
내게 이 앨범, 이상은의 6번째 앨범 [공무도하가]가 바로 그 앨범 중 하나다.

이상은이라는 가수를 처음 알았던 건 누구나 그렇듯이 <담다디>를 통해서였다.
80년대에 태어난 이들이라면 <담다디>의 훅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이 노래가 전해주는 강렬한 인상은 코찔찔이 초등학생, 아니 국민학생에게도
뇌리에 박힐 정도로 인상 깊었다. (훅 뿐 아니라 훅까지 진행되는 멜로디도 훌륭하지 않은가!)

이상은이라는 아티스트를 처음 알았던 2000년 발매된 리체의 베스트 앨범을 통해서였다.
글쎄.. <담다디>를 부른 롱다리 이상은의 앨범을 왜 사려고 마음먹었을까.. 지금 생각해보면
내 음악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박준흠의 [이 땅에서 음악을 한다는 것은]이라는 책에 수록된
이상은의 인터뷰가 너무나도 인상깊어서였던 것 같다. 박준흠과의 그 인터뷰에서 나는
<담다디>의 이상은이 아니라 '아티스트' 이상은을 어렴풋이 보았다.

사실 2000년 발매된 리체의 베스트 앨범은 '아티스트 이상은'의
면모를 보여주기엔 약간은 부족한 앨범이었을지도 모른다.
한국 대중음악계에 한 획을 그은 이 앨범 [공무도하가]의
<공무도하가>가 수록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것도 있고,
결정적으로 7집 [외롭고 웃긴 가게]의 전 곡이 저작권 문제로 인해
수록되지 못했던, 지금 생각해보면 토이의 베스트 앨범 같이 반쪽짜리 베스트 앨범이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이 베스트 앨범에 수록되어 있던 <너무 오래>와 <벽>같은 곡들은
이상은을 <담다디>의 아우라에서 벗어나게 해 줄 정도로 훌륭한 음악들이었다.
그렇게 아티스트 이상은과 조우했고, 이후 테잎으로 들었던 [공무도하가]는
내 음악 인생의 하나의 '충격'으로 다가왔다.

지금 생각해도 아직까지 의문이 드는 건 어떻게 이 앨범같은
'기적'이 우리나라에 갑자기 툭 튀어나왔냐는 것이다.
물론 90년대는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였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아무리 저변이 넓었고 시대적 상황이 '아티스트'들을 인정해주었던 조건이었다 할 지라도
이런 앨범은 결코 쉽게 나올 수 있는 게 아니다.

<공무도하가>를 조악한 테잎 음잘로 처음 들었던 충격은 아직도 잊지 못한다.
그건 하나의 혁명이었다. 교과서에서 배운 '공무도하가'를
어쩌면 이렇게 완벽한 하나의 음악적 이미지로 형상화 할 수 있었을까.
"공무도하 공경도하 타하이사 당대도하"라고 읊조리는 이상은의 모습은
소름이 끼칠 정도였고, '여성'이라는 테두리로 묶여있던 수많은 여성 뮤지션들의
일체의 가치판단을 다시 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느껴질 정도로 하나의 예술이었다. 

처음 음악을 듣고 받았던 충격은 반복해서 듣다보면 무뎌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공무도하가>는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충격적이다.
뿐만 아니라 이 앨범에서 시도하고 있는 라운지, 일렉트로니카 음악들은
결코 <공무도하가>의 동양적 선율과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바로 이것이다. 명반의 가치는......

세상에 명곡들은 많이 나올지 모르지만 명반들은 자주 나오는 게 아니다.
하나의 싱글로 봤을 때 훌륭했던 곡들이 앨범과 함께 섞여있을 때
그 매력이 감소하는 경우가 수없이 많음을 우리는 경험을 통해서 알고 있다.
그러나 이 앨범은 그 어떤 경험적 요인을 뛰어 넘는다.

이 앨범을 들을 때마다 몽롱한 상태에 빠지곤 한다.
<새>에서 보여주는 감수성과 <보헤미안>에서 보여주는 울림,
<September Rain Song> 등에서 느껴지는 독특한 아이덴티티.
이건 대중음악계의 르네상스라고 일컬어지는 90년대 중에서도 가히 어떤 '경지'의 수준이다.

너무 과장하는 것 같다고?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이라고?
이러한 모든 일반화를 한번에 날릴 수 있는 게 바로 이 앨범이다.

한국 대중음악계가 지금까지 하찮게 느껴지는가.
역시 우리나라 음악은 촌스럽다고 느껴지는가.
그렇다면 주저없이 이 앨범을 한번 들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지금껏 이런 '포스'를 보여준 앨범은 만나지 못했고, 앞으로도 만나기 힘들 것 같다.

분명 이 앨범은 한국 대중음악계의 '정점'을 찍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라한 2017-09-04 23: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감!
 
황보령 - Shines in the Dark [재발매]
황보령 노래 / Beatball(비트볼뮤직)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아쉽다! 정말 너무 아쉽다!

한 해에 나오는 앨범만 해도 수백 장일 진데
이 중에서 '좋은 결과물'임에도 불구하고 묻히는 앨범은 한 두개가 아닐 것이다.
그런 앨범 하나하나를 거론하면서 푸념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건 없다.
그래! 나도 안다! 하지만 이 앨범만큼은.. 푸념 좀 해야겠다.

인디씬 1세대 임에도 불구하고 공백기간이 너무 길어서였는지
뮤지션의 이름이 생소해서였을까. 아니면 앨범 자켓이 낯설어서였을까.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2009년에 나왔던 수많은 인디 앨범 중에서도
이 앨범을 주목하지 못한 이유를 어디서 찾아야 할까.

개인적으로 이 앨범을 멜론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듣고
첫 곡 <돌고래 노래>가 나오는 그 순간... 정말 멍한 충격을 받았다.
황보령이라는 이름은 그야말로 기억 속에 꼭꼭 숨어 있었는데
<돌고래 노래>의 첫 소절 "언제나 살아 있어줘"가 나올 때
그 독특한 목소리를 들으니 등 뒤로 소름이 스멀스멀 피어나면서
당장 앨범을 구매하려고 알라딘에 접속하고 있는 나를 발견했다.

이 소름끼치는 느낌은 앨범이 끝날 때까지 이어졌다.
<식물펑크> <해 海 解 Go> <그리운 사람> <한숨> 등에서
보여주는 황보령 만의 독특한 아이덴티티는 분명 그 어디에도
뿌리를 찾을 수 없는 독보적인 것이었다.  

굳이 영향이 느껴지는 뮤지션을 한 명 꼽아보라면 이상은 정도 밖에 없을 것 같다.
그러나 이 앨범은 결코 이상은 이라는 한국 대중음악사에 한 획을 그은
여성 뮤지션의 바운더리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수준의 작품은 아니다.
[공무도하가]를 처음 들었을 때의 '충격'과도 같은 감동
이 앨범에서도 고스란히 느꼈다는 점은 부정하지 않겠지만 말이다.

이번 서울대중음악상에서도 모던록 부분에 단 한 부분에 노미네이트 되어
결국 서울전자음악단이라는 막강한(!) 밴드에 밀려 수상 하지 못했지만,
단순히 수상 경력 따위가 음악의 수준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다.
훗날이라도 이 앨범의 '가치'가 많은 이들에 의해 제대로 알려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울전자음악단 2집 - Life Is Strange
서울전자음악단 노래 / Kakao Entertainment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이 말은 역으로 어떤이들에게는 그저 시큰둥한 앨범이 될 수도 있다는 말이겠다.

분명 이 앨범에 대해 '부족한 점'을 꼽으라면 꼽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뛰어난 점'을 꼽으라고 한다면 "싸이키델릭한 사운드"라는
애매모호한 비겁한 표현으로 설명하는 것 외에는 딱히 말할 수가 없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고 우리가 '싸이키델릭하다'고 말할 때 흔히 떠올리는 환각적이고 몽롱한 감성을
앞세워 각 곡의 선이 추상적이고 흐릿흐릿한 음악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이 앨범은 독특한 개성으로 가득차 있다.

신윤철-신석철 형제는 굳이 설명이 필요 없는 '명문 음악가' 집안이다.
장남 신대철은 일찍이 시나위라는 전설적인 그룹을 결성해서
아버지의 명성을 이어가고 있었지만, 신윤철의 행보는 조금은 달랐다.
말하자면 그는 정형화된 뮤지션이었다기 보다는 '괴팍스러운 천재'의 이미지였다.
이는 비단 그가 원더버드라는 펑크록밴드를 이끌었던 경험에 전적으로 한정된 이미지는 아니다.
그가 치는 기타는 어딘지 모르게 형 신대철의 화려한 기타와는 달리 즉흥적인 필이 충만했고
그가 만든 노래들은 주류 록음악의 공식을 조금씩은 벗어나 있었다.

결국 그러한 아웃사이더적 성향은 그를 고립시켰다.
넘치는 재능을 온전히 표현할 수 있는 노래와 밴드를 만나지도 못했고,
그만의 독특한 괴짜 성향에 귀 기울여주고 공감해줄 수 있는 대중들도 없었다.
이는 서울전자음악단이라는 밴드를 결성하고 1집을 낸 그때까지도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이번 2집 앨범....

여기서 그는 드디어 그의 '재능'을 마음껏 펼쳐보일 수 있는 음악을 만났다.
넘쳐나는 재능을 주체할 수 없어 완성된 결과물을 보면 어딘가 조금은 부족하고
혹은 조금은 과하다고 느껴졌던 기존의 음악들과는 다르게 이번 2집 앨범에서
그는 각각의 곡에서 기가 막힌 절제미와 균형미를 보여주며 '짬밥'을 과시한다.

자전적인 가사의 첫 곡 <고양이의 고향 노래>로 신나게 앨범의 포문을 여는 이 앨범은
<종소리>나 <나무랄 데 없는 나무>와 같은 충격적인(!) 트랙들과
<따라가면 좋겠네>와 같은 팝적인 감수성을 가진 트랙들이 공존하는 작품이다.
<꿈속에서>와 같은 음악들은 약간 과한 것 같다는 느낌이 살짝 들기도 하지만
앨범의 전체적인 균형미를 해칠 정도의 욕심은 결코 아니다.

굳이 한국대중음악상 3관왕이라는 수상경력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이 앨범은 충분히 좋은 앨범이다.

비록 누군가에게는 지금껏 언더와 오버를 막론하고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록의 새로운 의사소통 방법에
낯설고 이질적인 느낌이 들 수도 있겠지만
그 생소함을 극복한다면 아마도 피폐한 한국 대중음악계의 환경에선
도저히 나올 수 없을 법한 이 기적적인 결과물에 중독될 것임은 자명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갤러거 2011-01-28 0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승열을 좋아해서 서전음도 알게된 케이스인데 이분들 정말 내공 장난 아니죠 ㅋㅋ
이 앨범의 '서로 다른'은 아무리아무리 들어도 질리지 않아요. 황홀한 기타리프 ㅠㅠ
 
John Mayer - Where The Light Is: John Mayer Live In Los Angeles [2CD]
존 메이어 (John Mayer) 노래 / 소니뮤직(SonyMusic)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나는 존 메이어의 음악을 일종의 '의무감'으로 들어봤던 것 같다.
그래서 처음에 더 느낌이 와닿지 않았던 건지도 모른다.

상당히 훌륭한 평단의 반응을 얻어냈던 데뷔앨범 [Room for Squares]은
개인적으로 정말 밍숭맹숭했다. -_- 그냥 처음 들었던 느낌은 '무난하다'였다.
여기서 그 어떤 평단의 찬사의 근거도 찾지 못한 채 CD는 몇 년을 그냥 구석에 버려졌다.

그러다가 3집 [Continuum]을 듣고서는 존 메이어에 대해 품었던 
기존의 고정관념들이 하나 둘씩 무장해제되기에 이른다.
그냥 그런 무난한 팝음악이나 하는 뮤지션이라고 생각했던 그였는데
이 앨범에서 보여주는 진한 일렉기타 소리의 여운은 한치의 망설임도 없이
나를 그의 멋진 음악 세계로 풍덩 빠지게 해주었다.

그리고, 이 두장 짜리 라이브 앨범은 어떤 '결정타'였다.
앨범은 크게 'Acoustic Set'과 'Trio Set', 'Band Set'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주목해야 할 건 'Trio Set'에 속해있는 라이브 음악들이다.
앨범 상에서는 여러가지 제약 상 보여주지 못했던 존 메이어 음악의 '생동감'을 보여준다.
특히 첫번째 CD의 마지막 곡 <Bold As Love>의 기타 애드립은 그야말로 환상적이다.

죽여주는 어쿠스틱 기타 솔로잉으로 시작되는 <Neon>은 메인 리프가 나올 때
거짓말 조금 보태서 '전율'이 살짝 올 정도로 멋지고, 최대 히트 앨범 3집 수록곡인
<Slow Dancing In a Burning Room>은 정규 앨범보다 훨씬 멋드러진 라이브 곡 중 하나이다.

글쎄. 내가 만약 이 앨범을 처음 들은 뒤 존 메이어의 다른 정규 앨범을 접했다면
정규 앨범에 대한 매력이 조금은 감소했을지 모를 정도로 이 라이브 앨범은 그야말로 훌륭하다.
정규 앨범에서 밍숭맹숭하게 듣고 그냥 지나쳐갔던 곡들도 이 앨범을 듣고 나서
다시 꺼내들게 했을 정도이니... 

라이브 앨범에 '명반'이라는 말이 쉽게 어울리진 않지만
이 앨범은 예외다.
근래 라이브 앨범 중에서 보기 드문 '명반'이다.
가격까지 1장짜리 가격인데 전혀 망설일 필요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use - The Resistance [쥬얼 케이스]
뮤즈 (Muse) 노래 / 워너뮤직(WEA)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뮤즈의 1집 [Showbiz]의 <Bliss>를 처음 듣고 받았던 흥분이
아직까지 생생한데 이들은 어느새 5집을 낸 슈퍼 밴드가 되어버렸다.

이들의 음악은 초창기, 특히 1집때까지만 해도 
독창적이라고 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었다.
라디오헤드가 가지고 있는 멜랑꼴리함을 적당히 피아노와
차가운 사운드의 록사운드와 교배시켜놓은 형태였으니 말이다.
특히 매튜 벨라미의 보컬은 딱 톰 요크, 그 자체였다.

그러던 이들이 2집과 3집을 거쳐 자신들의 음악의 전환점이었던
4집을 발매하면서 확고한 뮤즈만의 개성있는 색깔을 찾아갔다.
그리고 이제.. 5집을 발매한다.

사실 뮤즈의 앨범 중 가장 맘에 드는 앨범 한장만 꼽으라면 나는 2집을 꼽고 싶다.
1집의 설익은 느낌도 불과 2집만에 상당히 농염하게 변해있었고,
굳이 <Plug In Baby>같은 킬링트랙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앨범의 모든 곡들은 각각의 완성도는 물론이고 균형미도 상당히 잘 갖추어져 있었다.
(하지만 가장 훌륭한 앨범을 꼽으라면 난 4집을 꼽을 것이다)

그러나 5집까지 발매한 뮤즈는 이제 초창기의 순수하게 록킹한 모습은 보여주지 않는다.
그렇다고 4집에서 시도했던 음악적 변화를 고스란히 안고 가는 것 또한 아니다.
전작의 <Supermassive Black Hole>같은 충격적인(?) 곡들은 없지만
확실히 <Exogenesis : Symphony> 3부작은 또 다른 도전이자 뮤즈 음악의 새로운 시작이다.

아직은 모르겠다.
항상 뮤즈 음악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좋게 들렸다.
3집은 아직까지도 가장 별로라고 생각하는 앨범이긴 하지만
4집같은 경우는 처음에 들었던 느낌과 나중에 들었던 느낌이 가장 달랐던 앨범이었기 때문이다.

확실히 전작들에 비해서 손이 덜 가는 것도 사실이고,
대곡지향적인 강박관념이 있나 싶을 정도로 무리수로 느껴지는 부분도 있지만
섣부른 판단은 하고 싶지 않다. 아직까지는 '의무감'으로 앨범을 구입했지만
나중에 시간이 지나서 "내가 그때 왜 이런 말을 했을까" 하며 과거의 경솔한 판단에
뒤늦은 후회를 하고 싶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지금까지 지껄였던 말들은
뮤즈라는 밴드의 음악 안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평가지
모든 록앨범들을 기준선상에 놓고 나불댄 절대평가가 아니란 것이다.
이 앨범은 다른 누구도 아닌 뮤즈의 앨범이다. 뭘 망설이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