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때가 오면 - 존엄사에 대한 스물세 번의 대화
다이앤 렘 지음, 황성원 옮김 / 문예출판사 / 2024년 6월
평점 :
삶과 죽음은 공존한다. 삶이 있으면 죽음도 있다. 삶이 시작되면 죽음도 시작된다. 다만 현세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비교적 죽음을 연장할 수 있는 각종 의료시설 및 환경에 놓여있고, 죽음을 온전히 마주하지 않는 사회적 심리로 인해 죽음을 현실적으로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근래야 고령화와 같은 인구구조의 변화라든지, 고독사와 같은 사회적 현상을 비롯한 여러 죽음의 상황을 목도하게 되면서 더는 죽음을 마냥 묻어둘 수만은 없게 되었다. 우리도 ‘언젠가’는 죽는다는 사실을 자각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 언젠가라는 죽음의 ‘때’를 과연 내가 원하는 온전한 시기와 형태로 맞이할 수 있을까.
먹고 싶은 음식을 내 의지대로 먹고, 여행하고 싶은 곳을 내 의지대로 여행하는 것처럼 내가 어떻게 죽고 싶은지도 마찬가지로 내 의지대로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가령 몸은 덜 아픈 상태로, 편안한 집에서, 내가 마지막까지 마주보고 싶은 이들과 마주하며 눈을 감는 상상을 해 본다. 아쉽게도 현실은 그렇지 않아 보인다. 어떻게 죽을지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보기는커녕, 애초에 우리는 성숙하고 안정적으로 죽음을 맞이할 마음가짐이나 환경에 있지도 않다. 죽음이라는 미지에 대한 두려움과 무력감 때문에 자연히 그렇게 된 것일까.
어쨌든 그런 까닭으로 준비 없이 죽음을 목도하게 되면 무너지게 되는 것이다. 그저 막연히 언젠가 죽겠거니, 나중에 되면 다 알아서 되겠거니 하는 마음으로 살다가 말이다. 그래서 아직 죽음이라는 경험에 미숙한 본인으로서도 그저 두려울 뿐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죽음의 공포를 벗어나는 방법은 되레 죽음을 주제로 한 논의에 관심을 갖고, 생각을 아끼지 않는 것이라고 본다. 안락사, 존엄사, 연명의료와 같은 죽음과 얽힌 주제에도 적극적으로 다가갈 필요가 있지 않을까.
또한, 죽음을 알아간다는 것은 그 공포를 마주하는 일을 넘어서, 우리 각자의 삶에 대해 돌아보고 개개인의 더욱 의미있고 충만한 삶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의 때가 오면>은 죽음에 대한 깊은 사유를 주는 좋은 책이었다. 이 책은 일찍이 어머니와 남편의 죽음을 마주하고 존엄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저자가, 훗날 다양한 이들을 만나며 그들과 함께 존엄사를 주제로 나눈 인터뷰를 정리한 것이다. (질병으로 인한 말기 환자, 그의 가족, 의료 종사자, 종교인, 입법가 등)
이 책의 저자는 존엄사를 찬성하는 의견 및 반대하는 의견 모두 골고루 포용하며, 다가올 죽음을 어떻게 준비하고 꾸릴 것인지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정리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어떠한 죽음의 형태가 옳은지 그른지를 섣불리 재단하지 않고, 각자가 놓인 상황과 환경에서 어떻게 삶의 마침표를 아름답게 마무리할 수 있을지 고민할 수 있다.
*
개인적인 의견을 덧붙이면 정신적으로 고통이 극심한 이들을 대상으로 안락사를 고려할 수 있는 선택지에 대해 적극적으로 논의되면 좋겠다. (안락사는 인위적인 생명 단축 행위로서 존엄사보다는 조금 더 적극적인 개념이다. 신체적으로 병들고 아픈 경우는 죽음에 이를 수 있지만, 정신적으로만 병들고 아플 때는 죽음에 이를 수 없다. 다만 죽음을 선택하고 싶을 정도로 고통스러운 마음을 갖고 살아가야 한다.) 따라서 신체적인 고통과 더불어 정신적인 고통도 인정받았으면 싶은 것이다.
삶은 행복할 때도 있지만, 그 이상으로 고통스러운 순간이 느껴질 때가 더 많으니 그런 생각이 들었다. 다만 이러한 유형의 안락사는 정말 복잡하고 논란이 될 사안이 분명하니 신중히 접근해야 할 것이다.
본인은 단순히 무조건적인 정신적 고통에 따른 안락사 입법을 위한 목표의 논의를 바라는 것보다는, 우리가 삶을 이야기하는 만큼 거리낌 없이 죽음에 관해서도 이야기함으로써 이른바 죽음에서 삶을 찾는 과정을 찾았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