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를 넘으니 길이 보였다 - 부딪쳐라! 스며들어라! 그리고 내 자리를 차지하라!
정승희 지음 / 에스카사(S·CASA) / 2021년 11월
평점 :
절판


좋은 책입니다. 글을 어찌 이토록 맛깔나게 쓰셨는지.. 내용도 유익하고요. 다문화시대 기성세대뿐 아니라 젊은이들에게도 꼭 필요한 책이에요. 시야를 넓혀주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 떠보니 선진국 - 앞으로 나아갈 대한민국을 위한 제언
박태웅 지음 / 한빛비즈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제 tv 나오신 분. 일리 있는 조언이었다. 책을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바름이라는 착각 - 우리는 왜 조던 피터슨에 열광하는가
유튜브 읽어주는 남자 지음 / 데이포미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c주의, political correctness 정치적 올바름이라고 번역하더군요. 예전에 이 영어 표현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으나 정확한 의미나 용례는 제대로 모르던 터에 며칠 전 <올바름이라는 착각>(유튜브 읽어주는 남자 지음, 데이포미 출간)이라는 책을 읽으며 개념을 조금 더 명확히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이 책을 통해 파악한 pc는 곧 "기계적, 도식적 올바름"인데요(물론 pc에 반대하는 입장에서 해석한 것입니다. 찬성론자들은 그렇게 해석하지 않겠지요). 자세한 내용은 이 책을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비판하는 입장도 있지만, 제가 보기에 저자의 관점이 그리 편향되어 보이지는 않네요. 일리가 있는 주장이고, 조던 피터슨의 책도 찾아보고 싶어졌습니다.


한마디로 "개인의 불행과 고통을 사회 구조 탓으로 돌리지 마라. 너 스스로 바로 서라, 집단에 파묻혀 무책임하고 무익한 비난을 일삼는 나약한 존재로 전락하지 마라, 그 끝은 허무주의이니. 그보다 주체적인 개인으로 당당히 서라. 비록 그것이 힘들고 괴로운 일일지라도." 저는 일리가 있는 주장이라고 받아들였습니다. ~^^(책은 도서관에 신청하여 읽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본문의 아주 작은 글씨체와 상당히 큰 폰트의 적절한 배합이 독자로서 읽기에 지루하지 않게 해주어 신선했습니다.  천편 일률적인 지루한 글자체의 나열은 이제 좀 지양하자고요. 안 그래도 책 읽는 독자들이 줄어드는 마당에 어떤 식으로든 독자의 눈길을 붙잡는 편집과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 책은 적절한 시도로 보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풍요로웠고, 지구는 달라졌다
호프 자런 지음, 김은령 옮김 / 김영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의 승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모메디타티오 - 명상하는 인간
정지욱 지음 / 학고방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저자들이 쓴 명상 책을 보면 대개는 과학적, 합리적 근거와 설명이 부족한 "계룡산 도사"이거나 자신의 개인적, 일시적 경험을 절대화하는 "1인 교주"들이 많은데 이 저자는 철학을 전공한 분이어서 그런지 명상에 대해 논리적, 합리적으로 풀어가고 있다. 자기 경험을 이야기할 때도 편벽되지 않고 일정한 근거를 들어 객관적으로 이야기하되 개인적인 감정도 솔직하게 담아 읽는 이로 하여금 친근감과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현대사회에 왜 명상이 필요한지를 소비사회, 물질만능주의 자본주의 사회라는 맥락에서 적절하고 설득력 있게 짚어주었고, 명상의 본질과 기제, 명상의 방법 등도 균형감 있게 서술하였다. 또 동양철학을 전공한 분답게 유교, 도교 등 동양철학과의 관계 속에서 명상을 바라보는 관점도 나름 새로운 시각을 독자에게 제공하는 것 같다. 


저자의 직접 경험에서만 나올 수 있는 솔직하고 정직한 통찰이 독자에게 매력으로 다가온다. 또 한국 현실과 밀착한 이야기들은 읽는 이에게 친근감을 준다. 명상에 관심을 갖고 시작하려는 이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을 오랜만에 만났다. 


오자가 군데군데 눈에 띄나  저자가 전하려는 진의와 진정성을 감안할 때 충분히 애교로 봐줄 수 있는 수준이다. (p.50 밑에서 다섯째 줄: 학은 -> 오리는 / p.51 첫째 줄: 학은 -> 오리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