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과서가 쉬워지는 초등 과학 신문 ㅣ 뉴톡 1
박명선 지음 / 청림Life / 2024년 10월
평점 :
초3 아이 사회, 과학 교과서를 보고 느낀 점은
평소 아이가 갖고 있는 상식이 자신의 생각을 펼치는 데 많이 활용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리고 교과서 속 지식을 단순히 암기하고 지나기보다
그 지식들이 얼마나 우리 삶에 필요한 내용들이고 가까이 있는 내용인지 알면 좋을 것 같아서 선택한
초등책 한 권
청림라이프 도서출판
교과서가 쉬워지는 초등 과학 신문

'우리 주변의 모든 뉴스가 교과서 속 지식이 됩니다. "
교과서 예습하듯이 그냥 아이와 한 챕터씩 찾아서 읽으라고 하는 것이 편한 편이라,
1장씩 기사와 기사와 관련된 활동들로 구성된 부분이 우리 집에는 더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 교과서가 쉬워지는 초등과학 신문 ] _ 구성
총 35 기사 구성
각 챕터마다
'1단계 신기한 뉴스 - 2단계 우당당 교과서 - 3단계 실력 쑥쑥! 어휘를 알려 줘'
나뉘어져 있습니다.
1단계 신기한 뉴시 >>>
각 뉴스에는 기사 위에 <핵심 키워드>가 정리되어 있어요.
미리 키워드가 있으니, 키워드에 집중하면서 읽게 되더라고요.
'채화경이라는 게 뭐야?' 궁금한 단어가 생기니, 그 단어의 의미가 나와있는지 확인하면서 읽게 된달까요?
본문을 따라 가다 보면, '성화'가 무엇이고, '채화', '채화경'이라는 단어가 무슨 뜻인지 자연스럽게 알게 됩니다.
<개념 어휘> 코너가 기사 아래에도 있어서,
기사에서 어렵거나 모르는 단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핵심키워드 '채화경' 안에 포함되어 있던 '채화'라는 단어의 뜻이 나와있어서, 채화경을 더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네요.
<정리해볼까요?> 코너를 통해
요약하기 문제를 풀다 보면, 기사 내용을 논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요
기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질문들이 객관식이 아니라 주관식으로 아이가 기사를 다시 집어보면서 살펴볼 수 있도록 한 점이 좋네요.
수능 국어 독해 공부를 할 때에 단순히 많은 문제를 푸는 것도 필요하지만,
하루에 1지문이라도 제대로 해석하는 것이 나중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고요.
문제를 풀기 위한 지문 읽기가 아닌 지문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연습을 해야 한다는 말이죠.
그런 점에서 4번. 문단별 내용 정리 (1문단 : ~ 5문단: ) 코너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 가장 좋았습니다.
<생각하기> 문제는 신문 기사를 폭넓은 관점에서 볼 수 있도록 해 줘요.
9-1 뉴스에서는 '5. 오목 거울의 성질을 활용한 문제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찾아보세요.'
초등과학 신문인 만큼 과학 원리를 생각해볼 수 있는 문제들이 많이 들어있는 것 같아요.

2단계 우당탕 교과서 >>>
10-1 왜 튀르키예에서 지진이 발생했을까? 뉴스에서는
' 지진, 지각판, 내진' 키워드들을 배우게 됩니다.
10-1 뉴스와 관련 교과 단원은? 4-2 화산과 지진
'과학 교과 단원4-2 화산과 지진' 교과서 내용을 담아 집중 취재 대화문을 통해 재미있게 구성하였네요.
이 책에 실린 대화, 인터뷰, 편지 등의 내용은 어린이들이 좀 더 쉽고 재미있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가상으로 재구성된 것이라고 해요.
<교과 연계 퀴즈>를 풀면서 교과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요.
어휘의 뜻을 정리하여, 그 뜻을 읽고 어휘를 찾아 쓰거나
문장의 내용으로 그 흐름상 필요한 어휘를 찾게 하네요.
'신가한 뉴스'와 같이 '우당탕 교과서'에서도 <생각하기> 코너를 담아서
자료를 찾거나 답을 상상하는 과정을 통해, 사고력을 키울 수 있어요.
9-2 집중취재 내용과 관련하여 최근 뉴스를 찾아보도록 문제를 구성하였네요.
'4. 최근 북유럽의 나라, 아이슬란드에서는 잇따라 큰 화산 폭발이 일어나고 있어요. 관련 기사를 글로 정리한 다음, 재난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생각해 보세요. '

16-3 실력쑥쑥! 어휘를 알려줘 >>>
신문 기사와 교과서에 나오는 개념어 중에서 꼭 알아야 할 단어를 자세히 알려줍니다.
대화체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고, 16-3처럼 두 글을 통해 여러 어휘를 설명하기도 합니다.
<어휘 통통> 코너에서는 객관식 문제, 빈칸 채우기 등
다양한 어휘 문제를 통해 단어를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요.
신문 내용을 읽으면서 시하 어휘도 익히면서도, 초등 필수 과학 개념어까지 따로 수록하여
어휘 실력 향상하는데 정말 좋은 교재인가요. 독해 문제집 한 건 푸는 것보다 더 좋을 것 같아서, 문학 문제집/ 비문학 문제집 한 권씩 골라서 풀릴 때에 신문읽기 교재도 함께 넣어 돌려가면서 풀어보게 할 예정입니다.
모두 한꺼번에 풀리면 좋겠지만, 국어 문제집들이 보통 2개월 정도면 끝나서 국어 문제집 1권 풀리고 이런 신문 읽기책 1권 읽히고 풀리면 한 학기에 충분히 끝낼 수 있을 것 같네요.

교과와 관련된 문제집은 어렵지 않은 수준으로 현행 진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교과 문제집을 풀리면서도,
그럼에도 한 두 권 정도는 조금 아이 수준을 업그레이드시켜줄 만한 교재가 필요하다는 걸 아이와 영어 공부를 하면서 느끼게 되었습니다.
사회, 과학분야(비문학) 독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조금은어려울 수 있지만 해볼만한 구성된 교재를 하나 선택하였고, 신문 읽기 교재로 선택한 책이 [ 교과서가 쉬워지는 초등과학 신문 ] 입니다.
신기한 과학 뉴스와 교과서 속 지식을 한 번에!
어휘력부터 사고력까지 과학 문해력을 높이는 특극 솔루션
[ 교과서가 쉬워지는 초등과학 신문 ] 은
4학년 1학기 식물의 한 살이
4학년 2학기 그림자와 거울
5학년 2학기 물체의 운동
6학년 1학기 여러 가지 기체 등
과학 교과서 단원과 관련한 신문읽기라
시사 어휘와 시사 지식도 익히고
아이들과 교과서 단원과 맞춰서 골라 읽어도 좋은 초등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 서평은 해당 도서출판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