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남은 시간 -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시대, 인류세를 사는 사람들
최평순 지음 / 해나무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 남은 시간

최평순/해나무

그린피스(Green peace)라고 하면 세계적으로 활동 중인 환경구호단체이다. 오래전부터 소액을 기부하며 소식지를 간간이 받았지만 형식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 관심밖의 이야기였고 북극곰을 돕는다는 캠페인, 바다 해양을 살린다는 광고는 사람을 직접 돕는 월드비전이나 세이브더칠드런같은 대민구호단체보다 도움이 절실하다는 느낌이 없어서 그나마도 얼마 안되는 정기후원금을 더 줄이기도 했던 기억이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 난 후부터는 환경구호를 하는 새로운 후원처를 찾아야 겠다는 생각으로 바뀌게 되었다.

저자는 환경스페셜같은 환경관련 다큐위주로 제작해 온 중견PD이다. 저자는 본인의 숙명이자 의무라는 일념으로 남들이 관심조차 않는 '지구의 환경'을 주제로 프로그램을 만들어오고 있으니 그 점만 보아도 대단히 책임감 넘치고 어쩌면 은인같은 인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인류세'는 새로운 환경용어로 국내에서는 생소하지만 이 표현을 처음 사용한 분은 저명한 학자이자 교수인 파울 크뤼천, 에드워드윌슨 박사이며 저자가 그 분들의 견해를 많이 책에 가져왔다고 한다. 그분들은 독일사람이며 현지에서는 이 '인류세'에 대해서 활발히 연구를 하고 있다. 저자는 인류세 전도사일 정도로 현세를 잘 나타낸 표현으로 역설하며 국내에서도 널리 알려지길 피력했다. 인류세는 근 50년간 인류에 의해 기후에 심각한 영향을 준 기간이며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국내외 환경문제에 대한 서민의 관심도는 국제적으로 비교할 때 현저히 낮다고 한다. 끝에서 선두를 다툴정도. 소극적인 환경운동 즉, 착한 소비자 운동(가정 재활용, 일회용제품 안쓰기, 종이빨대사용 등 하면 됐지하는 정도)에서 그친다고 한다. 그리고 언론, 방송에서조차 환경에 대한 기사나 소식은 메인방송 뒤에 나오는 추가 소식 중 하나정도로 중요도가 낮아서 나라전체가 내 문제가 아니면 관심이 없다는 투다. 지금처럼 한국의 환경의식이 강건너 불구경할 것이 아니라 어디서나 메인으로 다뤄져야 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인류세는 인류를 중심으로 지구의 환경을 지켜줄 수도 망가뜨릴 수도 있고 인류의 먹고 살 터전의 존폐가 달려있는 문제라 범세계적인 고민거리가 되길 바라고 있다.

기번(유인원 중 하나)과의 소통, 원양어업남획, 불법조업문제, 저자가 제작한 다큐 텀블러라이프, 기후우울, 기온상승으로 히말라야 빙하호수문제, 상괭이(고래과 일종)남획문제 등 화젯거리가 많고 관심이 가는 부분이 많다. <우리에게 남은 시간>은 우리가 어떻게 환경에 대해 관심을 갖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일회독을 해보실 것을 추천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 공부 - 논어에서 찾은 인간관계의 처음과 끝
조윤제 지음 / 청림출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공부

조윤제/청림출판

'조문도석사가의'

이는 '아침에 도를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라는 뜻으로 논어를 읽으면 항상 떠오르는 문구이다. '도'를 알기위하여 수행도 하고, 정성을 쏟고 시간을 들이는 행위를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도를 깨닿는 것이 죽음못지 않게 중요함을 우회적으로 이야기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마음을 움직이는 금같은 말씀들이 속속 자리하고 있는 논어는 평생두고 익히기에 부족함이 없다. 책에서 말하듯 혹자가 "논어의 반으로 나라를 세우고, 나머지 반으로 나라를 다스린다."고 했을 때 과연 논어가 얼마나 높으면서도 깊은 말씀일지 가늠조차 되지 않는다.

충성을 뜻하는 충, 용서를 뜻하는 서, 정성을 뜻하는 성 이 세글자를 대주제로 정해두고 연관이 되는 논어의 말씀을 인용 하였고 관련된 고사, 예화들을 제시해주고 저자 조윤제님의 해설을 담았다. 논어를 주제로 한 다양한 서적이 시중에 있는데, 이는 다양한 저자들이 책을 내고 있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해설의 깊이는 같지 않는 것이 당연할 터인데, 저자 조윤제님의 깊이는 독자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물론 더 잘하는 분도 분명 계실터이지만 내 지식과 수준을 기준했을 때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음을 말씀드린다.

제목이 '사람공부'이다. 영원히 풀어야 할 숙제이자 영원한 학습주제가 곧 '사람'이므로 '사람공부'라는 제목은 시의적절하다고 본다. 그리고 사람공부를 위한 고전 중에 중심은 바로 논어라고 과감히 제안하는 것이다.

부제가 '논어에서 찾은 인간관계의 처음과 끝'이다. '인간'자체 내면과 본성에 대한 이야기부터 '인간관계'까지 다방면으로 다룬 것이 논어이다. 다른 책은 차치하고서라도 '논어'만큼은 왜 가까이해야하고 다양한 해설서가 나와있는지 그 까닭을 고민해봐야함은 오늘날까지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하나의 의무가 아닐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토록 멋진 인생이라니 - 모리가 화요일에 다하지 못한 마지막 이야기
모리 슈워츠 지음, 공경희 옮김 / 나무옆의자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토록 멋진 인생이라니

모리슈워츠/공경희

나무옆의자

이 책은 미치 앨봄의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보다 훨씬 먼저 쓰여진 원고이지만 뒤늦게 발견되어 이제야 세상에 나오게 된 책이다. 미치 앨봄은 이 책의 저자 모리 슈워츠의 제자이며,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 '은 모리가 루게릭병을 앓을 때의 이야기를 엮은 내용으로 5년간 베스트셀러가 됐으며, 이 책 <이토록 멋진 인생이라니>의 원고는 모리가 루게릭병을 앓기 전 상담심리학자로 활발히 뛰고 있을 때 이미 집필한 내용이다. 결국 시간적으로는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 의 스토리보다 먼저임을 참고하자.

'영원한 멘토' 모리 슈워츠는 이 책에서 본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대하여 정의를 내리고, 노인이 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정신적인 파트에 있어서 모든 케이스에 대한 치유법을 내놓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예를 들면, 노인이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므로 당황하거나 마음의 어려움을 갖지 말고 받아들이는 연습과 마음을 다스리는 법, 외로움에서 탈피하여 고독함을 즐기는 방법(모리 슈워츠는 고독보다 외로움을 더 심각한 핸디캡으로 간주했다. 그래서 고독한 것은 견딜만한 것으로 여겼다) 같은 실제적인 예시를 들어서 체험에 근거한 이야기를 해주어서 공감이 많이 될 것 같다.

독자분들 중에서 환갑이나 칠순 아니면 나이가 얼마이든지 스스로 노년이라고 생각되는 분이라면 모리의 책 <이토록 멋진 인생이라니> 를 평생 곁에 두고 '황혼의 때 잘 보내기 사용설명서'로 활용할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 10분 영어 혼잣말의 기적 - 유학 없이 100% 유창해지는
임근영 지음 / 시원스쿨닷컴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 10분 영어 혼잣말의 기적

임근영/시원스쿨닷컴

제목대로 '기적의 책'은 맞는데 기적을 이룰 수 있는 당사자는 주인공인 독자들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이 난 첫 문장이다. 좋은 책은 맞는데, 따라서 해보지 않으면, 실천하지 않으면 '평양감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라고 하지 않았나. 그 때(영어공부가 너무 하기 싫을 때, 영어공부 의욕이 현저히 낮을 때) 이 책의 젊고 예쁘고 더군다나 열정적이기까지 한 저자를 떠올려보면 좋을 것 같다. 왜냐하면 저자인 임근영은 대학교때 여느 생활이 어렵고 가난한 고학생 못지 않게 열정페이로 알바 두 세개씩 쳐내가며 학창시절에 면학을 해온 이력의 이제 갓 대학을 졸업한지 얼마안된 영어어학 강사이다. 그 전에는 어느 브랜드의 의류모델 일을 하기도 했었고 현재는 영어독학한 것이 아깝고 써먹을 수 있는 직업을 택한 것이 영어어학강사이고 보란듯이 영어구술면접에 합격하여 인기영어강사의 반열에 올라 바쁘게 영어교육을 진행 중에 있다.

책의 구성은 간단하다. 200일 코스이고 나흘마다 한 개씩 앞머리문장 총 50개를 제시하니 도합 200일이 된다. 첫날은, 앞머리문장(메인제시구문), 둘째날은, 앞머리분장에 단어를 더하여 문장완성(밥짓기), 셋째날은 밥에다 추가설명을 붙이기(반찬더하기), 넷째날은 부사나, 부사구를 추가하기(참기름 뿌리기) 식으로 구성한 일명 '비빔밥 이론'을 탄생시켰다.

I'm going to~(아임 고잉 투), It's up to~(잇츠 업 투), I'm about to~(아임 어바웃 투) 등 대체로 고등학교까지 배웠던, 우리가 알고 있는 문장들이 절반은 된다. 자신감을 가져도 좋다. 거기에다가 단어들로 살을 붙여주는 방식이다. 이 정도까지 먹음직한 밥상을 차려주었는데도 숟가락 들기 귀찮다고 밥먹지 않는 영어학습자가 있다면 이젠 노답일 것 같다.

부록으로 노트북(공책)이란 제목의 부분은 700문장쓰기노트다. 앞머리문장 하나에 나흘동안 학습한 14개의 문장을 50챕터까지 직접 써볼 수 있게 공간을 만들어 두었으니 직접 쓰면서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게 돕는다.

치열하고 날고 기는 영어 강사들의 경쟁에서 영어강의 상위권에 랭크된 저자의 기적에 얼른 뛰어들 준비를 하루 빨리 하시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이티브력 급상승 영어 문장 300 입버릇 훈련 - 애매~한 영어 실력이 네이티브급으로 점프하는
권주현.김기성 지음 / 시원스쿨닷컴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티브력 급상승 영어문장 300 입버릇 훈련

권주현/김기성
시원스쿨닷컴

우리나라 말 중에 외국인이 모르는 네이티브 한국인만 사용하는 표현법들이 있을터다. 은어들이나 비속어같은 예가 그렇다. '학교간다'는 감옥에 간다는 뜻이고, '짱박힌다'는 농땡이 피우려고 숨어있는다라는 뜻이며,
'쌩깐다'는 무시하고 모른 척한다는 뜻,
'공사가 다망하다'는 공적이나 사적으로 많이 바쁘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등, 이외에도 다방면으로 쓰이는 문장들이 많다.

한국만 그럴까? 아니다 영어의 네이티브들도 그렇게 쓰이는 말들이 분명히 있을 터다. 그래서 책에서는 영어 네이티브 스피커들이 주로 사용하는 문어체위주의 문장이 아닌 주요한 구어체 문장들만을 모으고 모은 후에 추려서 300개의 문장만 담았다. 그래서 한 문장씩 300일동안 틈틈이 볼 수 있도록 권장, 설명하고 있다. 열심히 외우고 공부하라는 뻔한 이야기를 하기 보다 다른 공부하다가 잠깐 이 책을 펴고 하루에 한 문장씩만 체크하고 지나가라고 한다. 체크표도 안에 수록돼있고 인덱스도 있어서 찾아서 금방 기억할 수 있게 해두었다.

영어 300개 문장이라도 많아보이지만 하루에 한 개이니 부담없이 외우기에도 좋을 것 같으니 꾸준히 공부하지 못할까 걱정은 안해도 될 것 같다.

이렇게 서너권의 책들을 이 책처럼 300일간 소분량씩 나눠 공부하면 학습이 지루하지 않고 효율적일 것 같다. 지루하지 않는 영어공부를 원하는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