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찰, 평범에서 비범으로
게리 클라인 지음, 김창준 옮김 / 알키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 통찰을 얻으려면 결국 새로운 이야기를 구축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각으로 상황을 해석해야 한다."
원하던 바 였다. 통찰을 얻기 위해서의 그 수단이 다양한 시각을 가져야 한다는 것과
상황 해석의 면에서도 여러 각도를 써야 한다는 것이.
통찰, 이 근본적 뜻 부터 제대로 알고 나서 봐야 했다.
사물을 예사로이 바라보지 않고 남들이 보지 못하는 부분을 볼 수 있다는 것,
무의식적 연상이 연속되다가 최고점에 이르는 아이디어, 번쩍 불이 들어온 것 같은
암시를 느끼는 것, 이 아이디어에 불이 들어 오도록 어떻게 해야 할 지를 저자는
여러가지 실 예를 들어가며 그 방식과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새로운 정보를 얻은 후에 다른 정보와 결합되어 새 아이디어가 형성 된다든지, 새로운
방향을 인도하는 우연의 일치, 불 붙는 호기심의 발동과 그럴 리가 없는데 와 같은
의심을 품게 하는 모순, 가장 앞이 보이지 않는 순간에 살 길을 찾아낼 수 있게 한
창의적 절망, 이 다섯 가지 요소가 통찰로 이끄는 요인들 이라고 소개해 주고 있다.
이 밖에는 데이터를 들여다 본다든지 과학적 문헌을 살피고 사물이나 상황을, 앞서
사용해 봤던 다섯 요소를 이용해서 판단해 보아야 할 것이다. 어쩌면 아하~! 하는
발견의 탄성을 지르게 될 지도 모르는 일이고 또한 그럴 수 있기를 바라는 바 이므로......
저자의 방식대로라면 통찰 이라는 것은 외부에서 얻어진 연결로, 우연의 일치나
여러가지 분석,그런 것들로 얻어 진다 손 치더라도 그것들은 일종의 통찰이 발생하는
과정 일 뿐 이라고 생각되지 개인적으로 원하고 있던, 사물을 꿰뚫어 본다던가
상황의 발생 이전, 혹은 먼 후일에 상황이 어떻게 달라져서 일어날까 와 같은 감각의
훈련 방법이나 개발법 같은 것은 다루지 않고 있다. 전적으로 독자의 몫으로 남을 수
밖에 없게 되는 아쉬움이 남긴 하지만 저자가 처음 글에 들어가면서 스크랩 해 두었던
온갖 자료들의 이야기를 전제로, 저자가 예를 들어 설명했던 그 과정들을 다시
정돈하고 줄을 세워서 응용해 보는 시도와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통찰은 상황을 막론하고 시대를 뛰어 넘어 새로운 아이디어의 산출이니만큼 쉽게
머리 속으로 다가 오지 않을 것이다.
여러가지 상황 속에서 정보의 획득과, 저자가 열거 해 둔 일련의 방식으로 연결지어
갈 수만 있다면, 주변의 통찰을 방해하는 요소들이 줄어들었을 시에, 반짝~! 하는
새 아이디어의 형태로 솟아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