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강에 비친 달
정찬주 지음 / 작가정신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강에 비친 달

 

한글 창제에 관련된 숨은 이야기는 언젠가 드라마 속에서 세종대왕께서 겪으신

크고 많은 어려움과 창제 이후에도 훈민정음을 반포하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는 것을

이미 보여 주었었다.

드라마 속 이야기 만 이라고 그냥 흘려 버리지 못할 정도로 그 당시 시대상의 분위기와

연관지어 한글 창제를 하기까지, 하고 난 후에도, 얼마나 큰 시련이 있었을지,

생각지도 못했던 부분을 알게 되었다는 약간의 깨달음도 생겨 났었다.

 

한글을 우리는 지금 너무나 자연스럽게, 아무런 생각없이 사용해 오고 있음을 생각하매

세종 대왕의 노고와 고뇌는 얼마나 크셨던지를 비교할 수가 없을 만큼....

 

이번에 접하게 된 정찬주 님의 천강에 비친 달은 역사적인 그 현장 속에 있었던 기분으로

첫 페이지부터 넘기기 시작해서 끝부분 책장을 덮을 때 까지 너무나 재미있었고,

문장 자체가 쏙쏙 읽어져서 그 속도감이 느껴질 정도였다.

 

 

세종 대왕과 신미 라는 스님의 만남은 불교에서 일컫는 인연 중 최고의 인연 이었고,

유가를 숭상하는 유교국에서의 불교 찬미는 이루 말 할 수 없는 도전적인 행위였음에도

불구하고 온갖 반대와 힘든 과정에서도 한글 창제라는 꽃을 피워 낸 대단한 성과였다.

아무나 읽지 못하는 한자로 된 한자 대장경, 중들 조차도 읽지 못하는 범자 대장경에서

시작해서 우리글로 만들어진,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대장경을 원했던 세종 대왕과

신미의 의기 투합은 결국 우리나라 글자, 훈민정음 창제로 나타났다.

 

평소 우리가 알고 있던 세종 대왕과 집현전 학사들의 결과물로 알려져 있던 것과는 달리

범어에 능했던 신미 라는 스님의 연구로 이루어 졌다는 주제가 역사 속 세종 실록 같은

자료에서 보여 주는 것으로, 반드시 허구이고 소설 속의 이야기만은 아니라는 것을

뒷받침 해 주고 있다.

조정래 작가의 추천사에서 처럼, " 소설적 허구가 아니라 세종실록에 근거한

역사적 진실의 올곧은 복원이다.  소설의 존재 이유를 새롭게 확대시키는 동시에

지적 감동에 취하게 하는 큰 일을 해 냈다."

 

완전 동감이다.

천강에 비친 달을 조금 읽고 잠시 여유 시간에 우연히 책 표지를 보다가,

달이 천강에 비치다?   이것은...  월인 천강?

불현듯이 떠 오른 제목이 주는 영감.

신미 라는 스님을 훌륭히 부활시키고 세종 대왕의 찬불가인 월인천강지곡을

새로운 시각으로 돌아 볼 수 있게 한 이야기.

절에서 일어난 이야기인 만큼 군데군데 불교에 관한 자세한 해설도  마음에

닿아 왔고, 다시 한 번 깊이 읽어 보게 한 계기를 제공해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