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 생선의 사료가 뭐겠는가? 생선이다. 위에서 말한 혼획된 값싼 생선을 갈아서 생사료를 만든다. • • 양식도 결국 야생, 즉 바다생물에 의존하고 있다. 양식이 지속가능한 미래의 모델이라는 생각은 환상에 지나지 않는다. - P135
육식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에 비하면 규모가 훨씬 적지만, 이런 작물의 대량 재배와 수출/수입은 확실히 환경적인 문제가 있다. 그래서 앞서 팜유 이야기도 꺼낸 것이고 커피도 마찬가지다. 환경적인 측면에서 가장 이상적인 식생활 방식은 비건과 로커보어(locavore, 지역먹거리주의자)를 섞은 형태일 것이다. - P137
인종차별, 계급제도, 노예제도, 성차별 모두 문화이고 전통이었다. 일부는 현재도 이어지고 있다. 전통과 문화는 고정되고 정체된 개념이 아니다. 지금의 전통이 당시에는 혁신이기도 했다. 나날이 변화하는 인간사에서 전통과 문화 역시 끊임없이 변화한다. 전통이나 문화라고 해서 마냥 변화를 거부할 순 없고, 그 자체로 정당화될 수도 없다. 가치관이나 윤리의 변화에 따라 변모된 전통과 문화의 사례는 수도 없이 많다. 인류사 자체가 엎치락뒤치락하는 전통과 문화의 역동적인 각축장이다. - P139
성차별, 인종차별, 종차별 모두 피지배 대상은 달라도, 억압을 작동시키는 원리가 섬뜩할 정도로 닮았다. 그래서 최초의 인종차별철폐주의자 중 많은 이들이 동물보호주의자였던 것도 우연이 아니다. • • "페미니즘이 이론이라면 채식주의는 실천" 이다. 단, 이 모든 담론이 남성 비건이 적은 현상을 합리화해줘서는 안 된다. 남성들은 분발해야 한다. - P144
"중요한 질문은 동물들이 이성을 가지고 있는가, 말을 하는가, 가 아니다. 그들이 고통을 느낄 줄 아는가, 이다. 만약 어떤 존재가 고통을 느낀다면, 그 고통을 고려하지 않는 행동은 정당화될 수 없다." - P145
동물과 식물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동물의 사전적인 의미부터, 불쾌한 자극에서 야기되는 고통을 피해 장소 이동이 가능한 생물체라는 뜻을 지닌다. 움직이는 동물과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이 같은 고통 체계를 갖추고 있다면 이는 진화적으로도 설명하기 힘들다. - P146
문제는 이렇게 식물의 고통을 강조하는 사람 중에서 실제로 ‘식물권리‘를 염려하는 식물보호주의자는 없다는 점이다. 그리고 식물의 고통을 진지하게 고려하는 사람이 있다 하더라도, 돼지의 목을 따는 것과 양파를 써는 것에 똑같이 반응하는 인간은 없다. 방 안에 있는 어린아이에게 사과와 토끼를 주면, 사과를 먹고 토끼와 놀지 그 반대로 하지는 않는다. 이 모든 것은 자연스러우며 상식적이다. - P1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