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도보 1분 거리에 목욕탕, 우동집, 중국집, 떡 가게, 채소 가게, 빵집, 이발소, 미용실, 문방구, 과자 가게, 오코노미야키 가게, 찻집, 전파상, 세탁소 등이 있어 편리했다. 지나가는 말로도 절대 고상하다고는 할 수 없는, 일본인과 한국조선인이 공존하던 동네였다. 나는 그 거리에서 당당하게 본명을 쓰고 어머니가 직접 만든 치마저고리를 평상복으로 입고 다녔다. 밖에서도 주위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고 큰 소리로 ‘어머니! 아버지! 오빠!‘를 불러대는 아이였다. 어머니는 어린 나에게 곧잘 "조선인인 영희를 놀리거나 괴롭히는 사람이 있더라도 그건 그 사람이 이상한 거야. 네가 나쁜 게 아냐. 언제나 당당하게 굴어"라고 일러주었다. "그러려면 예의 바르게 인사 똑바로 하고, 옷도 깨끗이 입고 다녀야지. 어머니가 늘 블라우스랑 양말을 새하얗게 빨고, 손수건은 다림질하는 이유가 다 그래서란다. 조선인은 더럽다, 그런 소리 들으면 안 돼" 같은 말을 되풀이했다. - P19
피부색도 언어도 다른 사람들이 우리 아버지를 보고 마치 자신의 부모를 보는 것 같다고 해서 적잖이 놀랐다.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이민 1세의 고생을 보고 자란 2세, 3세의 연대감을 느꼈다. 여러 이유로 고국을 떠나 새로운 땅에서 생활의 기반을 다지며 권리를 쟁취해온 이민 1세들의 모습을, 2세들은 알고 있다. 식민지지배나 전쟁, 내전, 독재 체제를 경험한 세대에게 지배자, 침략자, 적, 원수였던 나라의 인간과 부부의 연을 맺는다는 것은 도덕적으로나 감정적으로나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일 터이다. 개인의 연애와 결혼에 국가 간 문제를 적용하는 것은 우스운 일이지만, 부모와 조부모가 살았던 시대를 생각하면 어쩔 수 없다고, 우리 부모도 그랬다고 관객들은 입을 모아 말했다. - P26
나는 가족을 만들고 싶지 않았다. 직계가족에서도 벗어나고 싶은데 타인과 새로운 가족을 만들라니, 제정신인가. 아버지의 딸, 오빠들의 여동생, 여성, 재일코리안 같은 명사들에서 벗어나고 싶었다. 가족을 향해 카메라를 든 이유도, 도망치기보다 그들을 제대로 마주 본 다음에 해방되고 싶어서였다. 영화 하나 만들었다고 무엇에서 해방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손목 발목에 주렁주렁 차고 있는 그것들에서 자유로워지려면 그것들의 정체를 알아내야 했다. 알아야만 비로소 벗어버릴 수 있을 것 같았다. - P31
오빠들과의 추억이 서린 집이라고 하기에는 함께 보낸 시간이 너무 짧았다. 너무도 짧아서 특별할 것 없는 일상도 가슴에 박힐 만큼 소중한 기억이 됐다. 조총련 커뮤니티에서는 ‘영광의 귀국‘을 한 오빠들을 칭송하며 남은 가족들의 상실감을 ‘명예‘로 메울 것을 강요했다. 어린 마음에도 오빠들이 행복해질 수만 있다면 된다고 스스로를 달래며 외로움을 견뎠다. 주변 어른들은 ‘민족 차별이 만연하는 일본에서 고생하는 것보다 차별 없는 조국에서 고생하는 게 낫다. 5년쯤 지나면 조국 통일이 이루어지고 남북도 일본도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을 것이다 라며 꿈같은 소리를 했다. 당시에 그런 말은 확실히 꿈같은 이야기였지만, 재일코리안을 둘러싼 일본 상황 역시 악몽 같았다. - P48
가족과 마주하기. 딸이라는 역할에 갇힌 상태에서 이 소박하고도 장대한 과업에 임하기란 심히 어려웠다. 캠코더라는 장치의 힘을 빌려 속내를 숨긴 관찰자, 인터뷰어, 감독이라는 역할을 스스로 부여함으로써 발을 내디딜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가족을 찍는다는 것은 결국 내가 어디서 왔는지 파헤치는 행위다. 고통을 수반하는 딸의 행위에 한 번도 그만두라는 말 없이 렌즈를 받아들이는 데 얼마큼의 각오가 필요했을까. 영화를 촬영하는 동안에는 자각하지 못했다. 부모님과 내가 식탁을 사이에 두고 웃는 얼굴로 대화를 나누게 되기까지 이런 작은 역사가 존재했다. - P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