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영화에 대해 샹탈은 말한다.

"저는 사람들이 자기 안에서
시간이 흐른다는 것을 느끼게 하고 싶어요.
그러면 제가 사람들에게 두 시간을 훔친게 아니라,
그들 스스로 그 시간을 살아낸 것이 되지요."

산에 오르니 너무나 아름다워서
내가 실존한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어떤 풍경은 떠난 이후에야
비로소 그것을 겪었다는 느낌이 든다.)

아무것도 하지 않기.
시간이 지나가는 것을 응시하기,
이것이야말로 죽음을 물러나게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해 페스티벌
대상 후보에 여성은 아무도 없었다.

이 시기에 나는
타인이 내게서 떨어져 나가도록
아무 말이나 하기 시작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고통이 멈추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회는 민낯으로 사람들을 만나는 곳이 아니다. 사회라는 공간에 나갈 때 우리 모두는 사회학자 어빙 고프먼 Erving Goffman이 이야기한 것처럼 자기에게 부여된 역할 놀이를 한다. 가면을 쓰고 만나는 것이다. 그 가면 뒤의 민얼굴이 어떠한지는 중요하지 않다. 사회에서 중요한 것은 개인이 자신에게 부여된 역할에 충실한가, 아닌가 여부다. 역할에 충실하다면 우리는 그의 민낯에 대해서는 모른 척하고 무관심해야 한다. 그것이 사회에서 만나는 시민들이 서로 지켜야 하는 예의다. 이런 점에서 사회 가운데서 상호작용을 하는 모든 사람들은 가면을 쓴 존재, 즉 위선자다. - P191

고통은 비교할 수있는 것이 아니다. 고통은 고통을 당하는 이들에겐 절대적인 것이다. 세계의 붕괴와 그 세계를 다시 지을 수 있는 언어의 박탈로 인한 고통이라는 점에서 각자의 고통은 개별적이고 고립되어있으며 그렇기에 절대적이다. 고통은 그 수준이나 정도를 가늠하여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P2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베는 아이를 원하지 않았다.
더 이상 그림을 그릴 수 없을 거라는 두려움 때문에.

또한,
전쟁으로 인해 아이에 대한 욕망이
완전히 꺾여버렸으므로."

(이후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일어난 테러에 나 역시 같은 다짐을 하게 된다.)

어떤 몸은 다른 몸보다 더 아름답다고 그 누가 판단하는가.

토베는 섬이란 생산적인 고독의 상징이라 여긴다.

고독과 대면할 수 없다면
진정한 자유는 없다고도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책을 쓰고 싶다...

세상을 나의 형용사들로 수식하고 싶다고 말하는 책

그런데 그거 알아?

암컷
외뿔 고래에게는
뿔이 없다는 것.

"무민은 행복한 바보들입니다.
속임수에 당하고도 전혀 알아차리지 못하고 모든 것을 용서하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