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나토노트 2 (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 열린책들 / 2000년 9월
평점 :
1. 카발라와 정신분석의 유사성(401p)을 지적하는 부분은 생각해봄직 하다. 종교와 과학은 어느 정도의 일치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저자의 모든 종교를 동일하게 보는 입장(428, 436p)이나, 환생과 진화론을 결합시킨 것(564p) 등은 쉽게 받아들이기가 어렵다.
2. 막심의 꿈(“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람들을 더욱 멀리 꿈꾸도록 만드는 것이다.” 580p)은 멋지다!
3. “그렇게 끝없이 새로 시작한다는 관점에서 힌두교 사상가들은 얼마간 싫증을 내고 있다. 사상가들이 죽음과 환생을 끊임없이 거듭하는 그 고통스런 게임에 종지부를 찍고 싶어 하는데 반해 대중들을 그것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있다(알렉산드라 데이빗 닐).” 640p). ‘환생’의 의미에 대해 좀 더 생각할 수 있게 해주는, 상당히 통찰력 있는 내용이라 생각된다.
4. “분재란 식물에 대한 잔학 행위가 예술의 수준으로 승화된 것이다.”라는 문장(644p)과 이어지는 설명은 내가 전부터 생각해오던 내용을 그대로 표현해주고 있다. 베르베르는 ‘분재’를 중국인들의 ‘전족’과 연결시키고 있다. 분재는 예술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잔학 행위다!
5. “예전에도 착한 사람들은 있었어요. 그들은 자기가 그것을 원하기 때문에 착한 일을 했어요. 그들은 착한 것과 악한 것 중에서 착한 것을 자유롭게 선택할 권리가 있었어요. 그러나 지금은 달라요. 모두가 착해요. 그건 순전히 맹목적인 집착 때문이에요. 사람들은 모두 저승에서 치를 시험에 떨어질까 봐 전전긍긍하고 있어요. 그건 아무 의미가 없어요.”(648p).
스테파니아의 이 말은 선과 악에 대한 선택권 즉, ‘자유의지’에 대해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해준다. 하지만 이 생각이 의미하는 뉘앙스는 매우 미묘하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전적으로 옳다고 말하기 쉽지만, 그 가운데는 또 다른 함정이 숨어 있다. 소설이 전개되면서 나타난 현상(스테파니아가 문제 삼는)은 분명 문제가 있으며 거기에는 순수한 ‘자유의지’가 발동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스테파니아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역시 위험스러운데, 그것은 선과 악을 동일선상에 놓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우리의 자유 의지로 ‘선’을 선택해야 하는 것이다.
6. 명언 몇 가지
“인간이 점점 더 성스러워지거나 점점 더 영리해 지거나 점점 더 행복해 진다고 해서 그걸 진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진보의 요체는 깨달음이 점점 더 깊어지는 데에 있다(샤프트렘).”(410p)
“이미 진리를 찾아낸 사람은 바보이고, 진리를 찾고 있는 사람은 현자다.”(544p)
“어떤 사람이 당신에게 화를 낼 때, 그는 사실, 당신에게 화를 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화가 나 있는 것이다.”(552p)
7. 작가는 라울이고 미카엘이다(746, 747p). 작가는 이 책을 통해서 ‘영계’에 대한 종교의 가르침들을 비신화화(de-mythologie)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에 대한 새로운 신화를 제시한다!! 즉 재신화화(re-mythologie)한다.
* ‘소설’을 읽어가면서 자연스레 넘어갔던 문제... “그들은 과연 같은 것을 발견했을까?” 베르베르는 영계 탐사라는 주제 앞에서 결국 모든 종교는 같은 것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아마도 이것은 베르베르의 ‘종교관’의 반영이겠지. 하지만 C. S. 루이스의 글을 읽으며 다시 질문하게 된다. “그들은 과연 같은 것을 발견했을까?” 루이스는 그의 [개인기도]에서 ‘신비 경험’에 있어서의 유사성은 일부분 인정한다 할지라도, 그러한 ‘신비 경험’이라는 항해를 통하여 결국 어디에 상륙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지적한다. “그가 신비주의를 실천했다는 사실이 그의 거룩함을 입증하지는 못한다.” 동일하게 우주 공간에 나갔어도 한 사람은 거기서 하나님을 발견했고 다른 사람은 하나님을 발견하지 못했다. 우주의 핵심 부분에 도착한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동일한 것을 발견한다는 것은 베르베르만의 ‘가정’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