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로 웨이스트가 뭐예요? ㅣ 미래를 여는 키워드 6
장성익 지음, 이진아 그림 / 풀빛 / 2025년 1월
평점 :
[서평단 자격으로 도서를 제공받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요즘 분리수거를 나름 열심히 하는 편인데, 분리수거함에 쌓이는 플라스틱 통들을 볼 때마다 마음이 참 편치 않다. 배달 음식을 한번만 시켜먹어도 플라스틱통이 어찌나 많이 나오는지 분리수거를 하고 와도 금방 산처럼 쌓인다. 그리고 1회용 플라스틱 통의 퀄리티가 한번 쓰고 버리기엔 너무 아까울 정도라 버릴 때마다 더 죄책감이 든다. (그렇다고 계속 나오는데 여러번 쓰기도 애매함. 가끔 몇 번 활용하고 버리기도 함.)
환경문제가 심각하기에 참 많이 들어 이젠 익숙해진 단어, [제로 웨이스트]. 쓰레기 제로- 단어의 의미는 알지만, 그래서 어떻게 하자는 거지? 뭘 해야 되지? 사실 자세히는 모르고 있었다. 그래서 이참에 분리수거 -음쓰, 일쓰- 구분도 확실히 하고 제로 웨이스트의 의미도 확실히 공부해보고 싶어서 이 책을 읽게 됐다. 환경관련책 <제로 웨이스트가 뭐예요?> (풀빛)
그냥 책 제목만 보고 이벤트에 신청해서 몰랐는데, 책을 받고 보니 어린이 도서였다. 그래서 글씨도 크고 그림이 함께 이해를 돕고 있어서 내용이 더욱 전달이 잘 되는 것 같다. 솔직히 어린이 책이라지만, 내용이 매우 충실하고 '제로 웨이스트'의 의미와 개념을 이해하는데 부족함이 없어서 좀 놀랐다. 문장과 표현만 단순할 뿐이지 어른이 봐도 전혀 상관 없을 정도. 제로 웨이스트에 대한 모든 것을 이해하기 쉽게 완벽히 알려준다.
환경과생명 연구소 소장인 장성익 저자는, 환경 관련 잡지와 출판사에서 편집자를, 강연 출판 기획, 환경 컨설팅 등 다양한 일을 하고 있으며 오랫동안 환경을 비롯한 주제로 글쓰고 책 만드는 일을 해왔다고 한다. 그리고 인간과 자연, 현세대와 미래 세대가 사이좋게 어깨동무하는 녹색 세상을 꿈꾸고 있다고.
저자는 작가의 말에서 우리 각자가 '불편한 진실'을 똑바로 볼 필요가 있다고 촉구한다. '나의 일상생활, 크게는 인류 문명이 어마어마한 쓰레기 더미 위에서 유지'되고 있다는 분명한 사실을 똑바로 직시하라고 말이다.
쓰레기가 당장 내 눈 앞에 없다고 해서, 없는 것이 아니니까. 쓰레기를 줄이려고 노력하는 '제로 웨이스트'는 이제 우리 지구인들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이대로 계속해서 늘어난다면 지구가 쓰레기에 잠식될지도 모를 일이라고.
제일 충격적으로 와 닿았던 내용은, 선진국들이 가난한 나라들에 쓰레기를 수출하고 있다는 부분이다. 몇 달 전인가 넷플릭스 한 다큐에서도 봤었고 알고 있는 내용이었지만 그 '쓰레기 수출국'에 우리 나라 역시 포함된다는 내용이 너무 충격적이다.
그 다큐에서는 더 이상 수용하지 못할 정도의 너무나 많은 옷들을 아프리카 한 마을로 보내서 그 마을 바닷가에는 거대한 옷의 쓰레기가 문자 그대로 산을 이루고 있었다. 우리가 좋은 마음으로 '누군가 잘 입겠지' 하면서 수거함에 내놓은 옷들은 누군가 잘 입는게 아닌 어느 가난한 나라 바닷가에 쓰레기로 고스란히 쌓여왔던 거다.
저자는 개인들보다 주범인 기업이 먼저 나서야겠지만, 개개인의 노력이 모이면 기업과 정부를 노력하게 움직일 수 있다고 강조한다. 개개인의 '플라스틱 어택'을 예로 들면서 플라스틱 생산을 줄일 수 있게끔 기업에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야한다고 말하고 있다.
'코펜힐'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덴마크의 유명한 쓰레기 처리 시설 '아마게르 바케 소각장' 또한 우리가 배워야할 점으로 소개하고 있다. 쓰레기를 태워 전기,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소이자 여가 문화시설도 겸하고 있다고. 또한 브라질의 정책, 독일의 판트 제도 등 선진국들의 사례를 이해하기 쉽게 소개하면서 환경 선진국이 진정한 선진국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제품을 버리지 않고 내가 직접 수리해서 쓸 수 있는 '수리권', 버려진 핸드폰, 노트북 같은데서 금속 자원을 뽑아내 재활용하는 '도시광산' 등 제로 웨이스트를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준다.
서울 마포구에 '알맹상점'이란 곳이 있다고 한다. 말 그대로 용기를 직접 들고 가서 알맹이만 담아 구매하는 가게라서 알맹 상점인가 보다. 이런 가게가 있는 줄 이 책을 보고 처음 알았다. 이런 곳에서 구매하면 플라스틱 용기를 사거나 버릴 때 드는 죄책감을 한결 줄일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제로 웨이스트 가게들이 전국에 많아지면 더욱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일상 생활에서 어떻게 노력할 수 있는지,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어서 제로 웨이스트의 기본에 대해 알고싶다면 추천하고 싶다. 그리고 이 책으로 공부하고 배우면 쓰레기를 잘 버리는 현명한 어른으로 성장하지 않을까. 부모가 자녀와 함께 같이 읽는걸 추천하고 싶고, 더 나아가 생활에서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자녀와 함께 한다면 더욱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풀빛 출판사는 이번 기회에 처음 들어봤는데, [미래를 여는 키워드] 라는 주제로 시리즈를 내고 있나보다. 탄소중립, 메타버스, 모빌리티, 공유경제 등.. 어른에게도 다소 어려울 주제를 어린이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소개하는 시리즈인 듯.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은 어린이 책으로 먼저 쉽게 다가가보는 것도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