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생물학 - 내 몸을 누군가와 나눈다는 것
이은희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25년 2월
평점 :

내 몸을 누군가와 나눈다는 것

엄마가 된다는 것의 생물학적, 존재론적, 진화사적 의미,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는 언니, 엄마, 할머니의 지혜의 지혜. 한국 대표 생물학 커뮤니케이터 하리하라 이은희가 몸으로 겪고 체득한 인간 생물학의 세계 『엄마 생물학』은 바로 이 문제, 엄마가 되기 위해서 1인용이었던 몸을 자신의 아이와 나눠 쓰는 문제를 정면으로 다룹니다. 많은 여성들이 임신과 출산을 겪으면서 일어나는 생물학적, 진화론적, 의학적, 철학적 문제와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묻는 과학 에세이로 기대가 됩니다.
‘하리하라’라는 필명으로 한 저자는 생물학적 주제를 중심으로 어렵다고 생각하는 과학을 자신이 직접 경험한 임신과 출산을 겪으면서 느낀 것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낸 책입니다. 저자는 세 아이의 엄마로 모두 시험과 시술로 출산 했습니다. 처음 임신 했을 때 수정된 수정란 들 중 하나로 첫 아이를 낳고 몇 년 후 첫 아이를 낳을 때 만들었던 수정란 중 하나로 쌍둥이를 임신하고 출산해서 모두 세 사이를 낳았습니다. 수정된 날은 같지만 태어난 날은 다른 세 쌍둥이의 이야기가 특별했습니다.
세 아이 엄마가 된 과학 저술가가 들려주는 임신과 출산

세상의 모든 엄마들이 겪는 배란에서 수정을 거쳐 입덧에서 출산까지 성의 진화에서 젠더 갈등까지 인간 탄생 관정에서 겪는 온갖 어려운 문제들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책으로 배우는 생물학이 몸으로 겪는 생물학으로 진화하는 진솔한 이야기입니다. 여성으로서 엄마가 되기 위해 1인용이었던 몸을 자신의 아이와 나눠 쓰는 주제를 정면으로 다뤘는데 이미 알고 있었던 이야기와 또는 몰랐던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저는 아이를 원했고, 그 아이를 얻기 위해 합리적, 합법적으로 정해진 테두리 안에서 제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감내한 것뿐이었습니다. ---p.25
저마다 처한 현실은 다릅니다. 보조 생식술을 써서 아이를 가지거나 제왕 절개를 하거나, 혹은 인큐베이터에서 첫날을 맞이하거나 모유 대신 분유를 먹이는 일은 모두가 현대 사회에서 아이의 생존을 위해 부모가 선택할 수 있는 일입니다. 다양한 선택지가 있어 선택할 수 있다는데 부족한 출산율을 돕는데도 좋은 일입니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융통성있게 최적의 결과를 추구하는 것이 생명체가 지닌 자연스러움의 본질이라고 했습니다. 적어도 자연스러운 생물학적 과정이 무엇이든, 어떤 방식도 현재 합법적으로 가능한 범위 안에서 이루어진다면 그게 바로 자연스러운 일이 될 것입니다.
대부분의 여성들이 자신의 몸속에서 일어나는 일을 세세히 다 알지는 못합니다. 이 책을 통해서 인간의 신체적 특성상 임신과 출산은 모체에 상당한 부담이 되고 아이를 양육하는데도 품이 많이 듭니다. 임신 한번에 자손1명은 진화의 최적화된 결과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여성들은 배란기에도 난자를 1개만 배란합니다. 이렇게 태어난 아이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하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