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 아노크라시, 민주주의 국가의 위기
바버라 F. 월터 지음, 유강은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린책들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이 책의 저자 바버라 F. 월터 (Barbara F. Walter)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의 글로벌 정책·전략 대학 국제 관계 담당 특훈 교수이자 내전, 정치적 폭력, 테러리즘 분야의 전문가이니다. 내전(內戰, 영어: civil war)은 정치 권력을 획득하기 위해 같은 나라 안에서 한 집단이 다른 집단에 대해 무력 투쟁을 일으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심각한 일들을 보면서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이 책 <내전은 어떻게 일어 나는가>에 더욱 관심이 갔습니다. 좋은 기회가 되어 읽게 되었습니다.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시대에 내전은 어디에서 시작되고, 누가 개시하며, 무엇 때문에 촉발되는지 알려 줍니다.

 

 

★ 『뉴욕 타임스베스트셀러

★ 『선데이 타임스, 파이낸셜 타임스,

타임스, 에스콰이어등이 선정한 올해의 책

★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최준영 소장,

경희대 미래문명원 안병진 교수 추천

 

202116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부정선거 음모론을 주장한 도널드 트럼프 당시 제45대 미국 대통령을 지지하는 폭도들이 미국 제46대 대통령 당선인 조 바이든에 대한 연방 의회의 공식 차기 연방 대통령 인준을 막기 위해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의회 인증일[8]에 미국 국회의사당을 무력 점거했다가 결국 진압된 사건으로 세계를 떠들썩하게 했습니다. 우리는 아직 의사당 습격이 재연되거나 어떤 양상의 일부가 될지 알지 못합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미국인들은 정부의 보호를 받지 못한 채 불안을 느끼기 시작할 것이고 누구의 책임인지를 따질 것이고 이런 혼란을 틈타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얻지 못할 것을 폭력을 통해 획득하려 들 것입니다. 미국의 극단주의자들이 점점더 조직화되고 위험해지고 완강해지면서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 큰 문제이고 이제 이게 남의 나라 일이 아니라는 접입니다.





 

어쩌면 우리는 너무도 오랫동안 언제나 평화가 지배할 것이라고 믿어 왔는지도 모른다. 우리의 제도는 흔들림이 없고, 우리 국가는 예외적이라고 말이다. 하지만 또한 우리는 우리가 누리는 민주주의를 당연한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고, 시민으로서 우리가 가진 힘을 알아야 한다고 배웠다.

--- p.17

 

'내전은 어떻게 일어나는가'에서 월터는 내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정체성 정치(Identity Politics)'를 꼽습니다. , 특정 민족·종교·이념 집단이 배제되고 억압될 때 갈등이 폭발한다는 것으로 히틀러와 스탈린은 이를 철저히 이용한 장본인입니다.

 

 

내전은 흔한 일이 아니고 빈곤국이나 약소국에만 일어나는 일이 아닙니다. 민주주의가 흔들리고 사회가 양극화 될 때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작가 월터는 민주주의가 약화되고, 법치가 무너지고, 정치적 양극화가 심해질수록 내전 가능성이 높아 진다고 책에서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불안정한 상황은 종종 독재자를 위한 토양이 되며 독일과 소련의 사례가 이를 잘 보여줍니다. 1차 세계대전 패배 후 바이마르 공화국(독일)은 극심한 경제 불황과 정치적 불안을 겪었고 극우와 극좌가 충돌했으며 국민들은 혼란 속에서 강력한 지도자를 원했습니다. 히틀러는 이런 분위기를 이용해 집권한 뒤 독일을 전체주의 국가로 만들었습니다. 1917년 러시아 혁명과 내전 이후, 소련은 권력 투쟁과 불안정이 지속 됐기에 스탈린은 이러한 혼란 속에서 점점 더 독재적 권력을 강화하며 숙청을 통해 반대 세력을 제거했습니다.

 

 

우리는 오늘날 어렵게 쌓아온 민주주의가 무너지지 않을까 많은 국민들이 걱정하고 있습니다. 2024123일 밤 평온했던 저녁 느닷없이 보도를 접한 그 당시를 잊을 수 없습니다. 월터는 사회가 분열될수록 민주주의가 흔들릴수록 폭력적인 지도자가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합니다. 히틀러와 스탈린의 독재자가 단순히 과거에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 이 책을 통해 깊이 사유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