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나비를 듣다 울었다 - 그 소란한 밤들을 지나
정은영.생경.성영주 지음 / 몽스북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잔나비를 듣다 울었다 _ 그 소란한 밤들을 지나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협찬 받았습니다.

 

 

 

영화 미술감독, 상담자, 잡지 에디터

그들이 겪고 지나온 헤어짐에 대하여

그리고 비로소 온전히 로 서는 일에 대하여...

 

뚜벅뚜벅 자신의 길을 걷는 여성들의 이야기

기대가 되는 작품입니다.

 

 

 

 

얼굴로 모든 걸 느끼고 , 그 다음으로 손으로 부지런하게 쓰기를 익히고 ,그 다음 진짜 용기를 배우고, 그 다음은 모든 것을 다 보고 견디는 쇠신경을 갖고 있다고 믿어라.’ ---p.60 자기소개서 중에서

 

 

이렇게나 삶이 마음에 들지 않을때는, 온 힘을 그러 모아서 빠져나와야지. 타개해 나가야지. 너도나도 지금보다도 나아져야지. 그래야 살지. 이렇게 진창에서 견디지 말자, 제발. ---p.180 대낮에 한 가출

 

 

결혼하면 행복할까, 혼자라면 불행할까 처녀들의 저녁식사, 광수 동생 광식의 영화 미술감독 정은영 작가, 상담사인 생경 작가, 오랜 시간 잡지 기자로 일한 성영주 작가 이렇게 셋이 모였습니다. ‘다 잊었다지난 7년의 일 시간이 꽤 지났는데도 마음이 불편한 건 사실이었습니다. 정작가의 이혼이야기는 이대로 죽어버릴까 하던 참에 모두의 축복 속에 이혼을 했습니다.




 

그러니까

얼지 마, 죽지 마, 부활할 거야.

 

 

열심히 꾸며놓은 도심 아파트에서의 안락한 생활 중에도 상담자 생경은 늘 마음이 시렸습니다. 본인의 선택에 의한 결혼이었으나 결혼 반 년 만에 뭔가 잘못됐다는 걸 알아차렸습니다. 관계의 절망감은 아득했으나 뱃속엔 아이가 있었고 출산과 육아를 거치며 정신을 일부러 검은 봉지 안에 담아 분열시켜 두었다고 했습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검은 봉지그러나 정신 한구석의 검은 봉지들은 때가 되면 반드시 그 실체를 드러내는게 문제입니다. 세 주인공들의 세 가지 이혼이야기는 특별하지 않습니다. 이혼이 문제가 되는 시기도 아닙니다. 하지만 같은 고민을 하고 같은 생각을 하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분명 공감을 얻을 것입니다. 그 고통의 시간이 분명 길지 않기를 그리고 언젠가는 나쁜 기억은 잊혀지기를 <잔나비를 듣다 울었다>는 따뜻하게 위로해 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