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온한 것들의 미학 - 포르노그래피에서 공포 영화까지, 예술 바깥에서의 도발적 사유 서가명강 시리즈 13
이해완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이란 무엇인가? 미와 예술의 본질을 탐구하는 미학의 핵심 질문 중 하나입니다. 그러면 예술의 가치는 어떤 기준으로 평가되나요?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가명강‘시리즈 중 열세번째는 <불온한 것들의 미학>입니다.

 

 

“미학이 이런 것도 다룬다고?”

 

가장 인간적인 주제들에 대한 지적 탐구!

 

‘미학’은 비합리적인 것을 합리적으로 설명

 

우리가 전시회나 책으로 접하는 많은 예술작품들이 예술적 가치가 어느 정도이고 또 20세기 초부터 영미권의 주류로 자리잡은 ‘분석철학’과 아름다운 것인지 아닌지를 아우르는 ‘메타’ 등의 주요키워드에 맞는지는 속속들이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번 책에서는 예술적 가치는 떨어지나 위작도 한편으로는 예술작품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 미적가치라는 점도 개개인의 심미안(審美眼) 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미와 예술의 관계는 별개의 주제로 보아야 한다는 점 , 앞으로 예술작품을 대할 때 많은 도움이 되는 강의였습니다.

 

 

진품으로 여겼던 작품이 위조품으로 밝혀졌다고 해보자. 작품은 바로 전시에서 제외될 테고, 그 작품의 가치는 재평가될 것이며, 가격도 순식간에 추락할 것이다. 왜 그럴까? 얼른 떠오르는 답변은 ‘원작보다 못해서’이다. 탁월하고 개성 넘치는 예술적 경지를 개척한 페르메이르나 천경자의 작품과 비교할 때, 그것의 흉내에 불과한 위조 작가의 그림이 그보다 못한 것은 당연하지 않겠는가. 위작에는 뭔가 ‘잘못 그린’ 부분이 있거나 부족함이 있을 거라는 생각은 아주 자연스럽다.

--- p.34 위작을 비난하는 예술적 이유가 있을까 중에서

 

 

분석미학의 진영에서도 예술이 미적 이외의 가치, 즉 인지적 가치나 도덕적 가치를 가지는지, 그것들이 예술적 가치의 하나가 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새로운 논의들이 등장했고, 이와 더불어 도덕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의 연관에도 의문을 갖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도덕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는 별개지만 도덕적 가치 평가를 받아야 하는 국면이 언제나 예술적 가치 평가를 받아야 하는 국면에 영향을 끼친다거나, 아니면 더 나아가 두 종류의 가치가 결국 같은 국면을 평가하는 거라는 입장을 취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입장을 도덕주의 혹은 윤리주의라고 부른다.

--- p.191 예술에 대한 도덕적 평가 중에서

 

 

 

느낌 이론의 한계는 감정의 특징에 대해 중요한 한 가지를 알려준다. 감정의 지향성, 즉 감정이 ‘무엇에 관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이중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음 속에서 특정한 느낌으로 경험되는 것도 당연히 감정의 내용이다. 마치 빨깐색이 빨간색으로 경험되는 것과 같다. 이것을 현상적 지향성이라고 한다. ---p.275 감정에 대한 인지주의적 이해 중에서

 

 

미와 예술은 일견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 같기도 하지만 분명히 별개의 주제다. 왜 미학이라는 하나의 학문이 이 두 주제를 다루게 되었을까? 여러 사연이 있지만, 우리 안에 있는 미를 판단하는 능력과 예술을 창조하고 감상하는 능력이 같은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 능력으로 지목된 것이 감성이다.

--- p.310, 「나오는 글 | 미와 예술을 조망하는 감성의 철학」 중에서

 

 

 

 

 

이 도서는 21세기북스의 협찬을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