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지구, 물러설 곳 없는 인간 - 기후변화부터 자연재해까지 인류의 지속 가능한 공존 플랜 서가명강 시리즈 11
남성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온난화는 하루 이틀 이야기는 아닙니다. 서울대에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21세기북스 서가명강 시리즈중 열한번째는 <위기의 지구, 물러설 곳 없는 인간> 편입니다. 기후변화부터 자연재해까지 위기의 지구에서 살아남기 위한 한가닥의 희망을 찾아봅니다.

위기에 처한 지구와 위기를 자초한 인간, 두 존재가 공존할 방법은 무엇일까? 저자는 자연재해와 기후변화를 둘러싼 오해와 진실을 과학적으로 조명하면서 환경 문제를 직시하고, 어떻게 인류와 지구가 더불어 살 수 있는지 그 방법을 구체적인 데이터로 제시하고 어렴풋이 알고 있던재난, 재해, 쓰나미, 미세먼지,온실효과등 주요키워드를 자세히 설명해준 점 좋았습니다.

 

우리의 미래는 외롭고 삭막한 각자도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위기의 기구에서 살아남기 위한 공존의 지혜 속에 있다.

재해는 인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자연현상이나 자연과정을 의미한다. 자연현상이나 자연과정 자체는 재해가 아니지만 그것이 해당 지역에 살고있는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면 재해가 된다. 재난은 재해가 어떤 지역에서 한정된 시간에 걸쳐 발생해 그것이 사회에 영향을 끼친것을 의미한다. 즉 자연현상이 사람과 관련되어 재산피해, 부상이나 사망등의 인명 피해로 이어진 것이 자연현상 자체보다 사회적 영향에 더 초점을 둔다. 마지막 재앙은 심각한 재난을 의미하며 재앙을 복구하는 데는 수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석유는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를 찾을 수 있지만, 물은 결코 대체 불가하다고 합니다. 결국 답은 바다에 있고 21세기에 가장 유망은 투자 기회를 주는 것은 정보통신분야가 아닌 수산양식분야라는 사실입니다. 물스트레스 국가인우리나라는 1인당 물 사용량이 280리터 유럽국가의 2배나 많이 자유롭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구에 사는 한 사람으로써 내가 할 수 있는 플라스틱사용 자세하기, 일회용품사용줄이기, 물을 아껴서 사용하기등 찾아보면 많이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배달주문이 늘었고 또 포장용기사용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우리는 바이러스와 싸우고 있고 지구의 위기는 현실로 다가옴을 느끼는 시간이었습니다.

 

이 책은 21세기북스 @jiinpill21에서 제공해 주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