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만이 들려주는 적분 1 이야기 ㅣ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 이야기 1
차용욱 지음 / 자음과모음 / 2007년 11월
평점 :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이야기 그 첫번째 책이다.
두둥~~ 개인적으로 수학과는 그리 친하지 않았기에 겁부터 났다.
과연.. 내가 그리고 아이가 이 책을 무난히 소화할 수 있을까? 하고 말이다.
문제를 풀어내는 그 자체가 하나의 고된 작업(?)이였기에 두려운 마음이고
또한 학창시절 이후 접해보지 않았던 영역이였기에 그 또한 두려웠다.
이런 마음으로는 아이에게 수학을 쉽게 접근할 수 없음을 알고 용감하게 목차부터 훑어본다.

초등학교 1학년 과정부터 교과 과정과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보아도 적분은
길다, 짧다와 기본적인 도형과 넓이 등 규칙과 대응하면서 점점 깊이있게 파악할 수 있다니 의외로 쉽게 접할 것 같다.

목차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적분의 의미 파악과 함께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과 적분의 원리를 알게 된다.
또한 직사각형을 이용해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도 배울 수 있게 된다.
적분의 기호를 직각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예를 통해 연습하게 되고
수학자들의 고민들을 접할 수 있고 그 고민을 해결하는 과정 또한 접하게 된다.
도형의 위치에 따라 적분값이 넓이가 되지 않는 경우와 적분의 원리 중 하나인
카발리에리의 원리와 그 쓰임새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다.

리만이 들려주는 적분에 대한 이야기는 아인슈타인이 리만의 수학 이론을 응용해서
상대성이론을 만들었다는데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인지 조금 생소하게 느껴졌다.
이런 것을 보면 수학과 과학의 이론과의 연결도 가볍게 보면 안 될 것 같은 생각도 든다.

적분에 대해 본격적으로 설명하기 이전에 학습목표를 마련하여 어떤 점을 중점적으로 알아야하는지에
대해 알려주기에 방향 설정에 유익한 부분이다.

적분은 '넓이'를 구할 때 쓰이며
하나의 커다란 도형을 구할 때 여러개의 도형으로 나눠서 전체 넓이를 구하는 것이다.
특히나 원,타원 모양이 일정하지 않는 도형들을 구할 때 적합한 방법이 적분이다.

또한 적분에 대해 설명한 후에 마무리 차원에서 다시 한번 핵심내용을 정리해 주니
머릿속의 복잡한 부분들이 한결 정리해진 것 같다.
복잡한 부분에서는 다양한 그림과 설명이 함께 기록되어 있어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에 있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딱딱하고 지루하게 느껴졌던 수학을 조금은 친근해진 느낌이 들다니 수학이야기 시리즈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