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헤이, 바보 예찬 - 당신 안의 바보를 해방시켜라!
김영종 지음 / 동아시아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디시 쓰는 21세기의 '우신예찬'
르네상스의 위대한 학자 에라스무스가 쓴 '우신 예찬'은 사실 제목만 겨우 들어 봤을 뿐이다. 그렇기에 우신 예찬에 앞서 바보 예찬을 먼저 읽게 되었으니 순서가 뒤바뀐 건 아닌지 모르겠다. 어찌됬건 에라스무스의 이야기가 언급되지 않았다면 다분히 개인의 돌출적 발언과 말도 안되는 주장 쯤으로 여겼을 게다. 좀 황당하지만 '우신 예찬'을 들먹이는 통에 호기심이 발동한 것이지만 지은이가 엄청난 독서량과 재능을 겸비한 김영종이라니, 그가 쓴 21세기에 이땅에 다시 살아난 바보 예찬, 풍자와 입담, 날카로운 현실 비판을 통해 참다운 삶이란 무엇인지 바보에게 그 해답을 찾아 본다.
올해가 에라스무스 '우신예찬' 탄생 500주년이란다. 금서인 동시에 베스트셀러가 딘 이 책은 풍자문학의 성서로 추앙되었으며 교과서에도 실렸으니 어찌보면 '헤이,바보 예찬'은 '우시 에찬.의 오마주가 아닐런지 짐작해 본다.작가는 어리석음을 있는 그대로 나타내는 광대 같은 바보와 똑똑한 척하는 지식인이나 현자와 같은 바보가 있다고 말하면서 아는 체하는 자들을 진짜 바보라 풍자한다. 신학자들의 쓸데없는 논쟁, 교황을 비롯한 성직자들의 위선, 칼과 불을 가지고 그리스도교도의 피를 흘리게 하는 고위 성직자들을 신랄하게 풍자하며 지식과 지식인들의 위선을 적나라하게 비판하고 있다.
지식은 무엇을 하는가? 목구멍에 풀칠하고 남에게 무시당하지 않고 경쟁에서 앞서가고 물건 잘 고르고 잘 사용하고 자식교육에 도움 주고, 그러고 나면 달리 뭐 있나요? 집단적으로 생태 파괴하고 대량 살육하고 억누르고 굴종하고 빼앗고 빼앗기고 교육비 때문에 등골 빠지고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악행이 저질러지고 있는데도 지식을 숭상합니다. -본문중-
특히 저자는 자본주의와 21세기 물질문명과 우리가 처한 현실을 돌아보며 욕망과 빠르게 치닫는 변화의 밞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를 기야기하고 있다. 저자는 이 부조리한 세상에서 살아가려는 혹은 적응하려는 온갖 노력들이 결국 현자인 척하는 어리석음에 현혹되고 속은 것이라 하며, 그들의 지식과 이념 등을 거부하고 인간 본성에 내재되어 있는 ‘건강한 바보’를 해방시켜 참된 인간의 삶을 구현하라 말한다.
그가 제시한 덕목들을 살펴 보면 우습다 못해 통쾌하다. 아이 낳는 위험과 고통 등에서 경솔하지 않으면 과여 결혼이란 걸 하게될지, 경솔함 때문에 고통 속에서 아이를 낳았던 여자가 또 아이를 낳는 것은 망각 때문이라며 걸죽한 입담을 풀어 놓는다. 쾌락을 통해 맑아지는 정신의 세계를, 낙심한 이의 용기를 북돋아주는 아첨을, 분노를 통해 진정한 용기를, 정욕을 사랑함으로써 이성에 대항하라 한다. 게다가 게으름을 자연 그대로 즐기고, 미래의 희망 따위에 속지 말라 한다. 이성의 속임수와 착각에서 깨어나 우리 몸의 주인인 자유인으로서의 바보가 되라고 계산적이지 않고 계획저이지도 않은 이성에서 해방된 진정한 바보를 우리 몸에서 해방시키라고 말한다.
거침없는 말과 사설 속에 그의 사상과 지식이 녹아들어 있고 사람들에 대한 깊은 애정과 연민이 숨겨져 있음을 그의 그을 읽어 보면 금새 알 수 있다. 지금은 우리 내면에 잠들고 있는 바보를 깨워야 할 때다. 위선에 질식하기 전에, 진정한 삶을 살아 보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