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현세자와의 만남이 이렇게까지 가슴 시릴 줄 몰랐다. 조선실록의 기록대로, 우리가 역사책에서 배운대로 그냥 병약 했던 세자, 병약한 육신보다 더 유약한 마음의 소유자로 은혜와 예의가 지극한 효자로만 알고 있었다. 그게 내가 알고 있는 소현세자였다. 소설 '소현'을 읽기 전에는 정치의 틈바구니 속에서 그토록 크나큰 고독과 싸웠움을 그리고 그가 품은 뜻을 알지 못했다. 

 

병자호란, 전쟁에 패한 조선의 세자인 소현은 대국을 배신하지 않겠다는 약속으로 봉림대군, 인평대군과 함께 청나라에 볼모로 끌려가 8년간의 세월을 적진에서 보낸다. 이 책은 청나라가 명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고 중원을 제패하던 시기를 다루고 있다. 소현 세자가 청의 볼모로 끌려감은 청이 명과 대치상태이기에 명과의 싸움에서 뒤를 돌아보지 않기위힘이니 비로소 전쟁에서 청이 승리하면서 환국하게 된다.청에서의 생활과 고국에 돌아온 뒤 수개월만에 병이들어 죽음에 이르기까지 세자의 마지막 2년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전쟁은 그 누구도 그냥 지나침이 없다. 세자를 보위하기 위해 함께 볼모로 끌려간 소현의 아우 봉림 대군과 좌의정 심기원의 아들 심석경, 종친의 딸임에도 청의 황제에게 바쳐졌다가 대학사의 작은부인이된 여인 흔, 무녀 막금, 청군에게 어미와 아비, 누이까지 온 가족을 잃은 역관 만상, 수많은 힘없는 백성들. 이들은 아마도 양반, 중인 천민들의 또다른 이름이다. 조선 땅의 사람이면 전쟁의 상흔을 어찌 피할 수 있단 말인가.

 

좌의정 심기원과 회은군의 역모 사건을 계기로 소현은 아비인 임금에게 자신이 왕위를 위협하는 적일 뿐이라는 사실에 외롭고 외로웠으리라. 거대한 권력 투쟁의 칼날 앞에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란 아무 것도 없었다. 역사적 사건이나 소현과 봉림대군, 심석경을 비롯한 실존 인물들의 이야기를 적고 있어 사건속에 빠져있노라면 역사책을 읽는 듯한 착각마저 든다. 그만큼 작가의 이야기속 인물 묘사가 뛰어나고 사건을 생생하고 사실 그대로 기록하였음이다.

 

적의 땅에서 적국 청나라의 승전을 목격하며 소현은 환국하게 됨을 기뻐하였을까, 아니면 명의 패망을 슬퍼하였을까. 언젠가는 조선이 진실로 강해리라 그래서 복수하리라 다짐을 했을까. 중원을 넘어 천하를 다스리는 주인이된 섭정완 도르곤의 힘 앞에 청나라가 넘을수 없는 높디높은 벽임을 실감했을까.

 

'정복자의 세상, 정복자의 세월이었다. 세자가 문득 어금니를 물고 생각했다. 부국하고, 강병하리라. 조선이 그리하리라. 절대로 그 기다림을 멈추지 않으리라. 그리하여 나의 모든 죄가 백성의 이름으로 사하여지리라. 아무것도, 결코 아무것도 잊지 않으리라.' (본문중)

조선의 부국강병의 절실한 꿈을 가슴에 품고 환국한 소현, 하지만 그토록 꿈에 그리던 조국의 품이건만 그곳에서 조차 그는 외로웠던가 보다. 중신들과 임금은 어찌하여 그를 보듬어 안고 위로하지 못했던가. 적의 땅에서 보다 더 큰 외로움을 끝내 이기지 못함인가, 소현은 보위에 오르지도 못하고 꿈을 채 펼쳐 보기도 전에 젊디 젊은 나이에 역사속으로 사라진 비운의 세자가 된다. 그가 죽은 후 그의 일가족은 모두 몰살되었다. 그의 죽음을 둘러싼 많은 의혹이 제기 되고 있으나 역사는 침묵할뿐 말이 없다. 작가 역시 그 판단은 독자의 몫으로 돌리있다. 아니 작가의 관심 밖이란다. 작가는 오로지 소현이 처해 있던 상황과 그의 깊은 심연 속 고독과 비애를 들여다보고 상상하는 일에도 벅찼으리라. 소현 세자의 섬세한 심리묘사를 통해, 세월을 거슬러 읽는 이로 하여금 이토록 가슴 저미도록 조선의 능멸의 역사를 들춰 보일 수 있을까. 내내 아픈 마음으로 읽어 내려간 책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