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덱의 보고서
필립 클로델 지음, 이희수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이글의 배경은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이내 알수 있듯 전쟁과 그속에서 죽은자와 살아남은자의 이야기가 보고서 형식을 빌어 쓰여졌다. 홀로코스트의 지옥과도 같은 참혹한 실상을 직접 경험한 자와 그것이 두려워 모면하고자 하는 이들의 대립된 갈등과 인간 내면의 숨겨진 모습을 과장된 표현 없이 고스란히 담고 있다. 보고서의 객관성을 최대한 살리고 군더더기와 부연 설명 없이 전쟁과 인간의 낯섦에 대한 두려움, 그 한계점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고 있다. 브로덱이라는 제3자이면서 동시에 그들 모두의 눈으로. 

 

전쟁의 여파가 채 가시기도 전에 이들 마을에 정체를 알수 없는 한 낯선 남자가 찾아 온다. 이름조차 말해주지 않는 그를 사람들은 '안더러'라 부른다. 즉 '다른사람''타인'이란 뜻이다. 이 낯선 이방인의 정채를 작가 역시 마지막까지 밝히지 않는다. 그러나 닟선이의 존재만으로도 마을 사람들은 동요하기 시작하고, 어느날 바람처럼 마을로 왔던 안더러는 연기처럼 마을에서 사리진다. 작가는 마을을 둘러싼 사건을 주인공 브로덱에게 맡긴다. 그 역시 오래전 전쟁으로 고아가된 후 떠돌이 여인 페도린과 함께 이 마을에 정착하게된 말하자면 이방인인 것이다. 이방인의 손에 마을 사건의 기록을 맡김으로 객관적인 타자의 시선으로 마을 사람들을 바라보게 된다. 

 

도대체 마을 사람들이 그토록 감추고자하는 진실이란 무엇일까. 하나씩 밝혀지는 그 때의 기억들. 낯선 이방인의 출현으로 인해 자신들이 숨기고 싶었고 애써 외면해왔던 진실과 마주하게 된 마을 사람들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음모를 꾸민다. 마을을 찾아온 정체불명의 사내에 대한 두려움이 결국 그들 안에 깊숙히 잠자고 있던 본성을 들춰내고 어느 무더운 날 터질듯 팽팽하게 부풀어 오른 그들의 잠재된 폭력성이 마침내 한 남자의 목숨을 아무렇지 않게 당연하듯 거두어 가고 만다. 그가 타인이기에, 익명으로 아니 모두의 손으로 자행된 만행은 브로덱이 전쟁이라는 이름하에 저질러진 수 많은 만행들과 별반 다르지 않다. 수용소에서 그토록 보아왔던 죽음위에 하나들 보테거나 빼거나 아무 의미가 없듯.

 

 '신은 나무를 수백년 동안 평화롭게 설도록 해놓고 인간에게는 너무나 짧고 너무나 힘든 삶을 주셨다.'

 

'사람의 기억이 다른 사람을 잊었거나 한 번도 보지 못한 것을 어떻게 붙잡아 두는 것일까? 지나간 순간을 암흑속에 내던저 두지 못하는 사람과 해결할 수 없는 것을 전부 어둠속에 내던져 버리는 사람 중에서 누가 옳은 것일까? 사는것, 계속 살아가는 것, 그것은 혹시 현실이 아닐수도 있다고 치부해 버리는 것이 아닐까?'

 (본문중)

 

현실을 받아들일수 없을때, 내가 악몽을 꾸고 있는건 아닌지, 모든게 자고 나면 사라져 버렸으면, 사실이 아니길 바랐던 적이 있다. 보고서를 마무리하고 사건의 전모를 알게된 브로덱은 생각한다. 역사를, 세상을 그리고 그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보고서에 쓰여진 이 이야기가 어쩌면 존재하지 않는 허상이 아닌가하고.

 

보고서를 받아든 시장은 조용히 난로속으로 밀어넣고 속삭인다. 종이위의 보고서에 마을 전체가 잊고 싶어하는 모든 것들이 있었다고, 그리고 마을은 잊었노라고. 종이는 불탔어도 머릿 속은 태울수 없기에 그는 기억을 지닌 채 마을을 떠난다. 작가는 말한다. '더이상 말할 수 없게된 사람들을 대신해서 '글을 쓴다고. 인간을 인간답게하는 것이  우리가 스스로의 이름에 책임을 지고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들을 올바른 이름으로 부르고 이해하고 보듬어 안는 것이라고 이 보고서를 통해 말하고 있다. 브로덱, 그이름을 우리는 기억할 것이다. 그의 당부대로. 그러므로 전쟁의 지옥에서 살아 돌아온 그가 또다른 현실속 지옥에서 맞딱뜨리게된 이야기를 적은 보고서는 절망을 넘어선 희망의 보고서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