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로피 - 무기력한 나를 벗어나 최고의 나를 만나다
한지훈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리 공부해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 이유는 뭘까?
공부를 열심히해도 도무지 성적이 오르지 않을때 깊은 고민에 빠지고 급기야는 자포자기하는 경우도 종종 본다. 그런 경험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시중에 나온 수많은 공부법 관련 도서들이 제각기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제아무리 많은 책들을 읽고 노하우를 전수 받았다한들 공부 습관을 바꾸기 전에는 같은 시행착오만 반복될 뿐이다.
공부하는 아이들을 위해 나름의 길을 알려주고 방법을 제시해 주어야 할 입장이다 보니 온갖 종류의 학습법 관련 책자를 읽어보고 니름대로 정리도 하고 실천도 해보았지만 별반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기에 이젠 스스로 시행착오를 거치며 자신에게 맞는 공부 방법을 찾아내는 수 밖에는 없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그럼에도 서점에 들르게 되면 아김없이 학습법이나 자기개발 서적에 눈길이 감을 어쩔 수 없다.  

 

잘못된 공부 습관을 잡아주고 올바른 공부를 할 수 있게 이끌어주는 최고의 나를 만드는 공부 혁명이란 부제가 붙은 ' 네트로피', 엔트로피는 들어 보았지만 네트로피라면 무엇을 뜻하는지 호기심과 궁금함을 못참아 어느새 방에 앉아 책장을 넘기고 있다. 말 그대로 네트로피는‘모든 물질은 긍정적인 상태에서 부정적인 상태로 간다’라는 엔트로피의 반대 개념이다. 엔트로피라는 물리학 법칙을 공부에 적용시켰다. 조금은 색다른 방향의 시도이긴한데 과연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지만 이 책의 저자는 네트로피 상태를 지향함으로써 수험생들의 심리와 두뇌를 최적의 공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고 말한다.


네트로피 상태에서 최대의 효과를 기대하다
공부를 하기 싫어하거나 공부가 두렵다면 그것은 엔트로피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공부를 잘하기 위해선 네트로피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우리의 뇌가 엔트로피 상태에 놓여 있다면 작은 유혹에도 쉽게 굴복하고, 게임이나 TV, 순간의 쾌락만을 찾게 되므로 엔트로피 상태에서는 공부를 잘 할 수 없다. 공부에 집중할 수 없고 주위가 산만하다면 자신이 엔트로피 상태가 아닌지 한 번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네트로피 상태에서라야 온전히 공부에 몰입할 수 있다. 네트로피 상태를 우리의 이해를 돕고자 집을 치우는 것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어지럽혀진 집을 치우지 않고 방치하면 나중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치워야 하지만 즉시 청소를 하게되면 쉽게 청소할 수 있을 뿐더러 관리또한 쉬워진다. 이 같은 논리로 공부를 하기 위해 주변 정리와 안정된 습관을 들여놓고 계속해서 시행해 나간다면 어떤 유혹이 닥칠지라도 공부에 몰입할 수 있다. 머릿속을 정리하는 기분으로 꾸준히 공부해가다 보면 어느새 몰입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고 공부의 기쁨을 맛보게 될 것이다.

멀리 보고 미래를 준비하라
얄심히 공부하여  좋은 대학에 들어간 사람들은 과연 모두 행복할까? 아니다. 그들 앞에 떡하니 버티고 있는 좁디좁은 취업문을 통과해야 할 것이며 설사 취업에 통과했을 지라도 무한경쟁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치열한 경쟁을 치뤄야하고 결혼 준비, 주택마련에 노후대책까지 앞에 놓인 장애물들이 연달아 앞길을 막고있다. 명문대진학이 인생의 최종 목표가 될 수 없음이다. 공부는 자기 자신을 성장시키는 원동력이며 미래의 꿈을 이루기 위해 갖춰야 할 필수적인 요소일 뿐이지 결코 끝이 아니다. 지금의 수험생들은 장기적인 안목으로 먼 미래를 예측하고 목표를 정해 공부해야만 장기전에 지치지 않고 자신의 미래를 마들어 갈 수 있다.

 

저자가 말한 드림 소사이어티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력을 기르기 위해서도 네트로피 상태는 필수 요건이라할 수 있다. 반대로 눈앞의 시험만을 걱정하여  불안과 초조로 인해 공부에 집중할 수 없는 엔트로피 상태는 수험생의 최대의 적이 아닐까한다. 이는 학습 능력을 떨어뜨리고 온갖 유혹에 빠지기 쉽게 만든다. 불안과 걱정을 극복하기 위해 저자는 몰입을 처방하고 있다. 현재 걱정과 불안에 싸여 있다면 원인을 정확하게 종이에 적고 걱정의 원인이 해결될 수 있는 간단한 것이라면 빨리 해결하고, 쓸데없는 망상에 불과하다면 일단 생각을 접고 머릿속에 다른 질서를 잡아주기 위해 공부를 시작하라고 충고 한다. 우리가 최대한의 효과를 내기위해서는 집중해서 공부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좋아하는 일을 할때 누구나가 그 일에 행복하게 집중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만 행복하게 공부할 수 있을까. 첫 째, 자신의 탐구적 본능을 깨워주어라. 우선 끊임없이 책을 읽어 마음의 불안을 잠재우고 지식을 쌓고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게 내면의 자아를 성숙시킨다. 둘 째, 공부의 즐거움을 느끼기 위해서는 열정을 가져라. 이성이나 지혜는 공부를 하기 위한 필수요소이지만 이를 위한 기본은 열정이다. 열정은 인간을 움직이게 하고 활동하게 하는 에너지이다. 이 넘치는 에너지야 말로 공부의 즐거움을 깨닫게 하는 원천이 된다. 

 

머리 좋은 사람은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 수 없고, 노력하는 이는 그것을 즐기는 사람에게 이길 수 없다. 우리는 즐길즐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지금 당장의 시험문제 한 두 개 더 틀리고 덜 틀리고가 아니라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성적은 결정된다. 어지러진 책상 정리와 같은 작은 습관을 고치는 엔트로피 습관을 바꾸는 방법으로 네트로피 상태로 최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어릴적 아버지께서 책상 검사를 하셨다. 공부하는 학생은 잘 정돈된 책상, 가방, 노트 등은 필수라시며 수시로 점검하고 바로 잡아 주시던 그 말씀이 오늘따라 유난히 생각난다. 굳이 엔트로피나 네트로피라는 어려운 용어를 대입하지 않더라도 정리 정돈이야말로 혼란과 걱정, 불안속에서 최대의 집중을 끌어 낼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는 말에 동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