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가 이렇게 쉬울 리 없어!
조이 슬링어 지음, 김이선 옮김 / 작가정신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내겐 웬수아닌 웬수가 있다. 미워할 수 조차 없는 그는 모든면에서 나보다 월등한 능력과 재주를 지녔기에 그를 한 번만이라도 이겨 보기좋게 복수하고 싶다. 그를 능가한 힘도 능력도 모자라지만 꼭 이겨보고 보고 싶은 충동을 복수라 해야할지, 질투나 시기라 해야할지 모르겠지만 이런 경험을 누구나 한 번쯤은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된다. 공부를 나보다 잘 하는 친구나 운동을 잘하는 친구를 한 번만이라도 따라잡을 수 만 있다면, 업무능력도 뛰어나고 잘생긴데다 돈도 많은 녀석을 한 번쯤 이기고 싶은 충동을 느껴보지 못한 사람은 아마 없을게다. 
 

청과 도매상으로 일하다가 은퇴한 여든한 살의 평범한 시민 발렌타인, 그나이에 뜬굼없는 복수를 꿈꾸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내가 읽어 본 책중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주인공일 뿐더러 연쇄살인범일게다. 그가 아내의 죽음으로 실의에 빠져 지내던 중 문득  아내를 위협해 죽게 만든 망나니들을 찾아 복수할 계획을 세우게 된다. 살날도 얼마 남지 않은데다 외롭고 사는게 힘겨운 그는 밑져야 본전이란 생각으로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긴다. 드디어 망나니1을 처치한곤 마무리 단게로 노인들만 생활하는 양노원격인 '수도원'이란 거주 시설에 들어가게 된다. 
 
조용히 죽을 날을 기다리던 수도원 입주자들 언제든 떠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손님’이라고 불린다. 그들의 눈에 비친 발렌타인은 죽음을 기다리는 다른 노인들과는 달리 바쁘고 행복해 보인다. 우연히 듣게된 그의 복수 계획은 각색되고 편집되어 눈덩이처럼 부풀려져 급기야는  전설로 포장되고 미화되어 열성 지지자들까지 생기게 된다.  밸런타인의 등장은 무기력한 노인들을 활력 넘치는 전문가들로 바꿔 놓는다. 전직이 각양각색인 노인들로 구성된 '수도원 집행위원회'를 만들어 계획을 세우고  허술하고 황당한 계획들을 세워 세계의 선을 파괴하는 사람들을 선정하고, 그들을 집행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차근차근 실행해 옮긴다. 도난방지 시스템을 무력화하는 기기를 만들고 지뢰를 개조하는가하면 서류를 위조해 수도원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최신 무기를 구입히기도 한다. 

 

'수도원 집행위원회’의 구성원들의 꾸민 황당한 계획은 은행장이나 부동산 거물,

무기 암거래상, 유명 디자이너와 가수 등을 죽음으로 몰고가 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든다. 집행을 끝낸 후 천연덕스럽게 발작이 일어난 시늉을 해 구급차를 얻어 타고 무사히 돌아오는 노인들. 그들은 늙고 병약하단 이유로 언제나 용의선상에서 제외된다. 스팅이나 오션스 일레븐의 주인공들을 노인들로 바꾼듯 기발한 발상이 아닐수 없다. 꼬리가 길면 잡히는법. 이들을 수상하게 여긴 수도원 운영자 측은 발렌타인을 의심의 눈으로 감시하고 쫒아낼 궁리를하고 늙은 형사 보롭스키의 추적 마저 받게 된다. 

 

'수도원'이란 특수한 공간은 바깥세상과의 단절을 의미하며 언제 죽을 지도 모르는 힘없는 노인들이 사회 정화를 위해 살인을 서슴치 않는다는 기상천외한 발상은 웃음을 자아내기도 하지만 왠지 씁쓸하고 섬뜩함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나이 듦의 의미와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잊혀진 존재가 된다는 것의 의미를 생각해 보며 마음 한켠이 뭄직해져 온다. 선진국 뿐아니라 이미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우리사회가 안고있는 문제점이기도 하며 누구나 나이가 들면 늙고 힘없는 무능력자로 여겨지고 경제적 능력을 상실할수 밖에 없기에 마냥 남의 이야기일 수만은 없다. 사람인 이상 늙고 죽는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 진리앞에 노인들이 바라는것이 무엇일까. 복잡한 사회에서 벗어난 안전하고 편안함일까. 어딘가에 소속되어 있다는 소속감 알까, 사회의 일원으로 당당히 사회문제에 책임을 느끼고 동참하길 바랄지도 모르겠단 생각이든다. 그들도 우리처럼 살아있다는 사실을 느낄 무언가를 절실히 원하고 있는건 아닐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