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시간의 법칙
이상훈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기들이 두발로 걷기까지는 평균 일만번의 연습이 필요하단다. 엎어지고 넘어지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연습할때 비로소 아기는 자신의 두발로 지면을 딛는 환희의 순간을 맛보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어느 분야의 일가를 이룬 사람들을 분석한 결과 1만시간 이상을 연습하고 노력했다고 한다. 세계 정상에 우뚝 선 ‘피겨 요정’ 김연아 선수, 대한민국 최초로 컴퓨터 백신을 개발한 안철수, 상상력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성공한 이시대의 아이콘 스티브 잡스 등 이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결정적 요인을 분석하고 그들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모두 한 가지 일을 최소한 1만 시간 넘게 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고 말한다.
 
학교다닐때 열심히 공부만하는데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데, 반면 놀기도 잘하고 친구들에게 인기도 많은 늘 1등을 놓친적이 없는 친구가 있었다. 내가 보기에 그는 언제 공부를 할까 의아할 정도이지만 그땐  아마 공부하는 머리도 타고나는가보다라고 생각하며 그런 그가 마냥 부럽기만 했었다. 같은 시간을 , 아니 그보다 더 많은 시간을 투자했건만 누구는 성공의 길을 걷고 그렇지 않은 이들은 대체 무슨 이유 때문이란 말인가.
 
저자는 1만 시간 동안을 투자 했어도 전혀 성과가 없다면 자신도 모르게 집중을 하지 않았거나, 그 일을 좋아하지 않거나, 타성에 젖어 있지는 않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단다. 성공한 이들은 모두 좋아하는 일을 찾아 연습을 하고 성취와 자신감을 얻는다고. 그들의 연습과 성과는 양이 아닌 질에 있음을 이야기 한다.
 
이 책에서는 성공을 원한다면 내가 정말 좋아하고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을 해야만 하고 그일을 끝까지 버텨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한 가지 목표가 이뤄지면 그에 만족하거나 타성에 젖기보단 또다른 새로운 도전을 찾아 나서야 한다고 충고한다.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는 비록 실패했을 지라도 다시 방향을 바꾸어 다른 길을 모색해보고 내게 맞는 방법을 찾아 노략해야만 목표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는 따끔한 조언도 잊지 않는다.
 
열심히 일을 해도 성과가 나지 않는 직장인들, 직원들의 능력을 키워주고 싶은 기업 경영자, 하루 종일 공부해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 학생들에게 1만시간이 가지는 의미와 노력을 이야기해 주고 싶다. 무작정 높은 목표를 설정하거나 남들과 비교해서 적당한 목표를 세우는 실수는 피해야만 한다. 내가 좋아하고 내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성공한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내가 지닌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들과 나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비교해 볼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 물론 그들과 나는 여건부터가 다르니 출발점이 다르고 방향도 제각기 다르리라. 하지만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그 마음, 그 정신은 한가지리라. 올바른 생각과 용기로 내가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일을 찿아 노력한다면 세상은 그들에게 길을 보여 주리라. 지금까지와는 다른 세상을 만나게 될것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