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 불어넣기 아시아 문학선 8
메도루마 슌 지음, 유은경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솔직히 말해 이책을 읽기전에 오키나와에 관해 관심도 없었을 뿐더러 잘 몰랐다. 막연히 그곳에 미군 군사기지가 있다는 사실만 역사시간에 들어 언뜻 떠오를 뿐이었다. 일본 본토니 오키나와 인이니 내겐 이 모든 것들이 너무도 생소하기만 하다. 옮긴이 역시 오키나와를 알고저 그곳을 방문하고 현지에서 보고, 듣고, 자료를 수집했단다. 나 또한 커다란 지도를 펼쳐 놓고 오키나와를 찾아본 후에야 그곳이 중국해와 태평양 사이에 위치한 일본 본토와는 상당히 떨어진 거리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오키나와는 중도에 일본에 합병된 나라이기 때문에, 식민지적 성격이 강하며 일본에 착취당하고, 미국에 착취당하고, 지금도 일본에 의해 희생을 강요받고 있는 가슴 아픈 사연을 안고 있다. 또한 일본 본토의 모든 미군기지가 오키나와로 옮겨갔기에, 오키나와는 현재 동아시아 최대의 미군기지란다. 아직도 일본 본토에 대한 오키나와 주민들의 해묵은 감정은 여전하다.

 

여섯편의 단편들은 오키나와를 배경으로 전쟁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이다.

'혼 불어넣기'는 전쟁 중에 남편을 잃고 자식도 없이 혼로 사는 우타라는 여인은 전쟁 때 일본군의 총에 맞아 죽은 친구의 아들 고타로를 친자식처럼 여기며 보살핀다. 어느날 고타로가 바닷가에서 술을 마시다 혼이 빠져나가게 되고 여느 때처럼 혼이 그의 몸으로 되돌아 오게하는 초혼 의식을 치르지만 고타로의 혼 대신에 엉뚱하게도 소라게가 그의 몸에 살고있는게 아닌가. 소라게가 사람 몸속에 기생한다는 말도되지 않는 이야기를 통해 작가는 무엇을 말하려하는지, 그러고 보니 혼이 들어왔다 나간다는 사실도 사람이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 정쟁도 상식을 벗어난 이야기가 아닌가. 고타로의 혼은 무엇을 기다리며 바닷가를 떠니지 못하는 걸까. 혼을 불러내는 의식과 무녀이야기는 우리나라와 많이 닮아있다. 전쟁의 기억 역시 우리와 무관하지 않으니 그들의 아픔이 그대로 전해져 온다. 

 

투계를 키우며 용돈을 벌어 쓰시는 아버지에게 다카시는 다우치(오키나와산 투계)병아리를 선물 받고'아카'라 이름 지어주며 정성을 다해 키운다. 그러던 중 폭력단 조직의 두목에게 '아카' 를 빼앗기고 결국 싸움판에서 치명적인 부상을 입고 처참하게 죽고 말자 다카시는 복수를 계획한다. 투계라는 낮설고 잔인한 싸움장면을 다듬지 않은 투박한 언어로 묘사하였기에 강하게 기억에 남는다.

'브라질 할아버지'에선 정말로 브라질 할아버진 안나온다. 대신 가난한 살림에 입하나 덜 요량으로 브라질로 가게된 할아버지 이야기다. 브라질에서 돌아 왔을 땐 전쟁으로 가족의 마지막 모습도 볼수 없었고 아버지가 담가두며 돌아 올 때 함께 먹자던 술이 담긴 단지만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 밖에 TV 복싱 시합중계를 보며 흥분하던 사춘기 소년이 미군들을 상대로 하는 술집에 다니는 엄마를 둔 같은반 친구와 함께 실제 미군들의 복싱장면을 보게 되면서 벌어지는 일상을 잔잔하게 그리고있는 '붉은 야자나무 잎사귀'에서는 미군기지 문제를 끄집어 내 보이고 있다. 이승에서 살다간 상처 많은 여성의 영혼이 한과 그리움이 서린 이야기 들려주는 '이승의 상처를 이끌고', 어린시절 아버의 폭력을 견디다 못한 어머니의 자살을 지켜본 아픈 기억으로 인해 성장한 후에도 성불구자가 된 남자와 상처뿐인 과거를 지닌 한 여자가 서로의 상처를 보듬고 어루만지며 치유해가는 과정을 담은 '내해' 등 섬이라는 환경과 과거의 역사 속에서 오키나와 만의 독특한 문학을 만날 수 있었다. 오키나 인, 그들도 우리처럼 전쟁의 상처와 기억을, 그리고 미군 기지 문제를 안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책을 덮고 나서도 아스라한 아픔이 명치끝에 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