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즌 트릭
엔도 다케후미 지음, 김소영 옮김 / 살림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에도가와 란포상을 수상하며 히가시노 게이고, 온다 리쿠, 텐도 아라타 등 쟁쟁한 추리 작가들의 극찬을 받은 작품이기에 많은 기대를 가지고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솔직히 쟁쟁한 선배들의 극찬에도 불구하고 기대에 못미쳐 내심 실망감을 감출수 없었다. 이야기의 후반부를 읽기 전까지는. 그리고 마지막 한 줄의 반전이 마치 둔기로 머리를 맞은 듯 멍한 느낌이 들게 한다.
 
우선 내용부터 살펴보자. 사건의 배경인 이치하라 형무소, 그 곳 소개에 너무 많은 부분을 할애하지 않았나 싶다. 어찌됬건 형무소에서 살인사건이 발생했다. 그것도 범인은 감쪽같이 사라졌다. 형무소의 어느 누구도 눈치 채지 못한 채, 이시즈카와 미야자키가 사라진 날 아침, 형무소는 발칵 뒤집어지고, 얼굴은 강산성 용액으로 녹아내려 신원조차 파악할 수 없는 팔을 위로 뻗은 이상한 형체의 시체 한 구가 발견되었다. 옷과 속옷에 적힌 번호로 이시즈카임이 발혀졌지만 그렇다면 미야자키를 죽이고 도망간 범인은 대체 누굴까. 한사람은 살해되고 한사람은 사라졌다. 

얼굴의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훼손된점이나 출소를 앞두고 굳이 교도소 안에서 살인을 했어야 했을까란 의문에 범상치 않은 사건임을 예감한다. 시체의 DNA 감식 결과 죽은 사람은 이시즈카가 아니라 미야자키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수사는 다시 원점, 이시즈카가 살인범이라 여기고 형사들이 이시즈카의 집을 찾았을 땐 교도소 안에 있던 이시즈카가 아닌 다른 사람이 이시즈카라는 이름으로 식물인간이 되어 누워 있는 게 아닌가. 그렇다면 교도소 내에 있던 이시즈카는 과연 누구일까. 단순 교통사고로 치부되던 사건은 미궁속으로 빠져 들고 만다. 대기업과 정치인들이 연류되어있고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그 와중에 희생자들이 추가로 발생하게된다.

사건의 가닥이 잡히는가 싶으면 다시 제자리, 처음 살인용의자로 지목된 인물과 시체가 서로 뒤바뀌더니 용의자조차 다른사람의 이름을 빌린 가짜임 드러나고 사건은 꼬이고 얽히어 도대체 종잡을 수없다. 아! 이름 마져도 비슷하니... 다른 추리소설 같다면 이쯤해서 범인의 윤곽과 범행 동기가 드러나고 점점 범인을 향한 수사망을 좁힐테지만 사고인지 살해인지 조차 확실히 알길이 없으니.
 
사건은 후반부로 치닺고, 한번 판결이 내려진 일은 두번 다시 다루지 않는다는 우리도 학교에서 배운바 있는 일사부재리의 법칙, 그렇다면 살인을 저지르고도 교통범죄로 재판을 받게되면 살인죄는 면재부를 받게 되고 다시 재판을 받을 일은 없는가. 누구를 위해 법이 존재하는지 법망을 교묘히 빠져나가는 인간들이 있으니. 죄를 저지른다는 것은 자신이 의도하지않는 사람들에게까지 불행을 초래하게 되고 더 크게 파생되어 짐을 알 수 있다. 원칙이란 대체 무엇이고 규칙이란 것이 아무자각 없이 따라야만 하는 것인지, 마지막 한 줄이 온몸에 전율을 느끼게 한다.
 
당신을 절대로 이 철벽의 트릭을 깰 수 없다.
그리고 반드시 두 번 읽게 될 것이다!
 
그 말이 예언이라도 되듯 정말로 첫장을 다시 펼쳐 들었다. 그리고 두 번째 읽기 시작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