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한참을 들여다 보다 - 시인의 눈으로 본 그림 이야기
김형술 지음 / 사문난적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미술가도 아니고 미술을 전공한 이도 아닌 글을 쓰는 시인의 눈에 비친 그림은 어떨지, 그림은 시인에게 무얼 말하고 있을지 궁금하였다. 허나 시인이 바라본 그림 역시 우리와 다르지 않다. 그가 그림을 보며 지난 날을 추억하고 자신을 바라보게 되는 것처럼 나 역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그림을 통해 내나름의 해석을 입히고 덪붙여 감상하고 때론 난해한 그림은 그저 바라만 본들 어떠리.
 
작가의 도움을 얻어 그림속으로 들어가 보자. 화가의 출생이나 그림을 그리게 된 배경, 시대 상황 을 알고 나니 그림이 한발짝 앞으로 내게 다가 왔다. 어렵게만 느껴져 멀리하던 초현실주의 작품들 역시 그림의 배경 설명과 곁들인 시인의 정겨운 회상을 머랏속에 떠올려 보면 그림의 내면을 들여다 볼수 있게된다. 그가 이끄는데로 조목모목 짚어준 감상의 포인트들을 염두에 두고 다시금 바라보니 그 의미와 그림이 눈이 아닌 마음으로 들어 왔다. 모든 예술은 통하는 그 무엇이 있느듯 싶다.
 
그림이나조각등의 미술작품을 감상 한다는 것은 작가가 창조한 독립된 새로운 우주를 만나는 일이며 작품 하나 하나 마다  창조자의 삶과 연륜, 꿈과 외로움등을 쏟아부어 창작의 고통을 거쳐 탄생한, 세상에서 하나뿐인 특별한 세계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작품을 감상하는 일은 한 사람의 창조자와 눈을 맞춘 채 대화를 나누는  일이며 작품을 통해 내자신을 비춰 보는 즐겁고 때론 고된 일이기도 하다.
 
넓은 화랑이나 미술관을 둘러보다 다리가 혹사되는 잠시의 육체적 고통도 기분 좋다. 다른 사람의 인생과 세계관을 들여다 보는 재미 또한 만만치 않다. 그림의 배경이나 이해에 앞서 내나름의 즐거움이 있기에 나는 기꺼이 미술작품과 마주하는데 시간을 투자 한다. 
 
내가 알고 있거나 친숙한 그림이나 화가를 만날때면 반갑기 그지 없다. 새로운 화가들과 그의 작품을 알아가는 것도 시인과 함께 여서 즐겁기만 하다. 왜 화가들의 자화상과 그림속에 거울들이 자주 등장하는지에 관한 의문점도 해결되었고, 사실주의나 초현실주의 화가들의 작품 역시 그 의미를 들여다 보며 나의 무지함을 탔할수 박에 없었다. 엉뚱해 보이고 기이한 그림속에 인간의 마음이 숨겨져 있음을 사랑과 고독과 사물이 가졌던 원래의 모습이 담겨 있음을 이제야 조금은 알것같다. 
 
거울과 자화상, 화가는 자화상을 그릴때 거울을 통해 자신을 보고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보며 자신을 형상화 한다. 그래서 자화상을 대할때 지나치게 과장되 보이거나 미미하고 때론 왜소해 보이기도 하는가 보다. 작가의 모습과 겹쳐진 나의 모습을 보기도하고 그림속 주인공이 나를 내려다보는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나를 바라보는 다른 시선이 느껴질 때가 가끔씩 있다. 
 
풍경과 인물, 풍경은 그림의 좋은 소재이다. 철따라 변하는 자연이나 태양빛에 따른 색채의 변화를 어느화가가 그대로 화폭에 옮겨 놓을 수 있을까. 인물 역시 매한 가지다. 누구한사람도 똑같은 얼굴이 없으며 사람처럼 다양한 표정을 지으수 있단 말인가. 이쯤되면 화가의 모델이 되기엔 부족함이 없으리라. 화가는 결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이나 인물을 그리지 않았다. 나름의 분석을 통해 각기 다른 색깔과 질감과 다양한 표정으로 그만의 개성과 산고의 노력이 작품에 녹아있다. 그래서 화가의 내면이 담겨있고 보는사람의 느낌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림을 좀 모르면 어떠리. 그림을 보며 위안을 얻고 미술관이나 화랑을 가는 즐거움을 누리고 보는이가 행복하면 그것으로 족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