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각성
김요한 지음 / RISE(떠오름) / 2025년 7월
평점 :
'리앤프리북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도서는 삶을 미화하지 않는다. 누구나 겪는 흔들림과 균열을 직면하게 만든다. 저자는 관계의 틈, 감정의 혼탁, 반복된 실패 속에서 우리가 얼마나 무심하게 자신을 방치해왔는지 차갑게 보여준다. 책장을 넘기는 순간, 그것이 단순한 심리 에세이가 아니라, 한 사람의 붕괴와 재구성을 기록한 보고서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초반부는 감정의 진폭이 사라진 무감각한 상태를 세밀하게 묘사한다. 타인의 시선과 기분에 휩쓸리며 살면서도, 정작 자기 안에서는 어떤 울림도 느끼지 못하는 상황. 저자는 이를 단순히 피로의 결과로 보지 않는다. 오히려 스스로를 돌보는 선택을 미룬 결과라고 말한다. 말보다 기류, 표정보다 공기를 먼저 읽어야 한다는 메시지는, 우리가 관계 속에서 무엇을 먼저 살펴야 하는지 일깨운다.

중반부에 들어서면 어조가 한층 단호해진다. 무너짐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고, 그 패턴을 만든 건 타인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라는 직설이 나온다. 참는 것을 미덕으로 포장하지만, 실상은 결정을 피하고 책임을 미루는 습관에 불과하다는 지적은 불편하다. 그러나 그 불편함 속에서 변화를 위한 각성이 시작된다. 멈춰야 할 때 멈추지 못하고, 물러서야 할 순간에 버티다 결국 퇴로조차 잃어버리는 모습은 많은 사람의 현재를 비춘다. 독자는 그 장면에서 타인의 얼굴보다 자기 얼굴을 먼저 떠올리게 된다.
이 책이 특별한 점은, 단순한 문제 제기에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후반부로 갈수록 저자는 해체와 복원의 구체적인 절차를 제시한다. 어떤 관계를 덜어내야 하는지, 어떤 감정을 남길 것인지, 어떤 기준을 세워야 중심을 되찾을 수 있는지 묻는다. 모든 선택에는 비용이 따른다며, 미뤄둔 결정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고 단언한다. 그 단호함은 위로나 공감이 아니라 결단을 촉구하는 목소리에 가깝다.
각 장은 짧지만 완결된 메시지를 품고 있다. 불필요한 미사여구를 철저히 배제한 문장은 날이 서 있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과 통찰을 해부하듯 펼쳐놓으며, 관계와 감정, 선택의 구조를 분석한다. 상실을 견디고, 고립을 통과하며, 다시 관계를 선택하는 과정을 마치 설계도처럼 보여준다. 덕분에 독자는 단순한 감정 공유가 아니라, 행동 지침에 가까운 울림을 받는다.
도서는 친절하지 않다. 독자에게 “지금 그대로도 괜찮다”는 면허를 주지 않는다. 오히려 지금의 방식을 유지하면 반드시 무너질 것이라는 경고를 거듭 반복한다. 그러나 그 경고 속에는 삶을 다시 세울 수 있다는 믿음이 깔려 있다. 저자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마주하라고 말하면서도, 그 마주함이 절망으로 끝나지 않도록 끝까지 안내한다.

마지막 장을 덮고 나면, 위로나 감동보다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결심이 남는다. 책 속 문장들이 독자를 붙잡아 끌어올리는 힘은, 그 문장들이 저자의 철저한 자기 검증과 체험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각성』은 단지 읽는 데서 그치는 책이 아니다. 결국 독자의 삶의 구조 속에 남아, 행동을 바꾸게 만드는 책이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우리는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살아갈 수 없게 된다.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각성’이다.
태그
#각성
#김요한
#떠오름
#리앤프리
#리앤프리서평단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