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견하는 즐거움
리처드 파인만 지음, 승영조 외 옮김 / 승산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티브 잡스가 신제품 아이패드를 들고 런칭한 날, 그의 뒤 스크린 속에는 인문학(Liberal art) 과 기술(Technology)라고 씌여진 두개의 표지판이 있었다. 그는 그 두개의 표지판을 가르키며 "인문학과 기술의 교차로입니다. 애플사는 언제나 이 둘이 만나는 지점에 존재했습니다".  라는 말로 애플사의 정체성을 설명했다. 그리고 나서 우리 나라 주류매체 기사에서 흥분해서 아이폰이나 아이패드같은 기기가 나오기 위해서는 우리도 미국처럼 인문학을 밀어주고 발전시켜야 한다고 요란하게 떠들어 댄 적이 있었다.

 

사실 나는 몇 몇의 그런 기사들을 찾아 읽었고, 읽으면서도 띨띨해서 그런지 왜 그런 테크놀로지의 바탕에 인문학이 필요한지 정확하게 캐치해 내지 못했다. 다만, 미국이란 나라가 전 세계의 인재를 다 끌어모을 정도의 학문적 패권을 가지고 있는 나라이므로 인문학과 기술이 어느 한 분야에 치우지지 않고 고루 발전했기 때문에 그런 통합적인 의미로 애플사의 정체성을 보여준 것이 아닐까,하고 추측했다.

 

그렇다고 잡스의 그 통합적인 접목에 감동 받아 우리도 인문학을 지금보다 더 발전시켜야 한다고 한다는 것은 어폐가 있다. 왜냐하면 우리의 학문적 상황이 인문학도 빌빌거리지만, 기초과학 분야도 인문학 못지 않게 빌빌거리는 상황(척박하기 이를 데 없다. 난 우리나라 과학자가 지은 책을 읽어본 적이 없다. 흔히 과학적 maker가 아닌 거의 다 과학지식의 giver들뿐)이기 때문이다. 그런 처지의 나라에서 인문학 발전을 운운하는 것은 과학을 잘 모르는 나도 한심해 보이기 그지 없다. 

 

오히려 현재의 척박한 기초과학 교육에 더 확실한 기초과학과정을 집어 넣어야한다고 주장하는 글이 올라오고,그런 기사에 대해 현재의 우리 상황이 기초과학과목보다 인문학을 우선시 할 수 없는 처지에 대한 반박의 글이 몇개 정도는 올라와야 하는 것 아닌가. 정말 우리 나라 과학기술자들은 그 말을 전적으로 수긍하는 것인지 의문스러웠다. 아무런 반박의 글이 올라오지 않는 것은 우리 나라 현재의 과학 교육이 정말 세계가 놀랄정도의 시스템을 갖추고 있단 말인가.

 

인문학을 무시하자는 것이 아니다. 내 생각엔 이런 글 저런 글을 읽어보면, 잡스의 생각과 달리 테크놀로지와 인문학은 별개의 학문인 것 같기 때문이다. 공학자들이나 과학자들이 인문학을 더 잘 알아야 테크놀로지가 발전하는 것처럼 말하는 것은 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오늘날처럼 놀라울 정도의 인문학적 사유의 시대에서 태어난 것이 아니다.

 

인문학을 전혀 몰라도 테크놀로지는 발전할 수 있다. 그 예로 저 멋진 웃음의 남자 파인만을 들 수 있다. 그는 평생을 인문학을, 추상적인 언어를 혐오했다. 알려고도 하지 않았고, 할 필요성도 느끼지 못 한 듯 하다. (하지만 그의 아들은 그가 반대했던 철학을 전공했다. 그의 평전 <천재>를 읽어보면 그의 아들이 철학을 전공한다고 할 때 무척이나 실망했지만 나중엔 어쩔 수 없이 아들의 뜻을 받아들였다. 그러고 보면 제 아무리 똑똑한 부모라도 자식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심지어 그의 <파인만씨 농담도 잘 하시네>같은 몇 권의 책은 그 대신 랠프 네이튼이 쓸 정도로 뛰어난 작문 실력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를 평생 물리학으로 이끈 바탕은 오히려 인문학이 아니고 천재적인 수학적 재능과, 끊임없는 호기심 그리고 열정이었다. 그의 호기심과 열정을 보여주는 한 대목이 있다.

 

파인만의 화가친구가 과학자들이 꽃을 연구함으로써 아름다움을 놓친다는 비판을 듣고 그는 이렇게 말했다. "나도 꽃의 아름다움에 취할 줄 압니다. 뿐만 아니라 꽃에 대해 그 친구가 아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습니다. 꽃 세포를 상상할 수 있고, 세포들의 복잡한 움직임을 상상할 수 있는데, 세포와 그 움직임도 여간 아름다운 게 아닙니다. 겉으로 눈에 보이는 것에만 아름다움이 있는 것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차원의 세계에서도, 내부 구조에도, 그 작용에도 아름다움이 있지요. 꽃 색깔이 곤충을 끌어들여 가루받이를 하려고 진화한 거라는 사실은 참 흥미롭지요. 그렇다면 곤충도 색깔을 알아 볼 수 있다는 얘기가 되는데, 과학은 거기에 의문을 덧붙입니다. 하등 생물도 미적 감각이라는 것을 지니고 있을까? 아름 다운 것은 왜 아름다울까? 그것은 참 흥미로운 의문입니다. 알고 보면 과학 지식은 꽃에 대한 흥미와 신비로움과 경이감을 더하면 더했지 절대로 덜하게 하지는 않습니다"라고.

 

이런 그의 과학적 사유체계가 인문학적인 사고에서 연유된 것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축척된 과학 이론과 실험과 실증이 그의 과학적 사고 체계를 만들어 가고 자신의 학문적 업적(양자역학 특히나 그의 파인만의 디아그램)을 이룩한 것으로 보여진다. 모든 학문이 다 그렇겠지만, 과학(기술)의 바탕은 외골수적인 열정과 과학적 지식의 축적이 아닐까.  그러기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풀조차 나지 않는 과학의 터전위에서 인문학을 육성시키자가 아니고 좀 더 많은 아이들에게 과학의 모험을 하기 위해서는 탄탄한 기초과학의 육성과 함께 현대 과학의 이슈, 진행 정도와 호기심 유발이 먼저 아닐까, 하는 것이다.

 

참 어떻게 말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과학은 내가 가진 가치관을, 그리고 세계관을 아주 작은 곳에서 무한대의 우주로 옮겨 주었다.  진화나 우주론에 알면 알수록 점점 확장되는 세계관은 그 어느 때보다 과학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인문학을 읽었던 때보다 더 넓고 깊은 세계로 말이다. 과학기술을 위해서 인문학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과학(기술)은 그 나름의 독립된 분야임을, 충분히 인문학의 도움 없이도 자신의 길을 나아갈 수 있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현대 사회에서 과학의 가치에 대한 파인만의 강연글과 TV 인터뷰 글등을 모아서 낸 책이다. 추상성이나 애매모호함은 그가 인문학을 싫어하는 이유이기에, 이 책에 실린 그의 강연은 그가 과학을 바라보는 관점이 실용적이며 실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