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웃음과 망치와 열정의 책 책 읽는 고래 : 고전 5
진은영 글, 김정진 그림 / 웅진주니어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보고 있자니 갑자기 고등학교 때 무턱대고 읽었던 니체와 쇼펜하우어의 철학책들이 생각이 났다. 하지만 멋모르고 읽었던 니체의 책들은 그의 전체적인 사상을 이해하지 못하고 내려 놓았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사실 니체의 철학책들은 어느 정도 나이가 차도 읽기가 버거운 것은 사실이다. 철학이라는 게 달랑 그 사람의 사상만을 쫓아가는 것이 아니고 그가 살았던 시대를 알아야 하고(사실 난 세계사를 좋아하긴 했지만 세세한 부분까지 몰랐고) 그 시대의 생활상이나 사상 시스템이 니체에게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한 것같은 기본적인 지식이 있어야하는데, 그 땐 어떻게 책을 읽어야하는지, 처음부터 어떻게 시작해야하는지 그리고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 잘 몰랐다. 주변에 독서 가이드를 지도할 만한 선생님도 없었고 독서 가이드라고 할 만한 책도 없었기 때문이다. 몇 십년 전의 출판 시장을 현재의 출판물과 비교한다는 자체가 무리인 것은 알지만, 과거의 출판물들과 비교할 때 요즘은 어린이들을 위해 만든 책들의 범위가 다양하다는 데는 인정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어린이 책들이 쏟아지는 요즘에 발견한 이 책은 어린 논술 세대를 위해 만든 책이다. 워낙 니체의 사상이 심오하고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데, 그런 니체의 사상을  논술 때문인지 초등학교 고학년들도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풀이해서 내 놓은 책이 바로 <니체의 차라투스라는 이렇게 말했다>라는 책이다. 성인이나 중고등학생들은 쉽게 전체적으로 이해가능하며 초등 고학년은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겠지만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좀 무리일 수 있겠다. 니체 사상의 중요한 근간을 이루는 인물인 위버맨쉬(얘전 우리가 읽었을 때는 초인)에 대한 중요하게 다루고 있으면 니체에게 위버맨쉬는 어떤 존재인지 쉽게 설명하고 있다. 니체의 위버맨시는 권력자, 부자같은 계층적으로 상단에 위치에 있는 인물이 아니고 내적으로 외적으로 강한 인간을 의미하는데, 지은이가 니체의 민주적인 위버맨쉬를 설명하기 위한 과정에서 예를 든 범위가 넓어져 조금 혼란스러울 수도 있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니체가 살았던 시대의 가장 큰 과학적 충격인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언급이 있었더라면,그가 말하는 신은 죽었다라는 의미의 백그라운드가 무엇을 뜻하는지 그리고 그가 왜 신을 버리고 위버맨쉬 사상을 들고 나왔는가 하는 역사적,과학적 배경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면, 더 좋았을 것을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아무래도 이 책의 대상이 누구인지 명확한 상태에서 대상이 대상인만큼 복잡한 배경을 커트시킨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없지는 않지만. 여하튼 논술 세대를 위한 책답게 이해도는 높은 책인 것만은 확실하다. 처음엔 과연 아이들을 위해 이런 책이 꼭 나와야했을까하는 의문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읽고나서 이 책의 수준이 어느 정도 대상을 명확하게 짚어내고 출발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기로 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더할 나위없이 권하고 싶은 것은 이 책의 이해도를 바탕으로 그의 원전을 이 참에 읽어치우는 것도 니체의 사상을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기회를 마련 할 수 있다는 것일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