닉 혼비 런던스타일 책읽기
닉 혼비 지음, 이나경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몇 년전에 닉 혼비의 <피버 피치>를 너무나 힘겹고 재미 없게 읽었던 터라, 솔직히 이번에 신간으로 나온 <런던 스타일의 책 읽기>라는 책이 책에 대한 책 이야기가 아니었다면, 관심 밖의 작품이었을 것이다.  <피버 피치>이후 지금까지 닉 혼비의 모든 작품이 내 레이더 화면에 잡혀 본 적은 한번도 없다. 또 지루한 축구 타령이나 늘어놓겠지 싶어서...((스포츠는 보는 것도 읽는 것도 싫네!)  그의 소설이든 에세이지간에 상관 없이 쏴그리 무시했던 것이다. 그렇담, 뭐하러 악몽같았던 <피버 피치>를 물고 늘어졌느냐고? 그 때 시댁에 갈 때 가져갔던 책이 이 책밖에 없었다. 글중독자의 금단증상을 피하기 위하여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드라마나 스포츠는 보기 싫고 멍하니 하루종일 있기도 뭐하고 해서.    

편견은 독서의 최대의 적!  생각보다 이 책 너무 유쾌하게 읽었다.  내가 알고 있던 혼비 맞아! 닉 혼비가 이렇게 글을 톡 쏘며 재밌게 유머스럽게 쓰는 작가인 줄 몰랐다. 폭 넓은 독서가는 커녕  애들에 치여 진지한 독서는 일찍감히 내던진, 그래서 더욱더 나의 처지와 맞아 떨어지는 글로 가득찬 이 책을 내가 왜 사랑하지 않을소냐. 게다가 내 취향에 맞는 작품이 그렇게 많지 않았음데도 불.구.하.고 글을 너무 재미있게 쓰는기라~~~책을 소개받은 자리에서 대상 책보다 그 옆에서 있는 마담뚜에게 더 관심을 갖고 큭큭거렸다고 할까나. 만약에 혹 문장스타일에 관심이 있는 글쓰기 지망생이라면, 닉 혼비의 이 작품 꼭 한번 읽어보길 권한다. 아마 글의 스타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닉을 피해가기는 힘들 것이다.   

이 책은 책에 대한 책이야기인줄 알았는데  미국의 <빌리버>라는 정기 간행물에 실린 리뷰칼럼을 모아 출간한 책이다. 영국작가이지만, 언어가 같고 닉이 들먹거리는 팝음악이라는 공통분모가 있어서 미국인들도 이질감은 느끼지 못했을 것 같다.(물론 나의 추측!) 나 또한 닉 혼비가 언급한 락음악이나 팝음악을 거의 듣고 자란 탓인지 리뷰도 리뷰지만 그가 소개하는 뮤지션이나 음악이 더 반가웠다. (닉혼비가 브루스 스프링스틴을 좋아하는지 처음 알았다. 나 또한 브루스 의 열혈팬이어서 그런지 닉의 글에 더욱더 끌린다는. 90년대 중반 이후의 음악을 잘 몰라서 90년대이후의 뮤지션을 거들먹거릴 때는 우왕좌왕하지만, 나랑 나이 차가 제법 나는 닉 혼비가 말하는 뮤지션들은 다 알겠더라는)   

닉은 플럭시블(flexible)한 독서가이며 독서 권장가다. 취향에 맞는 책을 선택하고 지루한 책을 끝까지 읽은 것은 선택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TV를 볼 때, 한 채널을 고정해서 보지 않고 이쪽저쪽 틀어대듯이, 책 또한 같은 맥락에서 생각하라는 것이다. 지루하면 내려놓아라! 좀 더 개인적으로 즐거운 책을,  읽을 많한 책을 선택하라고 그는 충고한다. 닉 혼비의 이 책을 읽으면서 그의 독서론에 공감한다. 요즘 드는 생각이 많은 사람들이 1차적으로 책을 통해서 지식이나 정보를 얻는 것도 중요하지만, 오락기능 또한 무시 못한다는 생각이 든다. 게다가 책을 좋아하고 읽는다고 해서 폭 넑고 다양한 독서를 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흔한 말로  책을 통해 더 넓은 세계로 더 미지의 세계로 간다는 거  그거 전부 다 거짓말이다. 사람들은 자기 취향의 책을 지칠 줄 모르고 찾고 찾고 또 찾아 읽는다. 잠깐, 외도는 할 지언정, 개개인의 독서 취향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예로 나는 자기계발서나 로맨스 소설은 읽지 않는다. 흥미도 없을 뿐더러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지만, 로맨스 분야의 책을 쓰고 읽는 사람이 있는 것을 보면, 책의 분류가 다양할 뿐, 독서가는 자기 관심이나 취향의 글을 꾸준히 찾고 좋아한다는 것이다. 그럼 아시포프는 ?여하튼 그게 바람직한 것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지만, 모든 종류의 책을 읽어야 한다는 강제성보다는 오히려 편안하게 책을 바라보는 시각을 갖는 거 또한 중요하다. 

닉 혼비는 그의 독서론만큼이나 편안하고 즐거운 글을 쓰는 작가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처음 알았다. 그의 다음 신작이 나오면 나의 레이다 망에 꼭 반짝거릴 것 같은, 그런 작가였다. 

덧 : 나를 포복절도하게 만들었던 LA 메탈 밴드 모틀리 쿠가 알고 싶다면  http://blog.naver.com/kkhkmk1004/1300474697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