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코르와트에서 살아남기 1 아이세움코믹스 서바이벌 만화 문명상식
코믹컴.류기운 글, 문정후 그림 / 아이세움코믹스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이 책 받아보자마 반가웠던 것중 하나가 그림을 문정후가 그렸다는 것이었다. 문정후하면 수 많은 일러스트작가 중 한명이겠지, 뭐하고 뜨악할 수 있겠지만, 한때나마 이 작가의 <용비불패>의 열혈팬이었던 나로서는 오랜동안 못 만났던 친구를 만나 그 친구의 근황을 알게 된 것처럼 느껴져 반가웠다. 아, 이제 이 만화가가 학습만화도 그리는구나 싶었다능. 

아이세움이 이번에 내 놓은 살아남기 시리즈가 선택한 문명은 앙코르와트이다. 학교 선생님들은 이런 만화매체를 극구 장려하지 않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딱딱하고 빡빡한 글 위주의 책보다는 아이들에게 선뜻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이런 형식의 학습만화를 선호하는 편이다. 얼렁뚱땅 쓰여진 것도 아니고 이 책을 만들기 위해 이 유적지를 3년동안 3번이나 다녀오는 수고를 한 제작진들이다. 그런 수고에 대해 선생님들은 만화를 보면 상상력이 떨어진다는 둥, 너무 쉽게 읽으면 나중에 글밥 많은 책을 못 읽는다는 둥 수준의 맞는 책을 읽어야지 무슨 만화책이냐는 둥 제발 그런 찬물 끼얹는 소리 좀 하지 말았으면 한다. 난 매체의 형식이 무엇이든지간에 글을 통해 지식을 얻을 수 있고, 그 지식을 바탕으로 사물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능력이 생길 수 있다고 믿는 엄마이다. 도대체 아이가 무슨 만능맨이라도 된다 말인가. 어떤 작가는 그림을 통해 더 뛰어난 이야기 전달 효과를 발휘하는 작가일 수 있고 어떤 작가는 글로만 이야기전달 효과가 클 수 있다. 받아 들이는 것은 아이의몫이다. 제발 어떤 글을 읽든지 간에, 어떤 편견도 가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좀 더 넉넉한 마음으로 아이들의 독서를 바라볼 수 없을까. 

이번에도 궁금쟁이 우주는 고고학자인 아빠와 함께 앙코르와트를 답사하기 위해 계획을 세운다. 문제는 어느 집이나 마찬가지지만 살림의 규모. 과연 그들은 앙코르와트로 고고씽을 할 수 있으려나.  

우주는 영어공부하는 척 하지만 실제 공부는 캄보디아의 앙코르문명에 관심으로 열이 올라 있어 몸이 들썩들썩 마음도 들썩들썩이다. 우주 아빠말대로 우리가 서양중심의 세계사로 공부해서 그렇지 동양문명이 서양문명보다 더 화려하고 신비로울 때가 있었다. 바로바로 캄보디아의 크메르족이 이룩한 앙코르 문명, 802년 자야바르만 2세가 앙코르 왕조를 건국하고 1431년까지 통칳면서 힌두신앙을 바탕으로 불교와 토착 문화가 어울어려 찬란한 문명의 결과물이다.  

우연곡절속에서 우주의 가족은 캄보디아로 떠나고 그 곳에서 앙코르와트의 유적의 역사와 에피소드 그리고 문명의 지식을  아이들이 좋아할만한  코믹개그를 날리며 차근차근 설명하고 있다. 이 나이가 되면 두 부자 콤비의 개그는 안중에 없고 그냥 역사의 이야기만 읽게 된다 (나이가 그렇게 만든다는 것이다. 아이들은 역사이야기는 빼고 코믹개그에 눈을 돌리지만서도).  비록 지금은 크메르루즈같은 이념 전쟁속에서 수 많은 되 없는 사람들이 사살된 땅으로 기억되고 있지만, 아직도 풀리지 않는 그 앙코르문명에 대한 궁금증과 그 웅장하고 거대한 유적에 대한 경외감으로 수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다고 한다. 2008년 4월에 개장했다는 앙코르 국립 박물관은 캄보디아의 역사와 문화, 종교와 관련된 1300개가 넘는 다양한 유물을 전시되어 있고, 이 책은 그 중심에서 이야기를 전개시켜 나가고 있으며, 제법 많은 실증적인 사진자료와 글이 무엇보다도 두고두고 유용한 학습만화작품이다

아이들은 문정후씨의 씩씩하고 밝은 그림 속에서 그리고 코믹컴 작가들의 유쾌한 개그스러운 글속에서 앙코르 문명을 더 쉽게 받아들이고 재미를 느끼지만, 성인인 난 한때미다 찬란했던 과거를 더듬다는 것은 씁쓸했다. 문명이 붕괴되고 새로운 문명이 그 뒤에 계속해서 더 휘향찬란한 문명을 꽃 피워야하는 것을.... 캄보디아의 후의 문명은 몰락 그 자체였던 것이다. 아~ 옛날이여~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