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인터넷 서점에서 어린이 책 편집장을 대상으로 내인생의 그림책 이벤트 하는 것을 보고, 한달정도 곰곰히 나야말로 내 인생의 그림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하고 생각해봤어요. 지난 몇 년동안 아이들을 키우면서 많은 그림책을 읽어주었지만, 무슨 계기로 그림책을 좋아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은 없었거든요. 사실 전 큰 애 네살 때가지만해도 그림책에 그렇게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큰 애가 어릴 때 한 몇 년 광주에 살았는데, 광주 금남로에 나가면 금남로서점인가 하는 대형서점이 있었어요.  애아빠 회사가 그 근처여서 애아빠랑 점심도 같이 먹을 겸 따분함도 달랠 겸 해서 시내 나가면 애아빠한테 점심 얻어 먹고 서점 들려서 그림책 몇 권 사다 아이에게 읽어주곤 했어도, 그림책에 열혈 애정을 갖고 서점에 들려 책을 사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읽어주면서 하품 쩌어쩍 했던 시절이었죠. 그러던 어.느.날. 이 책 <프레드릭>을 인터넷 서점에서 주문해 받아 책장 넘기며 읽는데 전율을 느꼈다고나 할까요.  가슴이 뭉클해지면서 알 수 없는 그 무엇인가가 머리에 쿵하고 내리치는 것 같았어요. 고만고만한 아이들 수준의 그림책을 읽었고 그림책이란 게 아이들의 전유물로서 인식하였던 저에게 자연의 색을 모으고 이야기를 모은 시인 <프레드릭>과의 만남은 그림책에 대한 또 다른 호기심과 관심을 갖게 만들었어요. 이 그림책을 통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그림책의 세계를 알게 된 것이죠. 이 그림책의 만남 후  그림책은 아이들 것이야라는 속 좁은 편견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그림책 세계에 한번 알아보자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한마디로 그림책 세계에 입문할 수 있도록 해준 책이었다고 할까요. 지금도 이 <프레드릭>을 읽으면, 그 때의  가슴 뭉클했던 분위기, 데자뷰를 느낄 수 있는 작품입니다.

이 책  처음 아이들에게 읽어줄 때 어찌나 난감하던지...그 때는 책도 안 뒤적여보고 받자마자 아이들에게 읽어주던 시절이었데, 맨 마지막 녹색 소파가 덩그러니 하얀 여백위에 놓여 있는  장면에서 저도 모르게 눈물이 하염없이 흐르면서 나중엔 눈물과 콧물범벅이 되었어요. 먼저 돌아가신 아빠의 이미지와 오버랩되면서......한장의 보잘 것 없는 그림이 상실의 슬픔을 충분히 담을 수 있다고 생각해 보신 적 있으세요. 그 때까지 전 그림책이 일반독자에게 감정의 전이를 가질 수 있을 만큼의 파워를 가졌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거든요. 그 어떤 화려한 말도, 위로의 말도, 장식적인 그림도, 실험적인 의도 없이도 충분히 상실의 공감을 표현해 낸  존 버닝햄의 한 장의 그림앞에서 그림책의 보다 더 깊은, 보다 더 넓은 표현의 세계를 가지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더랍니다. 아이들이 죽음이란 단어를 받아들이기엔 벅차지만, 책을 아이들에게 읽어주는 어른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했더랍니다.  이 책의 이야기 구성은 좀 독특한데, 음악기법으로 치면 스타카토 기법이 떠오를 정도로 이야기의 흐름이 일관되게 흐르는 작품이 아니고,  과거의 기억을 연결할 수 없는 것처럼 에피소드가 뚝뚝 끊어집니다. 처음 아이들에게 읽어줄 땐 이해 잘 안되지? 재차 물으면서 상당히 미안해했던 기억이 납니다. 형식이 곧 내용이라는 사실을 몰랐던 것이죠. 이 책은 회상이라는 구조, 그리고 기억의 재생이 불연속적인 속성을 이해했다면 좀 더 읽기 쉬운 작품이었는데 말입니다.

아,  알스버그는 그림책이 예술의 반열에 오를 수 있다는 것을 알려 준 작가입니다. 그림책을 몇 년 동안 보다보니, 저 다름대로의 그림책을 보는 여러 기준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작가가 색을 많이 사용하느냐 적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나눌 수가 있는데, 알스버그는 색을 적게 사용하는 작가군에 속합니다. 이쪽에 속하는 대표적인 작가로는 푸른색이 주조를 이루는 제인 레이나 환한 갈색톤으로 배경을 깔아 자칫 색이 화사해 색을 많이 쓰이는 것처럼 보이는 가브리엘 뱅상, 그리고 흑백의 귀재 알스버그가 있습니다. 알스버그가 얼마나 멋지게 흑백의 표현력이 대단한지는 작품의 한장면 한 장면을 꼼꼼히 보시면 알 수 있을 거예요. 전 이 작가의 이 작품 보고 감탄감탄 또 감탄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 겉표지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림 자체는 구체적인데 전체적인 인상은 기괴한 추상적인 느낌이 들거든요. 게다가 가까이 들여다 보면 이잎사귀 한장 한장의 묘사는 빛에 팔랑대는 것처럼 묘사력이 기 막힐 정도입니다. 흑백 두 가지 색으로 색이 넘쳐 흐르는 것 같은 그의 작품을 볼 때마다, 무궁무진한 그림책의 표현력에 찬사를 안 보낼 수가 없었어요. 이 작품은 나중에 팀 버튼의 에드워드 가위손에 영향을 준 것 같은데, 아이러닉한 것은 알스버그는 흑백으로 저 정원을 표현했는데, 팀 버튼은 자신의 작품 중에서 가장 알록달록하게 에드워드 가위손을 표현해 놨다는 점일 것입니다. 아마 우리 나라 왠만한 미술전공자들도 이정도이 표현력을 가진 사람은 드물 것입니다. 부럽죠! 이런 사람들이 그림책 시장에 뛰어드는 미국의 현실이.

이 작품은 판화그림책입니다. 그렇게 알려진 작품은 아닌데, 이 그림책은 판타지와 과학이 어우러진 독특한 방식을 취한 작품이예요. 보통 그림책이 판타지와 지식 그림책 두 부류로 나눠지잖아요. 겨울 할머니의 경우는 거위털로 만든 이불을 한번 털때마다 눈이 내린다는 상상력에다 눈이 내릴 때 동물들이 추운 겨울은 어떻게 견뎌내는지하는 사실적인 정보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어요. 전 처음엔 그림이 맘에 들어 샀는데, 읽으면 읽을수록 독특한 구성에 맘에 끌리네요. 겨울이 오면 이 책을 아이들에게 꼭 읽어주고 아이들에게 할머니에게 "할머니, 눈 내려주세요"하고 말해봐. 그러면 눈 내려주실거야, 라고 말하는데, 작년까진 큰애한테는 먹혔는데..올해는 글쎄요. 이 책은 우리집에서 아이의 순진성을 잴 수 있는 척도의 그림책입니다. 딸애는 올해까지 이 이야기가 먹힐 수 있을 것 같아요.

마지막 선정은 무지 힘들었어요. 제가 좋아하는 그림책 작가가 <꿀벌나무>의 폴라코와 <아틀란티스를 찾아서>의 콜린 톰슨이 있는데, 그 둘을 집어넣고 싶었거든요. 하지만  결국 이 책을... 일본그림책은 아이들의 일상을 참, 정확하게 묘사하죠. 작가와 아이가 같이 나란히 걸어가면서 두런두런 이야기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전 이 작품 아이들에게 읽어줄 때, 저 어린 시절이 떠올라 너무나 행복했던 작품입니다. 저 어린시절에 골목길에 살았는데, 그 땐 차가 없어 눈이 내리면  골목길 위에 그 하얀 눈이 골목길 끝까지 쌓여있어 아이들하고 같이 놀던 때가 있었거든요. 이 그림책이 그 때의 그 추억을 불러일으킨 거죠. 불쾌한 추억도 아니고 잠재된 어린 시절의 한 끝자락을 다 큰 어른인 지금 다시 떠올리니, 그림책을 읽는 맛이 이런 것이구나 싶었어요. 이 책은 제가 좋아서 아이들에게 무지 많이 읽어주는 책입니다. 추억이 얽켜있는 그림책을 읽어준다는 것은 지금 점점 커가는 내 아이의 기분을 이해할 수 있는 길이기도 하지요.

제가 그림책을 좋아하게 된 작품들이다 보니, 초기에는 이렇게 무난한 글과 그림의 작품들이 먼저 눈에 와 닿더라구요. 평이한 작품들이지만, 이 작품들을 통해 더 깊은 그림책 세계로 나아갈 수 있었기 때문에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작품이구요. 지금도 그렇게까지 좋아하지는 않지만 관심이 많이 가는 모리스 센닥의 기괴하고 불유쾌한 작품들이 왜 그렇게 뛰어난 작품으로 인정받는지 알 수 있는 눈을 뜨게 해 준 작품들이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점점 커가면서 그림책하고 약간 멀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나이 50,60이 들어서도 그림책에 대한 열망은 간직하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