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빗 보더니스의 전기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었는가라는 부제가 붙은 <일렉트릭 유니버스> 엊저녁에 읽다가 이명박의 라디오 스타 속셈 알고 웃겨 죽는 줄 알았다. 며칠 전에 미국의 루스벨트처럼 mb가 라디오에 나와 한달에 몇 차례씩이나 연설을 한다는 기사를 접한 적이 있었는데, 뭐 의도야 자신의 정책을 보다 더 국민들에게 이해시키고 설득시키려는 것이겠지만서도, 음흉한 마음을 가진 나로서는 대통령의 행보가 진실스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어제 보더니스의 이 책 읽다가 정치인들의 라디오 연설이 가진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설파한 글을 읽으면서 mb의 꿍꿍이 속셈을 더 잘 이해했다는. 정확히 mb의 라디오 연설을 의미를 찾지 못하고 웃기고 있네 !하던 찰나에, 입담 좋은 보더니스가 역사의 예를 들어가며 설명한 라디오의 역활이 mb의 속셈을 확 까발렸다는 점에서 시원함고 청량감을 느꼈다고나 할까.

 

 

   
 

아돌프 히틀러의 <나의 투쟁> 중에서

모든 프로파간다는 호소력을 가져야 하며, 내용의 지적 수준은 프로파간다가 선전 대상으로 삼는 사람들 중에서도 가장 지성이 뒤떨어지는 자의 수용 한도에 맞춰 설정되어야 한다. 더 많은 수의 사람들에게 선전하려면, 더 낮게 프로파간다의 순수 지적 수준을 설정해야 한다............... 최고로 뻔뻔한 거짓말이라도 어느 정도는 사람들의 마음에 남게 마련이다. 

미국에서는 라디오를 활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전파하는 선동가가 그리 많지 않았다. 하지만 일본과 몇몇 유럽 국가의 사정은 달랐다. 나치당이 1933년의 선거에서 승리할 수있었던 데는 라디오 방송을 혁신적인 선전 수단으로 활용한 덕이 컸다.

                                                                                                       p150

 
   

라디오 연설이 얼마나 국민들에게 먹혀들어갈지 알 수 없지만, 인터넷 덧글에도 부르르 떨면서 무슨....라디오 연설이 효과를 보면 얼마나 본다고, 라디오 연설 어쩌구 하는 것만 봐도 mb가 얼마나 구시대적인, 근시안적, 근대적인 사고로 21세기를 통치하려는것을 알 수 있지 않나. 1979년인가에 버글스는 라디오 스타는 죽었다고 노래했었다. 여하튼  버글스의 이 노래나 듣고 라디오 연설을 하든지 말든지. 앞날이 암울하기만 하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