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곡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8
누쿠이 도쿠로 지음, 이기웅 옮김 / 비채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쿠이 도쿠로 작가의 데뷔작입니다. 이 책이 중견 작가의 농익은 작품이 아니라는 것에 굉장히 놀랐습니다. 책의 구성 자체가 독특하고 마지막 결말이 충격적이기 때문입니다. 범인의 정체도 놀랍지만 두 개의 장이 하나로 연결되는 구조적인 병합이 진.짜. 반전으로 작용합니다.

책은 두 가지 이야기가 교차로 진행됩니다. 첫 번째는 딸을 잃고 무감각하게 살아가는 마쓰모토의 이야기입니다. 어떻게 그리고 왜 이 사람이 범죄를 저지르는지를 보여줍니다. 마쓰모토의 시각에서 쓰여진 글이기 때문에 일기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그의 감정적인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딸을 잃은 부모의 심정이 고스란히 전해져 그의 범죄에 대해 일면 수긍하게 됩니다. 가슴에 구멍이 뚫려버렸다는 마쓰모토의 말이 자식을 잃은 부모의 심정을 가장 함축적으로 표현한 문장 같거든요. 모든 것이 그 구멍으로 통과해 버려 고통과 상실감 이외에는 무엇도 느낄 수 없는 상태가 되어버리는 거죠.

딸 문제라면 돌변하게 된다.

특히 자식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 메울 수 없는 허무감을 이용하여 돈을 취하려는 무자비한 종교 단체들이 등장하면서 그의 파멸을 예견할 수 있습니다. 이상한 의식이나 모임에 지속적으로 참여시켜 그에게 헛된 바람과 상상을 심어주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누쿠이는 신흥 종교에 대해 심도 있는 비판을 제기합니다. 마음에 깊은 상처를 입은 자들의 빈 틈을 비집고 들어가 어떻게 판단력을 흐리게 만들고 맹목적인 믿음을 만들어내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비지니스로서의 신흥 종교의 면면을 여과없이 보여줍니다. 정신적인 안식처를 상실한 현대인들에게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신흥 종교 단체들이 판을 치는지 이해가 갑니다. 경제적, 정신적으로 고통받는 자, 소외된 자들 일수록 더욱 깊게 빠져들 수 밖에 없다는 것도요. 사이비 종교 단체들은 그들이 듣고 싶고, 보고 싶고, 믿고 싶은 그것을 정확하게 제시하기 때문이겠죠. 참 씁쓸하고 화가 납니다.

두 번째는 연속되는 유아 유괴살인사건을 수사하는 수사1과장 사에키의 이야기입니다. 그의 지휘 아래 이루어지는 수사의 진행 상황, 사에키 개인의 고뇌와 가정사, 사에키를 둘러싼 조직의 풍토와 갈등들을 세밀하게 보여줍니다. 때로는 사에키 본인의 독백으로, 혹은 직속 부하인 오카모토의 시선으로 말이죠. 그는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의 부재로 인해 힘겨운 시절을 보냈고, 종국에는 그의 결혼마저 정치권과 경찰 간 담합의 도구로 이용되고 맙니다. 그래서 그는 감정을 드러내는 일에 서투를 뿐만 아니라 그의 결혼 생활 역시 순탄하질 못 하죠. 또한 수사가 장기화 되고 국민들의 이목이 집중되면서 사에키의 출생과 배경에 대해 선입견을 가진 채 무책임한 비판을 일삼는 사람들이 많아집니다. 언론은 그의 사적인 영역까지 침투하여 조롱과 비판의 희생양으로 삼고요. 언론, 여론, 조직의 무자비함과 비정함, 조직 내부에서 벌어지는 이권 다툼이 극명하게 드러나 사회파 소설로서의 면모도 보여줍니다. 특히 캐리어와 논캐리어 간의 불화와 차별은 일본의 경찰 조직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닌, 우리 사회 곳곳에 존재하는 문제점이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이 두 개의 거대한 이야기가 교차로 진술되면서 독자의 호기심은 증폭됩니다. 언뜻 보면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두 사람의 이야기가 어떻게 하나로 합쳐질지 궁금증을 자아내지요. 그래서 후반부로 갈수록 이야기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고 두 개의 장 사이의 간극이 좁혀질수록 손에 땀을 쥐게 됩니다. 마침내 구조적 반전이 드러나는 순간 정말 심장이 쫄깃해지는 느낌입니다. 이 충격적 결말을 위해 세심하게 각각의 이야기를 서술한 작가의 능력이 정말 놀랍습니다. 데뷔작만큼 차기작은 얼마나 탄탄하게 잘 쓰여졌을지 기대되는 작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