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째 아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
도리스 레싱 지음, 정덕애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극히 정상적이고 평범한 해리엇과 데이비드가 만나 결혼을 합니다. 이들은 자유 분방함, 무절제함이 팽배한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 답지 않게 전통적인 의미의 가정을 꾸리고 그 안에서 행복을 찾고자 합니다. 정원이 있는 큰 저택에서 여덟에서 열명 남짓의 아이들을 낳고 사랑이 넘치는 가족을 형성하는 것이 목표였죠. 런던 근교의 한적한 지역에 빅토리아풍 대저택을 마련하고 임신과 출산을 반복합니다. 사실상 그들이 집값을 지불하려면 둘 다 직장을 다녀야 했지만 그들에게는 아이를 낳는다는 사실이 더 중요했던거죠. 이 때부터 그들의 불행은 예견된 것이었습니다. 아이를 낳고 가정을 꾸려나가는 데 필요한 경제적 부양 능력, 부모로서의 의무와 책임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죠. 부모가 될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았던 그들은 자신들이 꿈꿔오던 이상적 형태의 가정을 꾸리는 일에만 급급했던 겁니다. 결국 그들은 데이비드의 아버지로부터 집값과 생활비를 조달받고, 해리엇의 어머니로부터 가사와 양육의 원조를 받습니다.

그러던 와중에 해리엇은 또 한 번 임신을 하게 됩니다. 그녀는 짧은 시간 간격으로 아이들을 낳았기 때문에 이미 충분히 지쳐 있었고, 정신적 육체적으로 온전한 상태가 아니었죠. 심지어 이 아이는 너무나 크고 힘이 세서 그녀를 고통스럽게 합니다. 임신 기간 동안 진통제를 투약해 가며, 끊임없이 태아를 저주하지요. 산모의 마음이 고스란히 전달 되었기 때문일까요? 아이는 도깨비같은 형상의 비정상적인 모습을 하고 태어납니다. 여느 태아들보다 힘이 세고, 울지도 않습니다. 엄마나 가족들에게 친근감을 전혀 느끼지 못 하고 성격 또한 포악합니다. 이 아이가 바로 불쌍한 벤입니다. 벤의 등장으로 이 단란한 가정에는 어둠과 공포가 짙게 깔리기 시작합니다. 벤은 타인과의 소통이 불가능한 상태였고, 그의 폭력성때문에 가족들은 위협을 느낍니다.

우리가 복권 추첨에서 무엇이 나올지 선택할 수 없듯이 아기를 갖는 일도 마찬가지랍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간에 우리는 선택할 수 없습니다. - p. 139

이 때 해리엇과 데이비드는 중대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다른 네 아이들과의 행복한 가정을 되찾기 위해 벤을 보호소로 보낼 것인가, 아니면 벤을 가족의 일원으로 받아들일 것인가. 데이비드는 다수의 행복이라는 대의를 택하고, 벤을 보호소로 보냅니다. 반면 해리엇은 보호소에서 죽어가는 벤을 본 뒤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그를 집으로 다시 데려오게 됩니다. 그러나 그 선택은 그녀 자신을 가족과 친척들로부터 고립되게 만듭니다. 다른 아이들에게는 사랑과 관심을 주지 못 하고 벤만 챙기기 때문이죠. 벤을 무서워하던 네 아이들 중 셋은 할아버지, 할머니, 이모집으로 뿔뿔히 흩어지게 되고,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한 막내인 폴은 신경질적이고 예민한 아이로 자라게 됩니다. 행복한 가정을 꿈꾸던 해리엇이 가족들을 와해시킨 장본인이 된 셈이죠.

그러나 그녀가 그렇게 했기 때문에, 살해당하는 것으로부터 그 애를 구했기 때문에 그녀는 자기의 가족을 파괴했다. 그녀 자신의 인생에 해를 끼쳤다. 데이비드의 인생, 루크와 헬렌과 제인, 그리고 폴의 인생에도. - p. 158

하지만 석연치 않은 부분은 그녀가 정말 모성에 이끌려 이러한 선택을 한 것이 맞느냐는 점입니다. 막상 죄책감에, 엄마라는 이유로 벤을 집에 데려온 뒤에 보여주는 그녀의 행보는 자식에 대한 사랑으로 충만한 어머니의 모습과는 거리가 멉니다. 벤을 위한 특수 교육을 시키거나 보통 사람들과 충분한 교감을 할 수 있도록 인내심있게 사랑으로 대하지도 않습니다. 벤을 감당할 수 없었던 그녀는 벤을 동네 건달들에게 맡깁니다. 하루 종일 벤이 그들을 따라 다닐 수 있도록 돈을 주면서 말이죠. 벤이 위협적이거나 비정상적인 행동을 할 경우에는 보호소에서의 고통스러운 기억을 되살리며 협박(?)도 합니디. 자식을 양육하는 것이 아니라 사육하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주고, 따뜻한 잠자리를 제공해주는 것이 전부인 생활이었응니까요. 결국 벤이 청소년이 되고 불량한 아이들과 어울려 다니는 그 순간에도 그저 방관하는 입장을 취합니다. 벤이 떠나면 집을 팔고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겠다는 그녀의 모습에서 비정함 마저 느껴집니다. 정말 벤을 자식으로서 사랑해서가 아니라, 그녀가 이상적으로 그려왔던 어머니라는 역할 모델을 충실히 수행해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현모양처라는 자신의 꿈을 실현시키기위해 어머니로서의 의.무.를 다한 것이죠. 벤에게 어떠한 기대도 없었을 뿐더러, 그로 인해 가정을 떠나야 했던 아이들이나 남편에 대한 죄책감이나 반성의 기미가 전혀 없거든요.

우리는 벌 받는거야. 잘난 척 했기 때문에. 우리가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우리가 행복해야겠다고 결정했기 때문에. 행복해서. - p. 159

거기서 군중으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그 도깨비 같은 눈으로 카메라를 응시하거나 군중 속에서 자기와 같은 종족에 속하는 또다른 얼굴을 찾고 있는 벤의 모습을 볼 것이다. - p. 179

여러모로 고민할 거리를 잔뜩 던져주는 악몽같은 이야기입니다. 해리엇의 일그러진 모성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과연 나라면 어떠한 선택을 했을까 라는 질문을 던져보게 되거든요. 우리가 어머니라는 존재에 대해 당연하게 기대하는 모습들 역시 문명과 사회에 의해 만들어진 고정 관념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도 가져보게 되고요. 소시오패스로 보여지는 아이, 모성이 느껴지지 않는 어머니의 모습을 통해 영화 케빈에 대하여를 떠올리게 됩니다. 원치않는 아이를 가진 엄마의 고통과 부정만큼 아이는 어릴 때부터 엄마에 대한 복수심을 드러내거든요. 해리엇과 벤의 모습과 흡사하죠. 사실 이 영화의 케빈과 비교하면 벤은 위험한 살인귀같은 존재가 아닌 그저 공감 능력과 지적 능력이 부족한 아이인 것 같기도 합니다. 어린 시절 일부 폭력적인 장면들이 묘사되긴 하지만 다른 사람들의 행동양식을 익히고 그들의 감정과 반응을 배우는 과정을 통해 어느 정도 일반인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거든요. 우리가 정상적이라고 규정하는 범주 내에 들지 못 하는 것뿐, 그를 악하고 위협적인 괴물로 정의 내릴만한 충분한 근거는 없어 보입니다.그러한 면에서 벤은 해리엇이 말하는 원시성을 간직한 존재이자 반문명적인 존재라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혹은 이동진님의 말처럼 이해할 수 없는 타자일 수도 있겠고요. 실제로 후속작으로 출간된 '세상 속의 벤'에서 집을 떠난 벤이 그의 힘과 모자란 지능때문에 어떻게 인간들에게 착취를 당하는지 보여준다고 하니, 그는 단지 집단의 기준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소외된 존재였나 봅니다.

다섯째 아이. 짧지만 반드시 고민해봐야할 근원적인 문제들로 가득한 복잡한 책입니다. 후속작도 읽어봐야 겠어요. 더 생각할 문제들이 늘어나겠지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