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이기는 스토리 - 잘 팔리는 콘텐츠에 숨은 4가지 스토리텔링 법칙
캐런 에버 지음, 윤효원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3월
평점 :

강연을 듣거나 모임에서 '어떻게 이야기를 저렇게 재미있게 하지?'라는 사람을 만나보셨을 거예요. 반대로 '도대체 무슨 이야기를 하시는 겁니까?'하는 사람도 있고요. 우린 모두 전자처럼 되고 싶을 겁니다.
저자는 뇌의 다섯 가지 기본 설정과 네 가지 스토리텔링 법칙을 활용하면 청중들이 나의 이야기에 몰입하게 만들 수 있다 말합니다. 하나씩 알아볼까요?
🧠 뇌의 다섯 가지 기본 설정
다섯 가지 뇌의 기본 설정은 스토리텔링이 매력적인 이유와 훌륭한 이야기를 만드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1️⃣ 뇌는 게을러요. 흥미를 끌지 못하는 것에 집중하지 않습니다. 높은 위험, 긴장감, 뜻밖의 요소가 포함된 이야기는 뇌의 관심을 받게 됩니다.
2️⃣ 뇌는 불확실한 것을 싫어해 예측과 가정을 하려 합니다. 예상 밖의 플롯으로 가정을 깨뜨려 긴장감을 높여줍니다.
3️⃣ 뇌는 입력되는 감각을 통해 감정과 기억을 연결합니다. 훌륭한 이야기는 경험과 연결되고 감각과 감정에도 연결되어 기억에 남게 됩니다.
4️⃣ 뇌의 최우선은 생존이고 생존을 위해서 내집단의 소속감을 원해요. 상대방의 신념, 경험, 열망을 공유하는 이야기를 들을 때 소속감을 느낍니다.
5️⃣ 뇌에는 즐거움을 추구하거나 고통과 위험을 회피하도록 하는 신경전달물질이 존재합니다. 스토리텔링은 이 물질의 지휘자예요. 훌륭한 이야기는 쾌감과 불편한 감정을 증폭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스토리텔링 법칙
이야기를 통해 원하는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구조화된 서사가 필요합니다. 구조의 윤곽을 잡을 땐 디테일이나 전달 순서를 고민하지 않습니다.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이야기 구조에 맞춰 네 문장을 먼저 작성하고 이야기의 나머지 부분을 채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듭니다.
1️⃣ 맥락 : 이야기의 배경을 설명합니다.
2️⃣ 갈등 : 어떤 사건의 발생으로 상황이 바뀌는 시점을 묘사합니다.
3️⃣ 성과 : 위기를 어떻게 처리하고 조처했는지 갈등의 결과를 설명합니다.
4️⃣ 핵심 메시지 : 청중이 무엇을 알고, 생각하고, 행동하기를 바라는지 짧고 함축적인 문구로 작성합니다.
소설이나 에세이를 쓰는 게 아니라 회의에서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야기 구조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어요.
쏟아지는 수많은 이야기들 중 우리의 기억에 남는 이야기는 분명 존재합니다. 우리가 하는 이야기도 흩어져 사라지지 않고 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으면 좋겠죠?? 뇌의 기본 설정과 스토리텔링 구조를 알고 반복적으로 연습해 이기는 스토리를 만드시기 바랍니다.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