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에게는 매일 철학이 필요하다 - 니체, 노자, 데카르트의 생각법이 오늘 내 고민에 답이 되는 순간
피터 홀린스 지음, 김고명 옮김 / 부키 / 2025년 12월
평점 :

인생의 갈림길이나 중요한 선택의 순간 누군가 나를 대신해 선택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 한 번쯤 누구나 해 보지 않았을까? 그만큼 무엇을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의사 결정에 대한 매뉴얼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저자는 철학자들의 생각법에서 의사 결정의 기술을 찾았다. 이른바 철학자들의 사고 모델
책은 열다섯 가지 철학자의 사고 모델을 설명하고 있다.
1. 데카르트처럼 의심하기
: 지금 우리가 진짜라고 가정하는 것이 진짜가 아닌 수도 있다.
2. 오컴의 윌리엄처럼 단순하게 생각하기
: 최소한의 가정에 의존하는 설명을 채택한다.
3. 벤다이어그램
: 다양한 요인과 변수의 관계를 파악하고 패턴을 찾는다.
4. 불교 업의 법칙
: 어떤 행동을 선택하는 것은 그 결과도 선택하는 것이다.
5. 노자처럼 무위 따르기
: 나보다 크고 현명한 힘에 순응해서 조화롭게 흘러간다.
6. 체스터턴의 울타리 생각하기
: 큰 변화를 결정하기 전에 어떤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지 분명히 알아야 한다.
7. 니체처럼 '아모르파티'
: 영원히 똑같은 결정을 하게 된다고 상상하며 그 선택의 결과를 영원히 감내하겠다는 각오로 행동하라.
8. 파스칼처럼 베팅하기
: 주어진 선택안 중에서 비용이 가장 적고 보상이 가장 큰 쪽을 택한다.
9. 초심으로 바라보기
: 문외한의 관점에서 상황을 보고 선입견과 예단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10. 나쁜 습관부터 끊기 '비아 네가티바'
: 부적절한 선택 안을 모두 제거하고 남은 것에 집중한다.
11. 코르지브스키처럼 왜곡된 지도 버리기
: 우리의 인식은 절대로 현실과 동일하지 않다.
12. 뷔리당처럼 어떤 선택이든 해보기
: 어떤 길이든 일단 선택하고 매진해 본다.
13. 뱀파이어 비유
: 선택을 두려워하지 말고 선택 후 발생할 수 있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다.
14. 키르케고르처럼 믿음의 도약하기
: 이성으로 확실히 설명할 수 없는 것을 믿음으로 선택한다.
15. 플라톤처럼 동굴에서 나오기
: 행동이 곧 최선의 의사 결정 과정이다.
철학 이론은 어렵고 복잡하다. 그리고 현실과 동떨어진 부분도 많다. 하지만 오래 생각하고 연구해 온 철학자들의 생각은 분명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도움이 된다.
저자는 '의사 결정'에 필요한 이론을 모아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이론적인 설명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우리가 가장 많이 하는 고민에 어떻게 적용하면 되는지도 알려주고 있다. 하나의 사고 모델로 모든 의사 결정을 내릴 순 없다. 우리는 이 모든 사고 모델들을 내 안에 장착해 놓고 필요에 따라 맞춰가야 한다.
제일 중요한 것은 사고모델을 머리 속에만 두는 것이 아니라 삶 속에서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점이다.
재밌으면서 매우 실용적인 철학서다. 의사 결정 매뉴얼을 가지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