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가 지켜줄게
포셔 아이버슨 지음, 이원경 옮김 / 김영사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어떤 이야기일까.. 책의 표지만 봐서는 무지 궁금한 책이었다.표지의 사진에는 인도 아이가 누워있고 그 위로 엄마의 손으로 보이는 팔이 아이의 이마와 가슴을 감싸고 있다..
당신은 자폐증을 가진 사람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
자폐증의 증상은 어떠한 것들이고 그 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
자폐증을 겪고 있는 아이들은 몇명이나 될까요?
나는 이 책을 읽기 전에 자폐증이라는 것을 잘 알지 못했다.
그냥 티비에서 자폐증에 걸린 아이들을 잠깐 잠깐 보았을 뿐..
자폐증은 발달 장애를 일컬으며, 전반적 발달장애라고도 한다.
3세 이전부터 언어 표현과 이해를 못하며 반복행동. 관심의 부족 등으로 자폐증 아이들의 75%가 정신지체이다.이런 자폐증을 겪은 아이들 중에 시를 짓는다는 아이가 있다.
자기의 의사를 표현하고 심지어 아름다운 시를 짓는 다는 아이.
의사로부터 자폐증 결과를 받았는데도 말이다..
그 아이가 여기 이 책에 실려 있다. 이름은 티토로 인도 아이이다.
물론 이 아이 티토가 시를 짓기까지는 혼자의 힘으로는 아니었다.
옆에서 항상 도움을 준 엄마가 있어서 지금의 티토가 있었다.
티토는 평소에는 선풍기가 돌아가는 것을 멍하니 쳐다보고, 먹을것이 있으면 심하게 욕심을 부리며 난동을 피우는 아이이다.하지만 글자판을 갔다주고 옆에서 엄마가 어르고 달래면 글자판으로 자신의 의견을 내세우고 그리고 마음이 안정될때는 시를 짓기까지 한다.
이 책의 저자 포셔 아이버슨은 주부이다. 직장생활을 하는 그녀는 둘째 아이가 자폐증에 걸리자 세상이 멈춘것 같았다. 그래서 아이를 위해 남편과 함께 자폐증을 위한 기관을 설치하고 100만명중의 한명이라는 인도아이 티토 모자를 미국으로 데려와 조사하고 티토 엄마의 도움을 받게 된다. 그녀는 티토모자의 도움으로 자신의 아이 도브도 글자판을 쓸수 있게 되었으며, 모든 자폐아이들이 아무런 생각이 없다라는 것이 아니라 그들도 생각할 수 있고, 대화할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동안 자폐증을 앓는 아이들에 대해 몰랐던 것을 알게 되었고..
역시.. 어머니는 위대하구나. 라는 것을 또한번 느낀 책이다.
읽으면서 얼마나 마음이 아팠는지 모른다...
“사람들은 내가 하는 모든 행동을 이상하게 생각한다. 나를 아끼는 사람들과 부모님은 늘 당황하고 걱정한다. 의사들은 저마다 다른 의학용어로 나를 설명한다. 왜 그럴까.”
“나는 자폐아 판정을 받았어요. 그 임상 심리학자가 엄마 아빠한테 해주던 말이 지금도 기억나요. 내가 왜 그런지, 앞으로 어찌 해야 하는지. 그때 내가 슬펐을까요? 아니면 행복했을까요? 모르겠어요. 기억나지 않아요. 다만 난생처음 나한테 뭔가가 있다는 확신이 섰어요. 몇 가지 답을 확실히 알게 되었어요. 나를 에워싼 질문에 대한 답들. ‘얘는 왜 말을 안 하지?’ ‘왜 저렇게 손을 떨어?’ ‘왜 다른 애들과 놀지 않는 거야?’ 그 모든 질문에 대답할 말이 생겼어요.
‘자폐아거든.’ 아주 간단하죠. 나는 그 대답 때문에 아주 편해졌어요. 하지만 아빠의 표정이 우울해지고 엄마의 노래가 사라지자 걱정스러워졌어요. ‘자폐아가 되는 건 옳지 못한 건가?’ 그때 옳은 것과 그른 것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