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 - 지워진 이름들 ㅣ 사이드미러
김준녕 지음 / 텍스티(TXTY) / 2025년 9월
평점 :

한국인 이주민으로, 동양인을 착취해 부를 쌓은 집안인 '한'의 가족들이 엔젤타운으로 이사를 가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교회를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형성된 아주 작고 폐쇄적인 마을. 그리고 그 옆집에 가난하고, 영어가 서툴며 항상 마늘 냄새를 풍기는 '준'의 가족들이 이주해 온다. 같은 한국인이지만 부의 차이가 극명하기에 엔젤타운의 백인들은 '한'의 가족에게는 드러내지 못하는 동양인 혐오와 폭력성을 '준'의 가족들에게 더 강하게 배설한다. 그 와중에 '한'은 어느날 부터 '준'에게 빙의되어 그와 감각을 공유하게 되는데.
숨도 못 쉬고 읽었다는 추천사에 공감한다. 나 역시 이 두꺼운 책을 순식간에 읽어내려갔으니까.
진짜 이렇게 집단 광기가 선명하게 그려진 작품은 처음 본다. 특히 다문화 혐오가 이렇게 입체적으로 쌓아올려진 글은. 450p 내내 정말로 시달리는 기분으로 읽었다. 지독히도 폭력적인 인종차별주의와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같은 조선인을 착취해야했던 조선인의 상황. 조선인과 자신은 다르다고 선을 긋고, 백인들의 세계에 편입되려 아등바등 하지만 백인들의 눈에는 조금 더 말 잘 듣는 조선인일 뿐.
아직 어린 '한'은 분명 이 구조가 이상하다는 걸 안다. '준'을 별로 괴롭히고 싶지도 않다. 하지만 정말로 이 미친 사이코 유사 크리스천 컨츄리에서 어린 아이가 이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방법이 어디있겠는가. '한'의 수동성도, 안쓰러움이 짜증과 분노로 변하는 과정이 정말 이해가 가긴 해. 근데 그러면 안돼... 하지만 나라고 다를 것 같지도 않아...
언뜻 보면 기독교와 한국 무속신앙의 대립이지만, 원주민과 이주민의 대립이기도 하며 알 수 없는 미지의 것을 마주했을 때 드러나는 인간의 폭력성과 나약함을 적나라하게 고발하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타인에게 지독하게 폐쇄적인 태도가 집단적으로 발현될 경우 혐오는 증오로 바뀌기 쉽고, 막을 수 없는 광기에 휩싸이게 된다는 것도.
(저 백인 중 누구 하나 다른 이들을 한 번만이라도 곧게 바라봤다면 이런 결말을 맞이하지 않아도 되었을까? 아니...아니야...그래도 이 마을 사람들이면 그 백인도 싸잡아서 같이 불링할거 같음.)
절정을 향해 극을 치달으며 부풀어가는 백인들의 동양인 혐오를 바라보며 독자는 이 쯤에서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한국은 뭐, 다른가. 폭염에 한국인은 쉬고 베트남 노동자만 밖으로 내보내서 일 시키다가 죽었다는게 바로 이번 여름이다. 뒤에 작가와의 대담에서도 언급되듯 외국인 범죄가 일어나면 일단 맹목적으로 비난하고 본다. 어쩌면 한국은 거대한 엔젤타운이 되기 직전의 단계일지도.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작은 사회실험이자 경고성 예언의 성격도 지니고 있다. 내가 겪어보지 못하는 세계를 여행하게 하면서 자연스레 의식도 못한채 밟고 있는 사회적 문제를 지적해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이 좋은 소설이라면, 『제』는 충실하게 그 역할을 해내고 있다.
+ 왜 계속 스티븐 킹 이야기가 나오는지 알것 같다. 이 미친 초자연 코스믹 호러 대서사맛이 분명 그의 것과 닮아있음.
++ 오컬트 월드래서 일반적인 공포 호러 소설을 생각한다면 궤가 좀 다르겠지만, 이 역시 돌아버린 호러 스토리임.
+++ 주제에 엔젤타운 인것도 웃김.
++++ 아니 근데 민경이는요?! 읽으면서 너무 무서웠음. 이야기가 거의 끝나가는데 계속 클라이맥스를 향해 폭주기관차처럼 달려감. 이야기가 거의 끝나는 시점인데도!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지원받아 읽은 뒤 솔직하게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