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위화 지음, 백원담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저자 : 위화

요즘 독서를 느리게 하기로 맘을 먹으면서 책을 천천히 읽어보고 있다. 그러면 책 속에 문장이 눈에 들어오기도 하고 읽으면서 놓쳤던 부분도 눈에 다시 들어오기도 한다. 그런 마음을 먹었던 내게 이 책을 어떻게 읽었는지 모르게 빠르게 읽어버렸던 것 같다. 주인공의 대화가 빠르게 눈에 들어왔고 다음 전개가 너무 궁금했다.

위화라는 작가가 펼쳐낸 인생에 대한 생각 "살아간다는 것"은 인생에 대한 고찰이 느껴지는 부분이 많은 책이다.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로 고민하는 내게 위화가 제시한 하나의 답은 긍정하라고 해석하고 싶다. 
복귀라는 인물은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어리석게 도박과 술로 젊음을 탕진하고 가세가 기울기 시작하자 자신의 어리석음을 깨닫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의 인생은 시련의 연속이 다가온다. 아내를 처가에 빼앗기고 다시 돌아온 아내는 아프고 군대를 끌려가서 몇년만에 돌아오니 딸은 말을 못하게 되어버렸고 태어난 아들을 위해서 딸을 다른 집으로 보내야 하고 가난한 아들은 피를 팔다가 죽고 딸은 시집을 결국 보내지만 애를 낳다가 죽고 아픈 아내도 이어서 죽고 함께 사위와 손자와 살아가지만 사위는 사고로 죽고 결국 하나 남은 손자도 죽게 된다.

복귀는 혼자 돌을 모아 시장을 가게 된다. 거기서 나이 먹어 도축을 기다리는 소에게 감정이입이 되어 소를 일반 시세보다 비싸게 구매를 한다. 늙은 소에게서 자신의 모습을 보았던 것이였을까? 복귀는 늙은 소와 함께 경작을 하면서 인생을 살아간다. 

우선 어렵고 고생만하고 상실로 인한 슬픔을 겪은 복귀라는 노인의 인생을 통해서 우리는 인생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단순히 바라보면 복귀의 인생이 결코 행복했다고 단언할 수 없다. 하지만 한번 더 생각해보자. 우리는 인생을 단순화해서는 안된다. 누군가의 삶은 결코 단순하게 하나의 단어 혹은 문장으로 표현해서는 안된다. 그는 태어나고 죽었다. 이렇게 표현되어지는 게 인생이 아니라고 보여진다. 누군가를 잃고 배고픔을 겪고 아프고 다치는 우리의 인생은 행복과 웃음이 분명 존재한다. 복귀는 그런 행복과 웃음을 가진 삶을 가졌을 것이다. 

손자가 태어나서 기뻐했을 것이고 아들을 잃었을 때는 슬퍼했을 것이다. 인생은 기쁨과 슬픔, 웃음과 눈물이 항상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삶이고 그 안에서 우리는 어울려져 살아간다. 그렇기에 행복하다 혹은 불행하다라는 구분은 무의미해질 수 있다. 누군가의 시각에서는 불행한 삶이 내 시각에서는 행복하게 보일 수 있다. 

인생은 단순화해서는 안된다. 인생을 긍정하는 시각을 가져야 한다. 복귀가 인생을 단순화해서 불행하다고 단정했다면 그는 자살을 택했을 것이다. 혼자 남은 그가 인생을 그래도 긍정하는 순간 살아갈 수 있다. 

살아간다는 것은 인생을 긍저하는 것이라는 답이 내가 내린 결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