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의 종말
제레미 리프킨 지음, 신현승 옮김 / 시공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 제레미 러프킨 



이 책을 드디어 읽게 되었다. 육식의 종말이라는 제목도 마음에 들지만 최근에 읽은 옥수수의 습격이라는 책과 연관이 되기에 관심을 가지고 읽게 되었다. 우선 이 책은 육식이라는 인간의 식행위에 대한 전반전인 고찰을 했다고 보여진다. 육식의 배경, 사회적 변화, 시대별 흐름, 사회학적 구조 및 인간의 계급주의까지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했고 기술하고 있어서 오히려 너무 많은 정보로 혼란스러울 정도였다. 그만큼 깊이 있게 파고들었다고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내용이 어렵다거나 어려운 기술적 용어로 기술하지 않아서 읽는 어려움은 없었다.



우선 이 책의 목적은 육식의 폐해에 대해서 알리는 것이라고 보인다. 도축의 잔혹함과 서구사회의 소고기 소비로 인한 문제점, 소비를 위해 발생되는 비인도적 행위의 고발등은 우리가 앉아서 고기를 먹거나 마트에서 고기를 살 떄 알 수 없는 감정과 지식에 대해서 보여주고 알려준다.



인간은 과연 육식을 해야 할까?



단순히 생명 연장을 위해 식행위를 해야 한다면 육식만을 고집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 같은 사회에서는 육식이 가진 큰 의미는 보양정도라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다만 서구사회에서 육식이 가지는 의미가 적어 보이지 않는다. 우선 19세기에서 20세기에는 소고기는 성공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결국 계급 상승을 위해서는 소고기를 먹는 행위가 보여주기 위한 효과도 가지고 있었다는 의미이다.



"육식 문화를 초월하는 것은 우리 자신을 원상태로 돌리고 온전하게 만들고자 하는 징표이자 혁명적인 행동이다"

라는 저자의 글은 이 책의 목적과 주제를 함축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다시 질문에 돌아가보자. 우리는 과연 육식을 해야 하나?



육식의 당위는 사실 맛과 영양분이라는 항목에서는 어느정도 당위를 이야기 할 줄 모르겠지만 큰 그림으로 보면 인류는 이제 육식을 지양해야 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우선 육식을 위해 소비되고 있는 형태 즉 햄버거, 스테이크등의 식품의 생산을 위해 현 축산업의 형태는 비인도적이고 환경파괴적이다. 결국 자멸의 길을 걸어간다고 보여질 수 있다. 소를 키우기 위해서 필요한 목초지를 위해 매년 열대우림이 파괴되고 소에게 먹이기 위한 사료 생산을 위해 굶고 있는 인간이 생겨나게 된다. 게다가 소는 얼마나 잔혹하게 키워지고 도축되고 있으며 그렇게 키워진 소고기는 인간에게 질병을 가져오게 된다.



이야기는 단순하게 육식을 지양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우선 사회 구조학적으로 소고기 산업에 위치와 포션이 너무 크다. 단순히 단기간에 사라질 형태의 산업이 아니라는 것이다. 게다가 육식을 보양으로 여기는 사회적 편견도 깨기 힘들어 보인다. 비단 이런 문제만 아니더라도 육식이 주는 맛도 포기하기 힘들다. 채소 만드는 요리보다 고기로 만들어지는 요리 수가 많아 보이는 것도 간과하기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고 난 내 마음은 육식을 줄여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결국 미약하지만 나 하나 스스로 육식 소비를 줄이고 그런 마음을 가진 사람이 늘어난다면 이 지구의 소비 형태도 결국 바뀔 것이다. 결국 육식 소비의 형태는 인류에게 위협이 되기 때문에 결국 바뀌게 될 것이다. 그 시점이 문제이겠지만. 많은 이들이 육식을 꺼리게 되는 그 날을 희망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10-13 1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