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의 기쁨과 슬픔 - 우리는 무엇 때문에 일을 하는가?, 개정판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은행나무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 알렝 드 보통



일의 기쁨과 슬픔이라는 알렝 드 보통의 책은 부제를 우리는 무엇때문에 일을 하는가이다. 흥미로운 제목이었지만 우리는 무엇을 위해서 일을 한다거나 혹은 일을 하는 이유를 말해주는 책이 아니다. 다시 말해 이렇기 때문에 일을 해야 한다거나 일을 할 때는 이런 태도로 일을 하는게 정신 건강에 좋다고 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특유의 관찰과 통찰을 통해 일을 바라본다. 직업 카운셀러, 중소개발업자. 우주 비행등 연관없이 특정 직업군을 관찰하며 그 특유의 문체로 기술한다. 그 과정에서 직업에 대한 의미와 정의를 해보려고 한다.



일을 하면서 느끼는 기쁨은 어떤 것이 있을까? 만족감, 성취감, 금전적인 보상 혹은 명예등을 추구하는 것일까? 인류는 자본주의라는 사회구조에서는 경제적인 풍요가 성공이라고 이야기를 한다. 그 도구가 직업으로 이야기 되기에 돈 많이 버는 직업 혹은 안정적인 수입을 갖춘 직업 그리고 사람들이 떠 받쳐줄 수 있는 권력과 명예가 있는 직업을 입을 모아 이야기한다.



자라나는 아이들은 그런 직업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라고 강요 받을 지 모른다. 그래서 그들은 하루에도 수십시간동안 기성세대들이 걸어온 방법을 통해 공부하고 노력하며 살아가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그런 삶 혹은 그런 직업을 통해 얻게 되는 인생은 과연 기쁠까?



이 책에서는 그런 방법 또는 결과에 대해서도 이렇다 저렇다라고 규정하고 있지는 않는다. 그냥 일을 하는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지켜볼 뿐이다. 우리가 일을 하면서 느끼는 감정들 혹은 그런 고민들도 다른 직업에서 분명히 존재하고 있었고 삶의 고단함도 느낄 수 있었다.



일은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스스로를 드러나게 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일을 하는 사람이 그 사람의 본질은 아니겠지만 일을 통해 자아실현을 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어느 정도 동의를 한다. 일을 하지 않고 살아간다는 것이 아니라 살아간다는 것이 일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어떤 방식이든 어떤 수단이든 무엇을 하던지 일이라는 행위는 인간의 본질적인 부분과 상통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기에 어떤 일을 해야 할지 정하는 것은 우리가 어린 시절부터 고민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어떻게 영어 점수를 올리고 어떻게 반등수를 올릴 것을 고민할 게 아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스스로 생각해보게 되었던 것은 이런 직업도 있다는 사실과 많은 사람들이 삶을 고단하게 살아가지만 그 일을 하는 동안에 느끼는 기쁨과 슬픔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다.기쁨이 있다면 당연히 슬픔도 있게 마련이다. 슬픔이 없는 기쁨은 기쁨이 아니기에.



좋은 직업은 없는 것 같다. 그냥 내가 좋아하는 일 혹은 싫어하는 일로 나뉘는 게 맞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