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 : 박웅현

 

크게 고민 없이 읽은 책이였다. 우연히 정약용의 글을 읽고 쓴 리뷰에 그 누군가가 한번 읽어 보라고 하기에 사서 읽어 보았다. 도서관에서 빌려 볼려고 했지만 도서관에도 없는 책이였기에 사서 본 것 뿐이였다.

하지만 큰 울림이 있었던 책이였다. 개인적으로는 몇번을 꼽씹어서 생각했었던 것 같다.

 

이 책은 저자의 강연 내용을 중심으로 풀어 나가고 있다. 오히려 책을 저술하기 위해 쓴 책은 아니라고 보인다. 강연 내용을 토대로 글이 작성되어져 있으니 오히려 책보다는 강연집 같은 느낌이였다. 그래서 인지 함께 대화하는 것 같은 강의를 듣는 기분이였다.

 

통찰이 창의력이다라는 저자의 이야기는 같은 현상을 보고도 다른 것을 생각할 줄 아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광고쟁이로서 살아왔고 광고는 결국 인간의 행동과 사고에 대해서 이해를 할 줄 알아야 할 것이다. 그런 그에게 인문학은 밑바탕이요 자산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다독 컴플렉스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다섯권을 읽어도 거기에 줄친 문장이 얼마나 되냐가 중요하지 몇권의 책을 읽었다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결국 울림을 줄 수 있는 문장들이 얼마나 많은데 그것을 놓칠 수 있다는 소리일 것이다.

 

결국 창의성과 아이디어의 바탕이 되는 것은 일상이다. 일상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서 삶이 달라지고 대처능력이 커지는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책에서 소개되어지는 좋은 글을 위주로 서평을 써보면

 

시이불견, 청이불문 : 시청과 견문은 다르다

 

"우리가 읽은 책이 우리의 머리르 주먹으로 한대 쳐서 우리를 잠에서 깨우지 않는다면 도대체 왜 우리가 그 책을 읽어야 하는 것이냐 책이란 무릇 우리안에서 있는 꽁꽁 얼어버린 바닥을 깨뜨리는 도끼가 되어야 한다.-카프카-

 

떠나라 낯선 곳으로 그대 하루하루의 낡은 반복으로부터 - 고은 낯선 곳-

 

내 뜻대로 모든 것을 이루리라라는 기필을 거두시오 세상은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물건이 아닙니다. 그 오만과 야만을 버려야 합니다. -한형조 붓다의 치명적인 농담-

 

"뼈 빠지는 수고를 감담하는 나의 삶도 남이 보면 풍경이다"

 

"다독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많이 읽었어도 불행한 사람들도 많으니까요 안나 카레니나에서 톨스토이가 말한 것 처럼 기계적인 지식만을 위해서 책을 읽는 사람도 있으니 다독 컴플렉스에서 벗어나시길 바랍니다"

 

이 책은 다독보다 정독을 권하고 있었다. 그는 문장에서 주는 울림을 찾는 사람으로 보인다. 책을 많이 읽어야 겠다는 내게 책을 잘 읽으라고 꾸짖는 것 같았다. 혼자서 이 책을 읽고 좋은 깨닮음을 얻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