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 입문 - 말 많은 세상에서 말하지 않는 즐거움
코이케 류노스케 지음, 유윤한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저자 : 코의케 류노스케

 

이 책은 생각 내려놓기 라는 제목으로 대중적으로 알려진 코의케 류노스케의 책으로 우연히 아는 지인의 소개로 읽게 되었다. 침묵입문이라는 제목은 말을 아끼는 중요성과 침묵을 통해서 얻게 되는 지혜로 생각했지만 이 책을 통해 가장 크게 얻게 된 것은 나를 관조하는 자세라고 생각한다. 나를 타인처럼 바라보며 스스로 관조하며 바라보며 생활하게 되는 자세, 이것은 의식적인 행위의 관찰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는지 모르겠다

 

"다른 사람을 보듯 나를 보라... 또 나는 욕망에 휘들리고 있다. 휘들리고 있다라고 의식을 집중하면 욕망의 늪에 빠져드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감정에 대한 집중력과 관찰력을 기르지 않았기 때문에 그 감정이 부끄러운 줄 모르고 맹위를 떨치는 것이다. "

 

감정에 대한 집중력과 관찰력이 있다면 그 감정으로 인한 부끄러움을 알기에 스스로 행동을 자제할 수 있고 욕망에 휩싸이는 상태를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스스로 관조하며 바라본다면 자기관리를 더욱 잘 할 수 있고 의지를 기를 수 있다는 것이다.

 

우선 이 책은 알기 쉬운 불법의 설명 그리고 비판에 대한 마음의 상태를 이야기해주며 시작한다. 우리가 남의 이야기를 비판하는 행위에는 자기를 덧보이고 스스로를 만족하려는 욕망의 마음이 작용한다고 한다. 자만이라고 볼 수 있는 이 마음에는 남과 다름을 통해 스스로는 우월하다고 여기고 싶은 마음이 깔려져 있다

 

이런 마음은 결국 상대방을 아프게 하고 욕망에 휩싸이게 된다고 주의한다. 말은 모든 욕망의 근원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빨리 말을 하는 습관은 자기가 말을 통해 얻게 되는 만족을 서둘러서 재촉하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고 한다. 다시 말해 혀는 만가지 재앙의 근원인데 가능하면 천천히 이야기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말의 속도가 늦으면 상스러운 말이나 자기 과시가 줄어든다. 빨리 말한다는 것은 결국 마음속에 빨리 말해 버리고 시어 참을 수 없다는 것이다. 자신에게 기분 좋은 자극을 줄 수 있는 이야기를 조금이라도 빨리 지껄이고 싶은 욕망에 쫓기기 때문이다. 이것은 식욕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빨리 말한다는 것은 폭식과 같다고 보여진다.

 

이 책은 분량이 적고 오히려 자기계발서에 가깝기에 너무 뻔한 논리와 개념으로 일관되게 보여질 것이라 예상했지만 그 안에는 분명 깊이가 있었다. 이 책은 지금 내게 감정에 대한 관찰력과 집중력 그리고 욕망에 대한 제어 그리고 의식적인 행동을 통한 자기 지배를 이야기 해줬다. 욕망의 덧없음을 언제 깨달음이 올지 모르지만 난 스스로를 다시 바라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