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횡무진 한국경제 - 재벌과 모피아의 함정에서 탈출하라
김상조 지음 / 오마이북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 김상조

 

이번 서평이벤트를 통해서 읽게 된 종횡무진 한국경제는 상당히 심도 있게 한국경제를 분석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섣부른 결론을 내리지 않고 심도 있게 한국 경제를 나름 분석했다는 점과 이해하기 쉽고 쉬운 도표를 이용한 설명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경제라는 분야에 대해서 우리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재테크 혹은 경제 지식을 통한 부자되기를 열망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지식에 대한 책이 아니라 한국경제에 대한 현황과 관련 제반 지식을 알려줌으로서 현재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바른 문제의식을 갖도록 도와주는 책이라고 보인다.

 

한국 경제의 문제점이라면 가장 큰 문제점이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이 책에서는 신자유주의와 구 자유주의의 결핍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 나라는 빠른 집약적이고 팽창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한 나라이다. 서구 사회에서 200년동안 진행되어 이룩되어진 것이 우리는 너무 빠르게 진행되었고 받아들여져 적용되었다. 그런 이유로 저자가 바라보는 대한민국은 신자유주의도 아니고 구자유주의라고 보기 어렵다고 이야기한다. 이런 의식적인 시각은 책 전반을 지배적으로 보여진다. 진보와 보수의 시각에 치우져 있지 않기에 오히려 중도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보여진다.

 

노동, 복지, 동반성장, 대기업등의 주제로 구분되어 책은 구성되어져 있으며 각각 단락에 대해서 경재서적으로는 깊이 있는 지식과 쉬운 설명으로 구성되어져 있다고 생각된다.

 

인상적인 부분으로는 "국민 경제가 성장할 수록 모두 행복해지는가?"라는 주제에 대해서 우리나라의 수출 중심의 산업구조이다는 점을 지목하면서 대기업 수출을 위해 고환율 정책을 유지했고 고환율의 비용과 창출된 이익은 도대체 어디에 갔냐는 지적에 많은 공감을 했다. 결국 낙수효과는 발생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대부분 이 낙수효과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사실이며 강민수장관은 신자유주의자라기 보다는 중상주의자라고 보는게 맞다고 이야기한다.

 

한국 경제의 변화, 원인, 분석을 나름 소신있게 이야기하며 왜 1980년도에 중화학이 부흥되었는지 경제 정책의 중요성과 결정의 한계는 왜 있는 것인지 이해하기 쉽게 노력한 흔적이 곳곳에서 보인다.

 

또 재밌게 읽은 부분은 경쟁법에 대한 이야기인데 미국 경쟁법의 함의는 "경쟁자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을 보호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즉 월마트에서 중국 배추를 싼 가격에 대량 수입해서 판매를 한다면 이는 이익증대라는 측면에서 칭찬 받아야 할 일이고 그로 인한 주변 상권의 몰락과 노동 근무의 환경 악화는 문제가 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개인적으로 경쟁을 보호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공정한 경쟁을 보호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라는 생각을 했었다.

 

이처럼 이 책은 우리가 경제에 대한 깊은 지식이 없어도 한국 경제를 바라봐야 하는 문제의식 제기와 어떻게 문제를 고민해야 하는지 방법을 가르쳐 준다. 통계청 자료를 통해 별도의 추가 자료 없이도 분석이 가능하다고 이야기 하며 어렵지 않다고 이야기한다. 경제에 관심이 있다면 한번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마지막으로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